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의 호한체제속에 등장한 균전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북위(北魏)의 중원진출과 호한체제(胡漢體制) 배경
● 북위 균전제의 성립과 호한체제
● 균전제 ․ 중국화 정책의 의의

본문내용

는 농업 전반에 대한 국가의 개입, 전토의 경작면적에 대한 할당, 수확에 대한 배당이라는 점에서 계구수전제를 그 연원으로 두고 있다 할 것이며, 균전제에 접근한 점은 계구수전제보다 그 대상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균전제에 보다 접근한 제도는 이른바 ‘치전제’이다. 이것의 특징은 “一夫의 制는 治田하기를 40무로 하고 中男은 20무로 하라”는 규정에서 보듯이 夫, 중남 등 연령규정이 있다는 점이고 급전액(給田額)이 후의 균전제와 바로 연결된다는 점인데, 이 두 규정은 서진의 과전제에서 차용한 것이 거의 확실하다. 이런 점에서 균전제는 그 원류를 일방적으로 한적전통(漢的傳統)에서 찾는 종래의 방법은 수정되어야 할 것 같으며, 호한적 요소가 고루 가미되어 안정된 田制로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균전제 중국화 정책의 의의
위에서 알아본 균전제는 북위이래 북제(北齊)북주(北周)수(隋)당(唐)까지 약 300년간 시행되면서, 유목민적인 토지공유사상으로 중국 전통의 왕토사상을 현상화시키는데 이바지하게 된다. 하지만 효문제가 취한 균전제를 포함한 여러 중국화정책은 시기적절한것이라 할 수 있겠으나, 그 추진내용과 속도가 너무 혁신적이고 급속하였던 점과 문벌귀족주의 국가로의 개편에서 소외된 각 계층과 집단을 수용해 들이지 못했던 점에서, 그의 중국화정책은 의도와는 달리 중국을 진흥시키지 못한 채 멸망을 가속화시킨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효문제에 의해 취해진 중국화정책의 결과는 이후 이민족정복왕조의 중국지배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으며, 수당 제국에 와서 어느정도 완성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고 할것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6.01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