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출신과 교육
2. 상해에서 고려공산당 입당
3. 국내 공산주의운동
4. 해방 후 조선공산당 구성
5. 좌우합작
6. 좌우합작의 추진
7. 역사적 경험으로서의 의미
8. 이승만과 분열 후 독자노선
9. 북한에서 남로당 활동
10. 숙청
2. 상해에서 고려공산당 입당
3. 국내 공산주의운동
4. 해방 후 조선공산당 구성
5. 좌우합작
6. 좌우합작의 추진
7. 역사적 경험으로서의 의미
8. 이승만과 분열 후 독자노선
9. 북한에서 남로당 활동
10. 숙청
본문내용
정권이 수립되자 부수상 및 외상에 취임하였으나, 세력기반이 남한에 있는 그는 소련을 등에 업은 김일성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1950년 1월 ‘남로당의 한국화’·‘남로당지하당의 남북통일에 관한 정책입안의 건’ 등을 작성하도록 지시하기도 하였으며, 1950년 6·25가 발발하자 10월 인민군내에 총정치국을 창설하여 인민군 중장으로 참전하였다.
6·25 발발 원인에 관한 북한의 남침설 중의 한 갈래로 박헌영이 자신의 지지기반인 남한을 해방하여 자신의 세력을 만회하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
10. 숙청
1953년 김일성에 의하여 남로당계 숙청이 감행되면서 8월 3일 체포되어 평안북도 철산군내의 산골에 감금되어 고문을 받다가, 1956년 7월 19일 경, 평양 근교에 있는 한 야산에서 북한의 내무상이었던 방학세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한다. 박헌영의 최후에 대한 또 다른 증언은 그가 1955년 12월 15일 재판이 종료된 직후 교수형에 처해졌다고 하기도 하고. 인터뷰는 박헌영의 죽음에 관한 것은 물론 아니다. 박헌영에 대한, 조선공산당 그리고 남조선 노동당(남로당)에 대한 평가를 의도하지도 않는다. 오늘 우리가 만날 사람은 단지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애써 되살리고 싶어하는 사람의 아들일 뿐이다. 아들의 이러한 소박한 희망은 그러나 이런 저런 이유로 무척이나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지금도 그렇고, 또 앞으로도 당분간은 그럴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정치사 Ⅰ(송남헌, 성문각, 1980)
박헌영(박갑동, 도서출판 인간, 1983)
한국공산주의운동사Ⅰ∼Ⅴ(금준엽·금창순, 청계연구소출판국, 1986). 〈금남식〉
1950년 1월 ‘남로당의 한국화’·‘남로당지하당의 남북통일에 관한 정책입안의 건’ 등을 작성하도록 지시하기도 하였으며, 1950년 6·25가 발발하자 10월 인민군내에 총정치국을 창설하여 인민군 중장으로 참전하였다.
6·25 발발 원인에 관한 북한의 남침설 중의 한 갈래로 박헌영이 자신의 지지기반인 남한을 해방하여 자신의 세력을 만회하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
10. 숙청
1953년 김일성에 의하여 남로당계 숙청이 감행되면서 8월 3일 체포되어 평안북도 철산군내의 산골에 감금되어 고문을 받다가, 1956년 7월 19일 경, 평양 근교에 있는 한 야산에서 북한의 내무상이었던 방학세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한다. 박헌영의 최후에 대한 또 다른 증언은 그가 1955년 12월 15일 재판이 종료된 직후 교수형에 처해졌다고 하기도 하고. 인터뷰는 박헌영의 죽음에 관한 것은 물론 아니다. 박헌영에 대한, 조선공산당 그리고 남조선 노동당(남로당)에 대한 평가를 의도하지도 않는다. 오늘 우리가 만날 사람은 단지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애써 되살리고 싶어하는 사람의 아들일 뿐이다. 아들의 이러한 소박한 희망은 그러나 이런 저런 이유로 무척이나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지금도 그렇고, 또 앞으로도 당분간은 그럴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정치사 Ⅰ(송남헌, 성문각, 1980)
박헌영(박갑동, 도서출판 인간, 1983)
한국공산주의운동사Ⅰ∼Ⅴ(금준엽·금창순, 청계연구소출판국, 1986). 〈금남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