목차
⊙근수축이란?
⊙골격근수축에는
⊙근수축 곡선
⊙골격근수축에는
⊙근수축 곡선
본문내용
R)에 결합한다. AChR는 니코틴성 수용체로서 4종류의 소단위(subunit) 5개로 구성된 (2α, β, γ, δ) pentamer로 중심부에 pore를 형성하여 Na+-K+ 통로로 작용한다.
신경말단에서 유리된 ACh 2 분자가 AChR의 α-subunit와 결합하게 되면 수용기의
중심부분에 해당하는 이온 통로가 열리면서 세포밖 Na+이 이동하여 종판전압(EPP)이 발생한다
흥분-수축 연결은 세포막으로부터 근원 섬유까지 전달된 흥분이 근 수축까지 이어지는 과정으로, Ca2+과 ATP가 중심 역할을 하는 순차적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근 세포막으로부터 전달된 활동전압은 T-tubule을 따라 근 섬유의 중심부분을 통하여 신속하게 전달되어 T-tubule과 직각으로 위치하고 있는 근장그물로부터 Ca2+을 유리시킨다.
유리된 Ca2+이 thin filament의 트로포닌(troponin) 분자와 결합하게 되면 액틴 (actin)과 마이오신(myosin)이 ATP 존재 하에 반복되는 노젖기 운동을 하게 되므로 근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신경의 흥분이 근 수축으로 이어지게 된다.(E-C coupling).
근 수축이 끝난 후 유리되었던 Ca2+은 능동운반 기전 (active transport)에 의해 근장그물 속으로 재흡수된다.
운동신경 흥분 ---> 아세틸콜린 방출 ---> 근섬유막의 탈분극 ---> 근소포체로 탈분극 이동 ---> 근소포체의 방출 ---> Ca2+이 액틴과 결합 ---> 트로포닌이 트로포미오신을 당김 ---> 미오신 가교와 액틴의 결합 ---> ATP에 의한 가교의 활성화 ---> 미오신 가교가 액틴을 당김
@근수축 곡선
① 연축곡선 : 근육에 1회의 순간적인 자극을 주면 짧은 시간(약 0.1초)에 1회의 수축이 일어났다가 다시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와 같은 1회의 수축을 연축이라 하고, 이것을 키모그래프 용지에 기록한 것을 연축 곡선이라 한다.
- 잠복기 : 자극을 받은 후 약간 의시간이 지나야 수 축이일어 나는데, 이 기간을 말함
- 수축기 : 근육이 수축하는 기간
- 이완기 : 근육이 이완하는 기간
② 강축곡선
연축이 완전히 끝나기 전에 다시 자극을 주면 연축이 겹쳐 수축이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이 때의 수축 곡선은 약간 떨리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를 불완전 강축이라고 한다. 또, 아주 짧은 간격으로 계속해서 자극을 주면 근육이 수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
신경말단에서 유리된 ACh 2 분자가 AChR의 α-subunit와 결합하게 되면 수용기의
중심부분에 해당하는 이온 통로가 열리면서 세포밖 Na+이 이동하여 종판전압(EPP)이 발생한다
흥분-수축 연결은 세포막으로부터 근원 섬유까지 전달된 흥분이 근 수축까지 이어지는 과정으로, Ca2+과 ATP가 중심 역할을 하는 순차적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근 세포막으로부터 전달된 활동전압은 T-tubule을 따라 근 섬유의 중심부분을 통하여 신속하게 전달되어 T-tubule과 직각으로 위치하고 있는 근장그물로부터 Ca2+을 유리시킨다.
유리된 Ca2+이 thin filament의 트로포닌(troponin) 분자와 결합하게 되면 액틴 (actin)과 마이오신(myosin)이 ATP 존재 하에 반복되는 노젖기 운동을 하게 되므로 근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신경의 흥분이 근 수축으로 이어지게 된다.(E-C coupling).
근 수축이 끝난 후 유리되었던 Ca2+은 능동운반 기전 (active transport)에 의해 근장그물 속으로 재흡수된다.
운동신경 흥분 ---> 아세틸콜린 방출 ---> 근섬유막의 탈분극 ---> 근소포체로 탈분극 이동 ---> 근소포체의 방출 ---> Ca2+이 액틴과 결합 ---> 트로포닌이 트로포미오신을 당김 ---> 미오신 가교와 액틴의 결합 ---> ATP에 의한 가교의 활성화 ---> 미오신 가교가 액틴을 당김
@근수축 곡선
① 연축곡선 : 근육에 1회의 순간적인 자극을 주면 짧은 시간(약 0.1초)에 1회의 수축이 일어났다가 다시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와 같은 1회의 수축을 연축이라 하고, 이것을 키모그래프 용지에 기록한 것을 연축 곡선이라 한다.
- 잠복기 : 자극을 받은 후 약간 의시간이 지나야 수 축이일어 나는데, 이 기간을 말함
- 수축기 : 근육이 수축하는 기간
- 이완기 : 근육이 이완하는 기간
② 강축곡선
연축이 완전히 끝나기 전에 다시 자극을 주면 연축이 겹쳐 수축이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이 때의 수축 곡선은 약간 떨리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를 불완전 강축이라고 한다. 또, 아주 짧은 간격으로 계속해서 자극을 주면 근육이 수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