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N세대를 위한 유교철학 에세이
―과학속의 윤리, 윤리속의 과학―
들어가며------〉(나의 문제인식)
1. 참된 과학을 위한 대화
2. 유학의 과학적인 생각과 윤리적 추구
3. 학문 추구의 궁극적 이유
4. 과학을 생각하는 삶과 삶을 생각하는 과학
마치며--------〉( 유학에 대한 발상의 전환)
―과학속의 윤리, 윤리속의 과학―
들어가며------〉(나의 문제인식)
1. 참된 과학을 위한 대화
2. 유학의 과학적인 생각과 윤리적 추구
3. 학문 추구의 궁극적 이유
4. 과학을 생각하는 삶과 삶을 생각하는 과학
마치며--------〉( 유학에 대한 발상의 전환)
본문내용
주자학의 학문적 방법은 실은 인과율적(자연과학적)인 것이다. 본디 유교는 노력하면 반드시 성인이 된다고 하였다. 그 대원칙에 따라 주자는 성인에 이르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 과정은 전체적으로 말하자면 도덕적 완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지만, 그 도중에 '격물치지(格物致知)'라는 단계가 있다. 이것은 "물(物)(의 진리)에 이르고, 지(知)를 이룬다"는 뜻인데, 요컨대 지식 단계에서는 논리적으로 인과율적으로 순서를 따라서 닦아 가는 것이다. 다만 지식을 넘어서 지혜를 알 단계에는 직각(直覺)이라는 도약이 이루어지지만. 이 단계적이며 인과율적 추론을 주자는 제자들에게 철저히 가르쳤다.
주자학이 사고방법으로 주장한 '격물치지'는 자연과학의 인과율적 사고에 가깝다. 따라서 유교에서는 여기에다가 인간의 참된 윤리를 덧붙였다고 할 수 있다.
이래도 유교가 과학적이지 못한가? 우리는 그 동안 유교적인 문화를 너무나 부정적인 측면에서만 보는 애꾸눈이 아니었는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이 반성 자체가 유학적 사고의 기본 틀일 테니까 말이다.
ps : 굵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나의 견해에 해당합니다.
참고자료 : 가지노부유끼 저, 김태준 역 「유교란 무엇인가」지영사
주자학이 사고방법으로 주장한 '격물치지'는 자연과학의 인과율적 사고에 가깝다. 따라서 유교에서는 여기에다가 인간의 참된 윤리를 덧붙였다고 할 수 있다.
이래도 유교가 과학적이지 못한가? 우리는 그 동안 유교적인 문화를 너무나 부정적인 측면에서만 보는 애꾸눈이 아니었는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이 반성 자체가 유학적 사고의 기본 틀일 테니까 말이다.
ps : 굵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나의 견해에 해당합니다.
참고자료 : 가지노부유끼 저, 김태준 역 「유교란 무엇인가」지영사
키워드
추천자료
과학자의 도덕적/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가
[과학사]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유전자공학
현대과학기술의 특징과 구체적인 사례에 관한 고찰
일상 생활 속 과학적 논리 찾기 - 스피드 건
영화 속의 과학
[정치학*사회과학]현대 한국외교의 문제점과 과제에 관하여-국제정세속의 한국외교를 중심으로
(자연생명과학) 우리 생활속의 소나무
[사회과학] 이미지와 환상 감상문; '환상 속의 그대 눈을 떠라'
[사회과학]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우리은행`][`A+레포트`]
한경희생활과학 기업분석 보고서
[과학독후감] 과학은 어디로 가는가를 읽고
사회복지조사는 자연과학과는 달리 윤리적 문제의 발생소지가 높은데 아래 제시된 두 개의 사...
생물논리 및 논술_과학보고서쓰기_빛의 세기에 따른 광합성 속도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