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목표달성에 유용한 학습경험은 어떻게 선정하나?
1) “학습경험”이라는 용어의 의미
2) 학습경험 설정의 일반적 원칙
3) 목표달성에 유용한 학습경험의 예
3.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한 학습경험의 조직
1) “조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 효과적인 조직의 준거(Criteria for effective organization)
3) 학습경험을 조직할 때의 요소(Elements to be organized)
4) 조직의 원리(Organizing principles)
5) 조직의 구조(Organizing structure)
6) 조직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법(Planning a unit of organization)
4. 학습경험의 평가방법
1) 평가의 필요성
2) 평가에 대한 기본 개념
3) 평가 절차
4) 평가결과의 활용
5) 평가 절차의 활용과 가치
1) “학습경험”이라는 용어의 의미
2) 학습경험 설정의 일반적 원칙
3) 목표달성에 유용한 학습경험의 예
3.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한 학습경험의 조직
1) “조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 효과적인 조직의 준거(Criteria for effective organization)
3) 학습경험을 조직할 때의 요소(Elements to be organized)
4) 조직의 원리(Organizing principles)
5) 조직의 구조(Organizing structure)
6) 조직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법(Planning a unit of organization)
4. 학습경험의 평가방법
1) 평가의 필요성
2) 평가에 대한 기본 개념
3) 평가 절차
4) 평가결과의 활용
5) 평가 절차의 활용과 가치
본문내용
여러 분야를 보여줌으로써 상호의존성의 개념을 넓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생활 등.
학교 교육과정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조직 원리의 하나는 연대순(chronological).
-역사과목; 역사의 발전을 연대순으로 파악하게 하는 것
다양한 학습경험의 조직 원리
-적용의 폭을 증가(breadth of application)
-학습활동의 영역을 증가(range of activity)
-분석에 의한 설명의 활용(use of description followed by analysis)
-더욱 어려워지는 원리들은 구체적 사실을 통하여 예를 들어서 설명하는 등...
5) 조직의 구조(Organizing structure)
학습경험을 조직하는 주요 구조를 고려해야함.
교육과정, 프로그램 수준
-구체적인 과목들로 조직하는 구조; 지리, 셈하기, 쓰기, 말하기, 역사 등
-넓은 교과영역으로 조직하는 구조; 사회교과, 언어교과, 수학교과, 자연과학 등
-교과나 구체적인 과목이 통합된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 구조
-각 교과나 과목을 구분하지 않는 하나의 프로그램 형태의 구조
코스(course) 수준
-사회과학 1,2,3 계열로 코스를 조직하는 방법
-학기나 학년 단위로 코스를 조직하는 방법; 10학년 고대사, 11학년 현대유럽사 등...
단원(unit), 단시수업(lesson plan) 수준
-단시수업; 하루 단위로 학습 내용을 구성 조직하는 방법
-주제(topic); 몇 일 또는 몇 주 동안 다룰 수 있는 주제로 학습내용을 구성 조직하는 방법
-단원; 몇 주 동안의 수업을 포함하고 문제별, 목표별로 학습내용을 구성 조직하는 방법
6) 조직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법(Planning a unit of organization)
일반적인 교육과정 조직 방법
-일반적인 조직 구조 합의; 구체적 과목, 교과, 중핵프로그램 등을 결정
-조직 원리의 합의; 수학의 경우 산수-대수-기하학 순서의 방법 등
-수업을 단시수업, 주제, 단원에 따라서 할 것인지 결정
-교사가 융통성 있게 학습경험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계획 수립
-수업계획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의 협력
4. 학습경험의 평가방법
1) 평가의 필요성
계획된 수업목표와 선정 조직된 학습경험이 실제로 실행되는지 또는 의도된 성과(효과성)를 거두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평가 작업이 반드시 필요함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구체적인 방법론의 장단점을 확인(평가)함으로써 개선해야할 점을 판별할 수 있음
2) 평가에 대한 기본 개념
일반적인 평가(평가과정)의 개념
-교육목적이 교육과정이나 학습지도에 의하여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일
-학습자 행동의 변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판별하는 과정
평가 개념의 중요한 의미
-학생들의 행동(행동변화)을 분석하는 것
-평가는 한번 이상 이루어져야함; Pretest-Posttest-Followup test
학생의 행동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도구
-paper and pencil test
-observ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평가에 있어서 표집(sampling)의 방법
-인간의 능력을 표집된 상황에서의 반응을 통하여 유추할 수 있음
3) 평가 절차
구체적인 평가목표의 설정; 평가목표의 준거는 교육목표(행동목표)
-평가의 목적은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 도달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것
-행동목표를 명세적으로 진술 제시해 놓으면 평가할 대상과 정도 즉, 학생들의 어떤 행동(지적/정의적/심동적)이 어느 정도(지적행동-지식력-이해력 등) 발전/변화되었는지를 명확하게 할 수 있음
행동이 표현될 수 있는 조건을 분명하게 해야함
-교육목표에 설정된 행동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어떤 조건에서 제공하였는가를 밝혀내는 일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어떤 조건에서 주어지는 가를 밝혀야함
평가도구의 선정과 개발
-평가도구 선정과 개발의 원칙(목표와의 적절성과 정확한 행동의 측정가능성)
: 달성하려는 목표에 비추어 보았을 때 평가 도구가 적절한가?
: 목표 행동을 유발시키는 조건을 그 시험지(평가도구)가 제공하고 있는가?
-시험환경에서 학생들의 행동을 기록할 수 있는 방법 결정
: 필기시험, 관찰, 면접 등
행동 기록을 분석하는 데 사용하는 용어나 단위의 결정
-행동의 어떤 특성을 평가하고 그것을 어떤 단위로 처리하느냐의 문제
-인간의 행동분석은 단순한 점수 집계에 의해서가 아닌 분석적 평가를 취해야함
: A학생은 97점, B학생은 64점?
: 평가는 장단점을 밝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목표를 기준으로 그 정도를 분석적으로 평
가함.
성적 평가 방법의 객관성
-표집된 행위의 객관성; 표집의 정도
-평가도구의 객관성(신뢰도와 타당도)
: 신뢰도(RELIABILITY)= 평가도구의 안정성(test=retest)
한 검사나 시험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느 정도 일관성(consistency)있게 재고 있 느냐는 것과 관련된 정확성
: 타당도(VALIDITY)=잴 것을 정확하게 재고 있느냐
타당도(validity)란 검사 또는 시험이 평가하려고 하는 내용을 충실하게 재고 있는 정도 를 의미하며, 타당도를 추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검사점수와 외적 준거와의 상관계수 를 산출하는 것
-점수를 집계하는 방법의 객관성
4) 평가결과의 활용
평가 결과 정보는 학생들의 변화 정도나 교육의 성과를 확인하는데 활용함
평가 결과의 원인을 추적하고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함
평가의 결과는 교육과정과 학습지도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됨
목표-내용-방법-평가의 지속적인 순환과정을 통한 교육의 질 개선 확보
5) 평가 절차의 활용과 가치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확인하고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평가의 활용
분명한 교육목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면 평가는 목표를 분명히 제시하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음
평가는 학습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침
평가절차는 학생들의 개인지도에 있어서 중요함
-학생들의 배경, 출발점 행동, 요구 진단
-학생들의 목표 달성 정도의 확인
평가는 학부모에게 학교의 성공을 설명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함
-학부모는 자녀에게 어떤 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알 권리가 있다
학교 교육과정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조직 원리의 하나는 연대순(chronological).
-역사과목; 역사의 발전을 연대순으로 파악하게 하는 것
다양한 학습경험의 조직 원리
-적용의 폭을 증가(breadth of application)
-학습활동의 영역을 증가(range of activity)
-분석에 의한 설명의 활용(use of description followed by analysis)
-더욱 어려워지는 원리들은 구체적 사실을 통하여 예를 들어서 설명하는 등...
5) 조직의 구조(Organizing structure)
학습경험을 조직하는 주요 구조를 고려해야함.
교육과정, 프로그램 수준
-구체적인 과목들로 조직하는 구조; 지리, 셈하기, 쓰기, 말하기, 역사 등
-넓은 교과영역으로 조직하는 구조; 사회교과, 언어교과, 수학교과, 자연과학 등
-교과나 구체적인 과목이 통합된 중핵 교육과정(core curriculum) 구조
-각 교과나 과목을 구분하지 않는 하나의 프로그램 형태의 구조
코스(course) 수준
-사회과학 1,2,3 계열로 코스를 조직하는 방법
-학기나 학년 단위로 코스를 조직하는 방법; 10학년 고대사, 11학년 현대유럽사 등...
단원(unit), 단시수업(lesson plan) 수준
-단시수업; 하루 단위로 학습 내용을 구성 조직하는 방법
-주제(topic); 몇 일 또는 몇 주 동안 다룰 수 있는 주제로 학습내용을 구성 조직하는 방법
-단원; 몇 주 동안의 수업을 포함하고 문제별, 목표별로 학습내용을 구성 조직하는 방법
6) 조직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법(Planning a unit of organization)
일반적인 교육과정 조직 방법
-일반적인 조직 구조 합의; 구체적 과목, 교과, 중핵프로그램 등을 결정
-조직 원리의 합의; 수학의 경우 산수-대수-기하학 순서의 방법 등
-수업을 단시수업, 주제, 단원에 따라서 할 것인지 결정
-교사가 융통성 있게 학습경험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계획 수립
-수업계획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의 협력
4. 학습경험의 평가방법
1) 평가의 필요성
계획된 수업목표와 선정 조직된 학습경험이 실제로 실행되는지 또는 의도된 성과(효과성)를 거두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평가 작업이 반드시 필요함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구체적인 방법론의 장단점을 확인(평가)함으로써 개선해야할 점을 판별할 수 있음
2) 평가에 대한 기본 개념
일반적인 평가(평가과정)의 개념
-교육목적이 교육과정이나 학습지도에 의하여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일
-학습자 행동의 변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판별하는 과정
평가 개념의 중요한 의미
-학생들의 행동(행동변화)을 분석하는 것
-평가는 한번 이상 이루어져야함; Pretest-Posttest-Followup test
학생의 행동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도구
-paper and pencil test
-observ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평가에 있어서 표집(sampling)의 방법
-인간의 능력을 표집된 상황에서의 반응을 통하여 유추할 수 있음
3) 평가 절차
구체적인 평가목표의 설정; 평가목표의 준거는 교육목표(행동목표)
-평가의 목적은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 도달되었는가를 확인하는 것
-행동목표를 명세적으로 진술 제시해 놓으면 평가할 대상과 정도 즉, 학생들의 어떤 행동(지적/정의적/심동적)이 어느 정도(지적행동-지식력-이해력 등) 발전/변화되었는지를 명확하게 할 수 있음
행동이 표현될 수 있는 조건을 분명하게 해야함
-교육목표에 설정된 행동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어떤 조건에서 제공하였는가를 밝혀내는 일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어떤 조건에서 주어지는 가를 밝혀야함
평가도구의 선정과 개발
-평가도구 선정과 개발의 원칙(목표와의 적절성과 정확한 행동의 측정가능성)
: 달성하려는 목표에 비추어 보았을 때 평가 도구가 적절한가?
: 목표 행동을 유발시키는 조건을 그 시험지(평가도구)가 제공하고 있는가?
-시험환경에서 학생들의 행동을 기록할 수 있는 방법 결정
: 필기시험, 관찰, 면접 등
행동 기록을 분석하는 데 사용하는 용어나 단위의 결정
-행동의 어떤 특성을 평가하고 그것을 어떤 단위로 처리하느냐의 문제
-인간의 행동분석은 단순한 점수 집계에 의해서가 아닌 분석적 평가를 취해야함
: A학생은 97점, B학생은 64점?
: 평가는 장단점을 밝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목표를 기준으로 그 정도를 분석적으로 평
가함.
성적 평가 방법의 객관성
-표집된 행위의 객관성; 표집의 정도
-평가도구의 객관성(신뢰도와 타당도)
: 신뢰도(RELIABILITY)= 평가도구의 안정성(test=retest)
한 검사나 시험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느 정도 일관성(consistency)있게 재고 있 느냐는 것과 관련된 정확성
: 타당도(VALIDITY)=잴 것을 정확하게 재고 있느냐
타당도(validity)란 검사 또는 시험이 평가하려고 하는 내용을 충실하게 재고 있는 정도 를 의미하며, 타당도를 추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검사점수와 외적 준거와의 상관계수 를 산출하는 것
-점수를 집계하는 방법의 객관성
4) 평가결과의 활용
평가 결과 정보는 학생들의 변화 정도나 교육의 성과를 확인하는데 활용함
평가 결과의 원인을 추적하고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함
평가의 결과는 교육과정과 학습지도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됨
목표-내용-방법-평가의 지속적인 순환과정을 통한 교육의 질 개선 확보
5) 평가 절차의 활용과 가치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확인하고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평가의 활용
분명한 교육목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면 평가는 목표를 분명히 제시하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음
평가는 학습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침
평가절차는 학생들의 개인지도에 있어서 중요함
-학생들의 배경, 출발점 행동, 요구 진단
-학생들의 목표 달성 정도의 확인
평가는 학부모에게 학교의 성공을 설명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함
-학부모는 자녀에게 어떤 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알 권리가 있다
추천자료
랄프타일러(교육과정)에대하여-Ralph winfred Tyler
Ralph Tyler의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의 기본원리」요약본
브루너의 내용중심 교육과정과 타일러의 목표중심 교육과정 비교
타일러모형
타일러의 교육 과정 모형
[교육과정및평가]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과 듀이의 경험중심교육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
타일러 브루너비교
[경험중심교육과정]경험중심교육과정의 개념, 경험중심교육과정의 유형, 경험중심교육과정의 ...
[영재교육과정][공동교육과정][경험중심교육과정][기록관리학교육과정][정보교육교육과정][열...
[브루너지식구조론, 듀이경험중심교육]브루너지식구조론과 듀이경험중심교육을 교육목표교육...
[교육이론] 타일러와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 정리와 비교분석
[교육과정2017]다음 문제 중 2문제를 선택하여 자세히 논하시오.(경험주의 교육과정, 다문화 ...
몰입경험의 개념과 특징 진행원리와 활동 몰입의 영향요인과 시사점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