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한다면 바람직한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의 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가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한다면 바람직한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의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뉴미디어의 등장

뉴미디어와 ‘이용과 충족 이론’

뉴미디어와 ‘지식격차 가설’

뉴미디어와 ‘침묵의 나선’이론에 대한 비판

결론

본문내용

묵의 소용돌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침묵의 소용돌이' 또는 '침묵의 나선'은 사람들이 소수에 속한다고 생각할 때 그들의 의견을 감추어야 한다고 느끼는 점차적인 압력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노엘레 - 노이만의 말을 인용해 쉽게 다시 정리해보자면
"자기의 의견이 확산되고 다른 사람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느끼는 사람들은 공개적으로 자신 있게 그 의견을 말할 것이다. 반면에 자신의 의견이 터전을 잃고 있다고 느끼는 개인들은 더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고자 할 것이다."
그리고, 침묵의 소용돌이 가설은 9가지를 전제하고 있는데,
1. 개인은 각자의 의견을 보유.
2.타인과의 고립을 두려워하는 개인을 타인과 다른 의견을 보이면 침묵.
3.타인의 의견에 대한 세밀한 관찰.
4.매스미디어는 여론의 전파.지지.반대에 대한 중요 정보원.
5.준거집단도 매스미디어와 같은 영향.
6.매스미디어는 동일한 목소리(즉. 공명성 - consonance)
7.매스미디어는 여론 종사자의 편견 때문에 여론을 왜곡할 소지.
8.어떤 경우에는 다수의견을 보이는 집단의 구성원도 집단에 대한 지지가 약화되면 침묵.
9.결국 사회는 매스미디어에 의하여 조작,왜곡될 가능성 농후. 이다.
하지만, 뉴 미디어의 도래 이후 이 이론은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가장 크게 드러난 것은 바로 '익명성'이다. 기존 자신의 주장에 대해 소수라고 느낄 경우 침묵을 지키던 이들은 바로 이런 '익명성'에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고 그 게시판은 활성화되고 있다.
그리고, 커뮤니티를 들 수있는데, 예를 들어 '제 3의 성'으로 소수로 인정받는 트렌스젠더,게이,레즈비언들이 인터넷에 커뮤니티와 카페등을 만들어 자신들의 의견을 주고 받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TV와 위성방송등 채널 전문화로 인하여 '오타쿠'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만화나 영화, 또는 여성 채널등을 보면서 기존 매스미디어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얻지 못하는 한계성에서 벗어나 전문채널로 인해 전문가가 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뉴 미디어의 장점에 대해 '침묵의 나선'이론은 어떠한 반박을 제기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는 바야흐로 뉴미디어 시대를 살고 있다. 매체라는 뜻을 지닌 미디어라는 용어가 우리 사회에 등장한 것도 얼마 되지 않은 듯 한데, 종래의 미디어보다 더욱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지닌 뉴미디어가 이미 우리의 삶을 지배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날로 새로워지는 문명 현상의 확산은 또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제는 '개인'이다. 더 이상 대중을 선택해서 연구한다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며 역행하는 사고 방식이다. 지식기반을, 정보를 추구하는 오늘날 거기에 따른 빠른 발맞춤의 이론이 필요하다.
'미디어가 바로 메시지다'
마샬 맥루한은 새롭게 대두되는 뉴미디어에 대하여 이렇게 정의내렸다.
인간은 미디어를 통한 메시지 수용자,이용자,해석자이기 이전에 메시지의 생산자이다. 미디어를 사이에 두고 이루어지는 메시지의 생산과 소비가 바로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과정이 점차 동시적인 하나의 과정으로 광범위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효과적인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연구할려면 무작정 이론을 고수하기보단 시대의 변화에 맞춰 이론도 바뀌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 문헌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인간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나은영 <한나래>.2003
대중문화와 뉴 미디어. 강현구.김종태 공저. 월인. 2003
참여군중. 하워드 라인골드.이운경 옮김. 황금가지. 2003.
대중매체이론과 사상. 강준만 저 개마고원. 2001
현대 매스미디어 원론.방정배. 나남 1996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6.0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9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