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칸트 윤리학의 출발점에 관한 파악
1. 들어가면서
2. 도덕 형이상학
2-1. 도덕 형이상학의 자리매김
2-2. 도덕 형이상학과 실천적 인간학의 분리
3. 도덕 형이상학의 필연성
3-1. 이론적 요청
3-2. 실천적 요청
4. 덧붙이기
5. 나가면서
1. 들어가면서
2. 도덕 형이상학
2-1. 도덕 형이상학의 자리매김
2-2. 도덕 형이상학과 실천적 인간학의 분리
3. 도덕 형이상학의 필연성
3-1. 이론적 요청
3-2. 실천적 요청
4. 덧붙이기
5. 나가면서
본문내용
다시 말해서 인생의 본질적인 사실들만을 직면해 보려는 것이었으며, 인생이 가르치는 바를 내가 배울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던 것이며, … 나는 삶이 아닌 것은 살지 않으려고 했으니, 삶은 그처럼 소중한 것이다. … 나는 인생을 깊게 살기를, 인생의 모든 골수를 빼먹기를 원했으며… 「월든」, p129~130
그렇지만 칸트에게 있어서의 도덕적 인간은 소로우와 같은 인간적인 냄새는 덜 풍기는 그야말로 감정이 배제된 상태의 철저히 이성적인 인간이라는 - 물론 그가 어떤 행위에 따른 기쁨이나 슬픔의 감정 모두를 무시하진 않았지만 - 것은 확고하고 흔들리지 않는 도덕적 기초를 놓고자 했던 그의 기획의 철저히 철학적 사변적인 논리의 확고함에 반해 일상적인 상식적 삶에서의 접목이 힘들어 보이는 것이 아쉽다. 이것이 인간의 현실적인 문제라기 보다 권리의 문제라고 말하더라도, 개인이 입법자요 실천자가 되는 상황은 불완전한 인간의 현실적 상황에서 볼 때 칸트가 요청하는 신의 형상보다는 더 나아간 입법자로서의 신의 형상이 요구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가 살던 시대가 휴머니즘에 기초한 시대라 하더라도 또한 현재까지의 모든 진행을 보더라도 중세의 잘못된 방향을 수정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정반대의 방향만을 요청해야 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참 고 문 헌
I. Kant, 『실천이성비판』, 최재희 옮김, 박영사, 1981
한국칸트학회 편,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로버트 L.애링턴, 『서양 윤리학사』, 김성호 옮김, 서광사, 2003
H.D. 쏘로우, 『월 든』, 강승영 옮김, 이레, 2001
그렇지만 칸트에게 있어서의 도덕적 인간은 소로우와 같은 인간적인 냄새는 덜 풍기는 그야말로 감정이 배제된 상태의 철저히 이성적인 인간이라는 - 물론 그가 어떤 행위에 따른 기쁨이나 슬픔의 감정 모두를 무시하진 않았지만 - 것은 확고하고 흔들리지 않는 도덕적 기초를 놓고자 했던 그의 기획의 철저히 철학적 사변적인 논리의 확고함에 반해 일상적인 상식적 삶에서의 접목이 힘들어 보이는 것이 아쉽다. 이것이 인간의 현실적인 문제라기 보다 권리의 문제라고 말하더라도, 개인이 입법자요 실천자가 되는 상황은 불완전한 인간의 현실적 상황에서 볼 때 칸트가 요청하는 신의 형상보다는 더 나아간 입법자로서의 신의 형상이 요구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가 살던 시대가 휴머니즘에 기초한 시대라 하더라도 또한 현재까지의 모든 진행을 보더라도 중세의 잘못된 방향을 수정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정반대의 방향만을 요청해야 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참 고 문 헌
I. Kant, 『실천이성비판』, 최재희 옮김, 박영사, 1981
한국칸트학회 편, 『칸트와 윤리학』, 민음사, 1996
로버트 L.애링턴, 『서양 윤리학사』, 김성호 옮김, 서광사, 2003
H.D. 쏘로우, 『월 든』, 강승영 옮김, 이레,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