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 천태종의 원류
2. 고려중기 천태종 개창 배경
3. 천태법화의 체계.
(1) 법화 문구의 체계
(2) 법화 현의 체계.
(3) 5중 현의
4. 천태교상의 구조
(1) 화의사교(化儀四敎)
(2) 화법사교(化法四敎)
5. 대각국사 의천(1055~1101)
(1) 생애
(2) 기본 방침
(3) 국사의 중심사상
(4) 시인으로서의 의천
(5) 저서
(6) 원효사상의 최초의 선양자
2. 고려중기 천태종 개창 배경
3. 천태법화의 체계.
(1) 법화 문구의 체계
(2) 법화 현의 체계.
(3) 5중 현의
4. 천태교상의 구조
(1) 화의사교(化儀四敎)
(2) 화법사교(化法四敎)
5. 대각국사 의천(1055~1101)
(1) 생애
(2) 기본 방침
(3) 국사의 중심사상
(4) 시인으로서의 의천
(5) 저서
(6) 원효사상의 최초의 선양자
본문내용
저 그 본집의 내용을 보면, 3, 4, 10, 13권 등 4권이 결여되어 있다. 그 다음 그 내용 을 본다면, 제1권에 <新集圓宗文類>, <新編諸宗敎藏摠錄序>, <刊定成唯識論單科序> 등을 비롯하여 그 이하 제권에 <請入大宋求法表> 5권 기타 <雜表>57종 외 狀疏, 詩文 類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 다음에 外集 13권은 권수가 모두 다 있으며, 이에는 주로 모든 書狀 즉 편지문을 모아놓은 것이다. 이상의 本集에 의해서는 義天의 敎學思想을 찾아 볼 수 있고, 外集에 의하여는 義天이 특히 국제적 外交成果와, 간접으로는 그 교 학사상 이 광범위하였음을 엿볼 수가 있다.
(6) 원효사상의 최초의 선양자
이상의 것은 사상면을 단적으로 나타낸 것은 적은 듯 한데, 그의 사상적 운동과 종교적 사업 등으로 고찰할 때, 석존(釋尊)의 본 정신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노력으로서 신라불교의 총수인 元曉聖師와의 관계를 두터이 함을 볼 수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사상의 중심을 찾아 낼 수 있으며, 이를 전개하여 그의 본령에 접촉하고, 더욱 그의 심오한 것, 특이한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국사가 원효 귀적후, 4세기 뒤에 출생하였으니, 벌써 신라가 고려로 바뀌긴 하였으나, 불교는 변함없이 신라불교를 계승하게 되었음은 국사의 힘이라 할 것이다. 또 국사가 불교를 개혁하고자 한 것은 元曉의 理想을 고려에서도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며, 그는 원효 사상을 전폭적으로 신봉한 것도 사실이다.
그가 <新編諸宗敎藏總錄>을 편성할 때에도 元曉의 저서를 열심히 수집하여 44부 87 권이나 수록한 것은 그의 목적의 일부를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국사는 원효의 저서와 사상적 雄業을 <馬鳴, 龍樹보살보다 위대하여 暗夜의 밝은 등불이라.>고 찬탄한 것은 물론이지만, 이것을 제자들에게 강의하여 분황과교(芬皇科敎= 원효의 法性宗의 별칭) 가 佛心에 계합한다고 하고 진심으로 기뻐한 것도 당연한 일이다.
이와 같이 국사는 원효사상을 누구보다도 충실히 이해하였고, 이것을 선양하여 고려의 불교를 중흥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국사는 그의 제문에서도 이 뜻을 말하였으며, 특히 화쟁사상(和諍思想)을 들어 海東敎主라 하고, 이것을 계승하여 宋나라 淨源, 元炤에게도 元曉의 章疏를 보내고 요(遼)나라 황제에게도 보내니, 遼王은 이것을 받아들여 칙명으로 국내에 流布시켰다. 그러므로 元曉의 名聲은 국사의 홍보에 의해 天下에 널리 소개되어 不滅의 존재가 되었던 것이다. 또한 국사는 元曉聖師를 추모하는 정이 보통 求道者에 비할 바가 아니었으니, 최후까지 元曉硏究에 심혈을 기울인 것을 보아도 넉넉히 짐작 할 수 있는 것이다.
http://zen.buddhism.org/kr/master/wychun.html
숙종 6년에 국사의 身病이 차차 중해지자, 고려에서는 상하구별 없이 슬픔에 잠겼으며, 특히 국사를 政務의 고문으로, 또는 스승으로써 존중하던 왕의 슬픔은 더욱 컸다. 그러므로 왕은 義天 僧統에게 "大覺國師"라는 호를 하사하였다. 이보다 조금 뒤에는 국사가 주야로 추모하던 元曉聖師에게 화쟁국사(和諍國師)라는 최고의 시호(諡號)를 추사(追賜)하게 되었다. 이는 國師가 만년에 임하여 평생의 소원이던 것을 유지(遺志) 로서 元曉를 東方의 聖人이라 하고, 그 위덕(威德)을 永世토록 전하고자 한 것이다.
이 화쟁(和諍)이란 元曉聖師의 統和佛敎思想의 표어이니, 이것은 聖師의 저서인 <十門 和諍論>으로부터 안출한 것이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서울: 지식산업사), pp.326~330.
참고문헌 ------------------------------------------------------
1. 朴美賢,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고려불교사 서술의 검토: 천태종과 조계종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청주: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p. 14.
2. 정의행, <<韓國佛敎通史>> (서울: 한마당, 1992), p. 209
3. 이종찬, <고려문학의 형성과정-의천의 절충적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론 연구>>, (서울: 대광문화사, 1980), p. 214.
4.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 (서울: 서문문화사, 2001), pp 79
5. 최한술, <대각구사 의천의 시세계>, <<한문학 연구>>, (서울, 계명한문학 연구회, 1986), p. 57.
6. http://zen.buddhism.org/kr/master/wychun.html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서울: 지식산업사), pp.326~330.
(6) 원효사상의 최초의 선양자
이상의 것은 사상면을 단적으로 나타낸 것은 적은 듯 한데, 그의 사상적 운동과 종교적 사업 등으로 고찰할 때, 석존(釋尊)의 본 정신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노력으로서 신라불교의 총수인 元曉聖師와의 관계를 두터이 함을 볼 수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사상의 중심을 찾아 낼 수 있으며, 이를 전개하여 그의 본령에 접촉하고, 더욱 그의 심오한 것, 특이한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국사가 원효 귀적후, 4세기 뒤에 출생하였으니, 벌써 신라가 고려로 바뀌긴 하였으나, 불교는 변함없이 신라불교를 계승하게 되었음은 국사의 힘이라 할 것이다. 또 국사가 불교를 개혁하고자 한 것은 元曉의 理想을 고려에서도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며, 그는 원효 사상을 전폭적으로 신봉한 것도 사실이다.
그가 <新編諸宗敎藏總錄>을 편성할 때에도 元曉의 저서를 열심히 수집하여 44부 87 권이나 수록한 것은 그의 목적의 일부를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국사는 원효의 저서와 사상적 雄業을 <馬鳴, 龍樹보살보다 위대하여 暗夜의 밝은 등불이라.>고 찬탄한 것은 물론이지만, 이것을 제자들에게 강의하여 분황과교(芬皇科敎= 원효의 法性宗의 별칭) 가 佛心에 계합한다고 하고 진심으로 기뻐한 것도 당연한 일이다.
이와 같이 국사는 원효사상을 누구보다도 충실히 이해하였고, 이것을 선양하여 고려의 불교를 중흥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국사는 그의 제문에서도 이 뜻을 말하였으며, 특히 화쟁사상(和諍思想)을 들어 海東敎主라 하고, 이것을 계승하여 宋나라 淨源, 元炤에게도 元曉의 章疏를 보내고 요(遼)나라 황제에게도 보내니, 遼王은 이것을 받아들여 칙명으로 국내에 流布시켰다. 그러므로 元曉의 名聲은 국사의 홍보에 의해 天下에 널리 소개되어 不滅의 존재가 되었던 것이다. 또한 국사는 元曉聖師를 추모하는 정이 보통 求道者에 비할 바가 아니었으니, 최후까지 元曉硏究에 심혈을 기울인 것을 보아도 넉넉히 짐작 할 수 있는 것이다.
http://zen.buddhism.org/kr/master/wychun.html
숙종 6년에 국사의 身病이 차차 중해지자, 고려에서는 상하구별 없이 슬픔에 잠겼으며, 특히 국사를 政務의 고문으로, 또는 스승으로써 존중하던 왕의 슬픔은 더욱 컸다. 그러므로 왕은 義天 僧統에게 "大覺國師"라는 호를 하사하였다. 이보다 조금 뒤에는 국사가 주야로 추모하던 元曉聖師에게 화쟁국사(和諍國師)라는 최고의 시호(諡號)를 추사(追賜)하게 되었다. 이는 國師가 만년에 임하여 평생의 소원이던 것을 유지(遺志) 로서 元曉를 東方의 聖人이라 하고, 그 위덕(威德)을 永世토록 전하고자 한 것이다.
이 화쟁(和諍)이란 元曉聖師의 統和佛敎思想의 표어이니, 이것은 聖師의 저서인 <十門 和諍論>으로부터 안출한 것이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서울: 지식산업사), pp.326~330.
참고문헌 ------------------------------------------------------
1. 朴美賢,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고려불교사 서술의 검토: 천태종과 조계종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청주: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p. 14.
2. 정의행, <<韓國佛敎通史>> (서울: 한마당, 1992), p. 209
3. 이종찬, <고려문학의 형성과정-의천의 절충적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론 연구>>, (서울: 대광문화사, 1980), p. 214.
4.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 (서울: 서문문화사, 2001), pp 79
5. 최한술, <대각구사 의천의 시세계>, <<한문학 연구>>, (서울, 계명한문학 연구회, 1986), p. 57.
6. http://zen.buddhism.org/kr/master/wychun.html
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서울: 지식산업사), pp.326~330.
추천자료
소련지역 한글문학의 위상(位相) -고려인 문단을 중심으로
쌍화점과 청산별곡의 통해 알아본 고려 후기의 사회상
[시가작품론]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
국어(우리말, 한국어)의 형성과 독자성, 국어(우리말, 한국어)의 풍부성과 의사소통기능, 국...
[한국근현대사]한국근현대사와 조선후기, 한국근현대사와 서원철폐, 한국근현대사와 갑신정변...
KT(한국통신, KTF) 사이버홍보활동, 마케팅, KT(한국통신, KTF) 번호안내사업, KT(한국통신, ...
국어번역(한국어번역)의 중요성, 대상, 국어번역(한국어번역)의 오류, 국어번역(한국어번역)...
식민지시대(일제강점기, 일제시대)와 농업기술보급, 제생원맹아부, 식민지시대(일제강점기, ...
[한국경영][한국경영 역사][한국경영 시스템][한국경영 사상][한국경영 지식정보화][한국경영...
[국문학개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와 문법 교육의 문제점,구어 현상과 한국어 교재,한...
[한국어교육론 공통]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요인, 개발 절차를 기술하고, 구체적인 한국...
[한국사회문제 C형] 한국 도시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구...
[금융위기상황하에서의 국제기업의 재무관리][고려전선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어교육론] 문화교육의 체계적 분류 [문화교육 문제점 세종한국어 문화교육 문화 분류 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