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Ⅰ. 신채호( 申采浩 )
1. 신채호의 생애와 활동
2. 신채호의 현실인식과 정치․사회사상
3. 신채호의 역사학과 역사관
4. 신채호사학의 사학사적 위치
Ⅱ. 박은식( 朴殷植 )
1. 생 애
2. 국혼론적 역사인식
3.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
(1) 「한국통사」
(2) 「한국독립운동지혈사」
4. 사학사적 의의
- 결 론
Ⅰ. 신채호( 申采浩 )
1. 신채호의 생애와 활동
2. 신채호의 현실인식과 정치․사회사상
3. 신채호의 역사학과 역사관
4. 신채호사학의 사학사적 위치
Ⅱ. 박은식( 朴殷植 )
1. 생 애
2. 국혼론적 역사인식
3.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
(1) 「한국통사」
(2) 「한국독립운동지혈사」
4. 사학사적 의의
- 결 론
본문내용
역사를 개척하는 시대라고 파악했다. 이에 따라 그의 국혼론적 역사인식에 나타난 관념론적 한계를 탈피해 갔으며, 역사발전에서 민중의 역할을 중시하면서 영웅중심주의적 역사관을 점차 극복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4. 사학사적 의의
박은식사학은 구한말 역사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근대 민족주의적 역사학의 체계를 확립했다는 점에서 사학사적 의의가 크다. 첫째, 전통적 서술체제를 탈피, 인과관계에 따라 사실을 설명, 분석, 비판하는 근대적 역사서술체제를 개척하였다. 둘째, 민족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역사학을 수립함으로써 저항주의적이며 개혁적인 민족주의적 역사학의 전통을 수립했다. 셋째, 그의 투철한 실천적 관심은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제고하여 대부분의 민족주의적 역사학자들이 고대사 연구에 집중한 것과는 달리 근대사 연구에 개척적인 업적을 남기게 되었다. 특히 한국근대사를 일제의 침략과 그에 대한 저항이라는 각도로 파악하는 시각은 후에 한국근대사 연구의 기본적 구도로 자리잡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의 국혼론적 역사인식은 관념론적이며 영웅주의적인 요소를 지닌 한계가 있었다.
< 결 론 >
앞에서 두 민족사학자의 생애, 역사학, 역사의식 등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를 통해 그들이 한국사학을 근대적인 역사과학으로 끌어올리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민족주의 사관에 관념론적이며, 영웅주의적인 요소를 지녔다는 한계점도 있지만 이를 극복하여 그들의 사학이 지니는 정신사관의 기조를 이어받아 현대 사학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4. 사학사적 의의
박은식사학은 구한말 역사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근대 민족주의적 역사학의 체계를 확립했다는 점에서 사학사적 의의가 크다. 첫째, 전통적 서술체제를 탈피, 인과관계에 따라 사실을 설명, 분석, 비판하는 근대적 역사서술체제를 개척하였다. 둘째, 민족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역사학을 수립함으로써 저항주의적이며 개혁적인 민족주의적 역사학의 전통을 수립했다. 셋째, 그의 투철한 실천적 관심은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제고하여 대부분의 민족주의적 역사학자들이 고대사 연구에 집중한 것과는 달리 근대사 연구에 개척적인 업적을 남기게 되었다. 특히 한국근대사를 일제의 침략과 그에 대한 저항이라는 각도로 파악하는 시각은 후에 한국근대사 연구의 기본적 구도로 자리잡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의 국혼론적 역사인식은 관념론적이며 영웅주의적인 요소를 지닌 한계가 있었다.
< 결 론 >
앞에서 두 민족사학자의 생애, 역사학, 역사의식 등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이를 통해 그들이 한국사학을 근대적인 역사과학으로 끌어올리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민족주의 사관에 관념론적이며, 영웅주의적인 요소를 지녔다는 한계점도 있지만 이를 극복하여 그들의 사학이 지니는 정신사관의 기조를 이어받아 현대 사학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