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교육평가의 개념
2. 교육평가의 유형(類型)
2. 교육평가의 유형(類型)
본문내용
형성평가의 특징
ㄱ. 정보의 송환(送環)(feedback)과 교정(矯正)
ㄴ. 교수(敎授)-학습(學習)이 유동적인 시기에 교과내용, 교수, 학습의 개선을 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
ㄷ. 교수(敎授)-학습과정(學習過程)을 제일차적으로 이끌어가고 개선해 가야할 교사 가 제작하는 것이 원칙이다.
ㄹ. 교육목표 혹은 교수목표에 기초한 평가를 한다.
나.형성평가의 기능
ㄱ.학습행동의 강화(强化)
형성평가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진 것은 무엇이며 아직 더 공부해 야할 것은 무엇인지 학습결과에 대해 시기적절하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서 그 뒤에 이루어지는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동시에 학습행동을 강 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ㄴ. 학습(學習)곤란(困難)의 진단과 교정(矯正)
형성평가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곤란 또는 학습결손을 정확히 밝혀서 이를 교정하고 보충(補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형성평가는 교수와 학습이 유동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만약 만족할 만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교정-보충학습을 할 수 있다.
ㄷ. 학습진전(學習進展)의 효율화(效率化)
형성평가는 학습진행 속도를 조절함으로서 효율적인 학습진전을 가능하게 한다.
ㄹ. 학습지도(學習指導)방법의 개선(改善)
형성평가는 학생들에게 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교수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므로 교사가 자신의 학습지도방법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3)총합(總合)평가
총합평가는 주어진 학습과제(學習課題)에 대한 일정한 기간의 수업이 종결되었을 때, 그동안의 학습성과를 총괄적으로 사정(査定)하여 수업의 효율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평가이다.
형성평가
총합평가
ㄱ.학습과제의 성취(成就)의 정도를 결정하고 성취하지 못한 과제를 정확히 붙잡아내는 데 목적
ㄴ.총합평가에 비해 빈도가 잦다.
ㄷ.세분화된 기능 및 지식의 평가
ㄹ.문항이 난이도에 관계없이 교수목표의 달 성에 관심
ㅁ.목표지향평가에 의거
ㄱ.전체교과목이나 그것의 중요한 부분에 걸 친 학업성과가 어느정도 달성되었는지 하 는 정도를 총평(總評)하기위한 목적
ㄴ.형성평가에 비해 빈도 적다.
ㄷ.일반화되고 광범위한 목표를 평가
ㄹ.교육목표를 모집단으로 하는 문항(問項)모 집단에서 정량의 대표적인 문항을 표집하 여야 하고 문항들의 난이도의 변산(變散) 이 비교적 넓게 퍼져있다.
ㅁ.목표지향평가에 의존
가. 형성평가와 총합평가의 차이점
나. 총합평가의 기능
ㄱ. 학업성적의 판정(判定)
ㄴ. 장래성적의 예측(豫測)
총합평가의 결과는 학생이 성공(成功)할수 있느냐 없느냐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ㄷ. 집단간의 성적비교(成績比較)
총합평가에 의하여 학생 개개인의 성적을 산출할 뿐만 아니라 학습집단 전체로서의 성적을 산출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집단간의 학습성과를 비교하는데 사용한다.
ㄹ.자격(資格)의 인정(認定)
학생들이 어느정도의 지식, 능력 및 기능(技能)을 갖추고 있는 지를 평가함으로써 어떤 자격의 유무를 판단한다.
ㅁ. 수업의 질적 관리(管理)
ㄱ. 정보의 송환(送環)(feedback)과 교정(矯正)
ㄴ. 교수(敎授)-학습(學習)이 유동적인 시기에 교과내용, 교수, 학습의 개선을 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
ㄷ. 교수(敎授)-학습과정(學習過程)을 제일차적으로 이끌어가고 개선해 가야할 교사 가 제작하는 것이 원칙이다.
ㄹ. 교육목표 혹은 교수목표에 기초한 평가를 한다.
나.형성평가의 기능
ㄱ.학습행동의 강화(强化)
형성평가는 학생들에게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진 것은 무엇이며 아직 더 공부해 야할 것은 무엇인지 학습결과에 대해 시기적절하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서 그 뒤에 이루어지는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동시에 학습행동을 강 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ㄴ. 학습(學習)곤란(困難)의 진단과 교정(矯正)
형성평가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곤란 또는 학습결손을 정확히 밝혀서 이를 교정하고 보충(補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형성평가는 교수와 학습이 유동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만약 만족할 만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교정-보충학습을 할 수 있다.
ㄷ. 학습진전(學習進展)의 효율화(效率化)
형성평가는 학습진행 속도를 조절함으로서 효율적인 학습진전을 가능하게 한다.
ㄹ. 학습지도(學習指導)방법의 개선(改善)
형성평가는 학생들에게 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교수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므로 교사가 자신의 학습지도방법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3)총합(總合)평가
총합평가는 주어진 학습과제(學習課題)에 대한 일정한 기간의 수업이 종결되었을 때, 그동안의 학습성과를 총괄적으로 사정(査定)하여 수업의 효율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평가이다.
형성평가
총합평가
ㄱ.학습과제의 성취(成就)의 정도를 결정하고 성취하지 못한 과제를 정확히 붙잡아내는 데 목적
ㄴ.총합평가에 비해 빈도가 잦다.
ㄷ.세분화된 기능 및 지식의 평가
ㄹ.문항이 난이도에 관계없이 교수목표의 달 성에 관심
ㅁ.목표지향평가에 의거
ㄱ.전체교과목이나 그것의 중요한 부분에 걸 친 학업성과가 어느정도 달성되었는지 하 는 정도를 총평(總評)하기위한 목적
ㄴ.형성평가에 비해 빈도 적다.
ㄷ.일반화되고 광범위한 목표를 평가
ㄹ.교육목표를 모집단으로 하는 문항(問項)모 집단에서 정량의 대표적인 문항을 표집하 여야 하고 문항들의 난이도의 변산(變散) 이 비교적 넓게 퍼져있다.
ㅁ.목표지향평가에 의존
가. 형성평가와 총합평가의 차이점
나. 총합평가의 기능
ㄱ. 학업성적의 판정(判定)
ㄴ. 장래성적의 예측(豫測)
총합평가의 결과는 학생이 성공(成功)할수 있느냐 없느냐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ㄷ. 집단간의 성적비교(成績比較)
총합평가에 의하여 학생 개개인의 성적을 산출할 뿐만 아니라 학습집단 전체로서의 성적을 산출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집단간의 학습성과를 비교하는데 사용한다.
ㄹ.자격(資格)의 인정(認定)
학생들이 어느정도의 지식, 능력 및 기능(技能)을 갖추고 있는 지를 평가함으로써 어떤 자격의 유무를 판단한다.
ㅁ. 수업의 질적 관리(管理)
추천자료
교육평가의 정의
교육평가 (Educational Evaluation)
교육평가의 전반적 개괄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방향 고찰
일제고사의 시행에 대한 찬.반의견과 교육관 & 교육평가방법의 이해
교육평가란 무엇인가
교육평가의 종류
교육평가의 개념과 기능
[단위학교][외국 단위학교 사례][단위학교의 개선 과제]단위학교의 교육과정, 단위학교의 교...
교육평가 - 타일러와 브루너
교육평가는 수요자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평가
유아교육평가 (이혜진)
유아교육평가A형)유아인성검사도구-검사도구 양호도를 바탕으로 인성검사도구의 목표, 문항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