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모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산모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모시의 유래

2.모시의 생산과정
(1)모시재배
(2)모시베기
(3)모시째기
.....
3.한산세모시란

4.나의 감상

본문내용

것이다.
또 한번 놀란 것은 선조들의 지혜. 그리 썩 갖추어진 정교한 기계는 아니지만, 실을 고르고, 걸고, 베를 짜고 하는데 사용되었던 모든 기구들과 또 그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 등은 상상을 초월했다. 나무막대기 몇 개가 실을 감고, 베를 짜는 도구가 되었다. 또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익숙한 장인의 손놀림이 놀라울 뿐이었다.
하지만 이번 비디오를 보면서 느낀 점은 모시의 대중화이다. 물론 세모시의 섬세한 손놀림과 정성이 중요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있어 모시란 나이 지긋하신 분이 여름에 입는 얇고 까실한 옷 정도일테니까. 우리는 세계적으로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을 대단한 유산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모시가 심지어 우리에게서도 낡은 문물 따위로 치부되어 버리고 있지 않은가.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모시의 대중화에 우선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모시를 좀더 실생활에서 가깝게 만날 수 있게 하기 위해선 생산과정의 기계화가 필요하다. 세모시란 최상급의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수작업이 불가피하겠지만, 좀 더 저렴하고 다양한 모시를 위해서는 기계를 이용하여 생산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모시를 활용한 다양한 의복은 물론 다양한 상품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 모시를 젊은 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색다fms 디자인으로 나서 보거나, 혹은 모시의 결과 질감을 이용한 생활 소품 등을 다양하게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우리의 모시는 남부럽지 않은 선조들의 우리에게 남겨준 소중한 보물이다. 우리는 이러한 모시를 계승하고 계발하여 세계적이며, 한국적인 섬유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6.0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