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 문화론 이란?
2. 일본 문화론의 계보
3. 집단주의란 무엇인가
4. 집단주의와 무자아성
5. 집단주의와 일본 문화론의 키워드
6. 집단주의와 연대적 자율성
7. 집단주의와 이데올로기론
2. 일본 문화론의 계보
3. 집단주의란 무엇인가
4. 집단주의와 무자아성
5. 집단주의와 일본 문화론의 키워드
6. 집단주의와 연대적 자율성
7. 집단주의와 이데올로기론
본문내용
속한 의사 친족적 조직에 대해 무한정한 자발적 충성을 다하는 것이다. 그는 일본 근대화의 원동력을 이것으로 주장했다.
8. 집단주의와 이데올로기론
아오키 타모츠는 일본문화론이 베네딕트 이후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를 일반론으로 취급해 왔다고 비판한다. 베후 하루미 또한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문화론(1987)'에서 아오키의 의견에 동조하고 있다. 그는 일본문화론은 사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한 것이 아니라 일본의 특징을 적당하게 하나의 시스템으로 만들어 낸 것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만약 일본인을 관찰한 학자가 서양문화권이 아니었다면, 즉 집단지향이 강조되는 문화권 출신의 학자의 눈으로 관찰했다면 일본인의 집단주의적인 면은 문제시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그렇다면 왜 일본의 학자마저 일본문화를 집단주의로 취급하는 것일까? 그것은 일본의 연구자가 비교의 대상으로 서구사회를 취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따라서 서양인의 견해를 그대로 받아들였다고 주장한다. 한편 일본 문화론의 집단주의를 부정하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론을 주창하고, 이데올로기론 때문에 문화론은 대중 소비재가 되었다고 말했다. 일본인의 무자아성이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문화론을 창출해 낸 것이다.
8. 집단주의와 이데올로기론
아오키 타모츠는 일본문화론이 베네딕트 이후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를 일반론으로 취급해 왔다고 비판한다. 베후 하루미 또한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문화론(1987)'에서 아오키의 의견에 동조하고 있다. 그는 일본문화론은 사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한 것이 아니라 일본의 특징을 적당하게 하나의 시스템으로 만들어 낸 것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만약 일본인을 관찰한 학자가 서양문화권이 아니었다면, 즉 집단지향이 강조되는 문화권 출신의 학자의 눈으로 관찰했다면 일본인의 집단주의적인 면은 문제시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한다. 그렇다면 왜 일본의 학자마저 일본문화를 집단주의로 취급하는 것일까? 그것은 일본의 연구자가 비교의 대상으로 서구사회를 취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따라서 서양인의 견해를 그대로 받아들였다고 주장한다. 한편 일본 문화론의 집단주의를 부정하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론을 주창하고, 이데올로기론 때문에 문화론은 대중 소비재가 되었다고 말했다. 일본인의 무자아성이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문화론을 창출해 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