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의 예술론 : 과학으로서의 예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우주관의 변화

2. 르네상스 우주관의 영향
1) 종교적 관용성
2) 세속적 지식의 긍정
3) 인간성(Humanitas) 의 이념
4) 창조하는 인간
5) 감각적 속성과 인식능력의 복권 : 자연에 대한 경험적 탐구의 가능성

본문내용

원리에 입각한 제2의 창조활동이라면, 이제 예술가는 단순한 직인이 아닌 지적 지식인으로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요구가 강해지기 시작하였다. 더구나,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인문학적 소양은 물론, 다방면의 과학적, 실용적 지식을 갖추고 있었던 화가의 등장은 이러한 경향을 촉진시켰다. 그리하여, 미술가들은 미술 Academy를 설립함으로써 지적원리에 입각한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의 지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1562년 프로렌스에 최초의 미술 아카데미인 Academia del Disegno가 설립되고, 이후 1648년 미술 조각 아카데미가 프랑스에 설립됨으로써 이제 미술은 liberal arts로 인정받게 된다.
■미술 아카데미에 의해 확립된 르네상스 예술의 이념은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서양 예술의 지도이념으로 기능하게 되며, 이로부터 소위 고전주의 예술의 이념이 자라나오게 된다.
■이러한 아카데미적 회화는 회화의 '지식'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선'을 통한 드로잉을 무엇보다 중용시하였다. 곧, 회화의 생명은 그것의 형태를 부여하는 드로잉에 있으며, 회화는 색으로 윤곽을 채워넣는 것이라고 여겼다. (알베르티는 "어떠한 구성이나 채색도 윤곽이 불완전하다면 칭찬받을 수 없다. 윤곽은 그 자체로서 즐거움을 주는 것익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들은 고대미술을 자연의 아름다움을 모방한 영원한 모델로 간주, 고대 건축물을 측정한 비례를 모든 건축물에 적용하고, 고대미술로부터 아름다운 것을 모방함에 있어 따라야 할 규칙을 도출하고 이를 모방하였다.
이러한 미술 아카데미에서는
- 인물들은 이상적이고, 색은 순수하며, 균형잡히고 조화로와야 한다.
- 그림의 공간은 골고루 메워져야 하며, 주인공은 중앙에 배치하고 가장 강한 빛을 받아야 한다.
- 측면과 가장자리는 중요치 않은 것으로 채워져야 한다.
- 전경은 밝은 색으로 칠하고, 배경에 비해 정교하며 인물은 고부조로 눈에 잘 띄어야 한다.
- 나이있고 위엄있는 인물은 '긴 옷'을, 처녀는 '가볍고 얇은 옷'을, 노예나 시골사람은 '짧고 거친 옷'을 입히고, 인물들의 손과 발이 드러나도록 그려져야 한다는 등의 규칙을 요구하였다.
* 선과 색의 논쟁
선을 중시하는 아카데미 회화에 반발, 회화에서의 색을 중시하는 일군의 화가들에 의해 이루어진 논쟁.
푸셍, 미켈란젤로 등 고전주의 회화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회화는 드로잉 없이 어떠한 형상도 만들어내지 못하며, 드로잉이 회화의 장점과 우수함을 이루는 것이지 색은 아니다 " 며 아카데미에 의해 확립된 고전주의 회화의 이념을 주창하였던데 반해, 루벤스, 티티안등의 화가들은 "회화의 본질은 색이며, 조각의 본분은 드로잉이다. 채색은 회화의 필수적 부분일 뿐 아니라 화가를 화가답게 만드는 부분이다. 드로잉이 그림의 신체라면 색은 그 영혼이다"며 회화에서의 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후에 낭만주의적 회화의 이념으로 발전되어 나가게 된다.
참고문헌
<르네상스 철학에서의 개체와 우주> , 카시러, (민음사)
<미학사>, 비어즐리, (이론과 실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5.23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1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