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란 무엇인가
2. 왜 역사를 배우는가
3. 역사의 현재성
2. 왜 역사를 배우는가
3. 역사의 현재성
본문내용
뽑아내는 일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그 사실(史實)을 해석하여 의미를 알아내는 일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사실(史實)을 해석하는 데는 그것을 뽑을 때보다 더 강한 현재적 요구가 요청된다.
예를 들어, 한글이 창제된 일이 조선시대 이후 계속 사실(史實)로서 선택되어 왔음은 더 말할 것 없지만 그것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다.
조선시대에는 한글 창제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는 한문을 모르는 어리석은 백성을 어여삐 여김에 한정되었다. 즉, 고유의 우리 글인 데도 불구하고 국문이 되지 못하고 언문 행세를 하였고, 한글 창제라는 세종의 업적도 그다지 높은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개화시대에 와서 백성이 나라의 주인이라 생각이 높아짐에 따라 한글은 언문에서 국문의 지위로 높아지기 시작했고, 한글창제는 세종의 가장 위대한 업적으로 부각되었다.
더욱이 일제시대에 와서는 한글연구는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보았으며, 세종은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웅적인 제왕의 하나로 추앙 받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해방 후 현재에 와서는 제왕이나 영웅의 업적 중심으로 보는 경향을 지향하고 역사발전에 있어서 민중의 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렇듯 역사의 사실(史實) 선택의 기준은 현재성이다.
현재성에 의한 변화라는 것은 시대에 따라 사실(史實)에 대한 선택과 해석이 달라져 가는 것은 한마디로 그 사실(史實)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의미, 즉 그 객관적 진실성에 점점 가까워져 가는 것을 뜻하며 그것은 또 인류역사의 올바른 발전에 발맞추어 가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현재성에 의한 사실(史實)의 선택과 해석이 곧 그 사실(史實)이 가지는 객관적 진실성에 접근하는 일이며, 그것은 곡 인류역사의 바람직한, 건설적인 방향을 추구하는 길과 연결된다고 생각해 보면 역사의 현재성이란 곧 미래를 창조하기 위한 발판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를 보다 바람직하게 만들기 위하여 현재적 입장에서 과거의 사실(史實)을 선택하고 해석한다는 점에도 역사의 현재성이 가지는 의미가 있었지만, 더 나아가서 보다 바람직한 미래를 창조하기 위한 발판이 바로 현재적 입장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역사의 현재성이 가지는 한층 더 높은 뜻이 들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뒤만 돌아보는 역사가 아닌 앞을 향한 역사를 체득하는 지름길 역시 가 시대마다의 역사적 현재성을 철저히 인식하는 데 있음을 명심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사실(史實)을 해석하는 데는 그것을 뽑을 때보다 더 강한 현재적 요구가 요청된다.
예를 들어, 한글이 창제된 일이 조선시대 이후 계속 사실(史實)로서 선택되어 왔음은 더 말할 것 없지만 그것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다.
조선시대에는 한글 창제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는 한문을 모르는 어리석은 백성을 어여삐 여김에 한정되었다. 즉, 고유의 우리 글인 데도 불구하고 국문이 되지 못하고 언문 행세를 하였고, 한글 창제라는 세종의 업적도 그다지 높은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개화시대에 와서 백성이 나라의 주인이라 생각이 높아짐에 따라 한글은 언문에서 국문의 지위로 높아지기 시작했고, 한글창제는 세종의 가장 위대한 업적으로 부각되었다.
더욱이 일제시대에 와서는 한글연구는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보았으며, 세종은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웅적인 제왕의 하나로 추앙 받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해방 후 현재에 와서는 제왕이나 영웅의 업적 중심으로 보는 경향을 지향하고 역사발전에 있어서 민중의 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렇듯 역사의 사실(史實) 선택의 기준은 현재성이다.
현재성에 의한 변화라는 것은 시대에 따라 사실(史實)에 대한 선택과 해석이 달라져 가는 것은 한마디로 그 사실(史實)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의미, 즉 그 객관적 진실성에 점점 가까워져 가는 것을 뜻하며 그것은 또 인류역사의 올바른 발전에 발맞추어 가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현재성에 의한 사실(史實)의 선택과 해석이 곧 그 사실(史實)이 가지는 객관적 진실성에 접근하는 일이며, 그것은 곡 인류역사의 바람직한, 건설적인 방향을 추구하는 길과 연결된다고 생각해 보면 역사의 현재성이란 곧 미래를 창조하기 위한 발판이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를 보다 바람직하게 만들기 위하여 현재적 입장에서 과거의 사실(史實)을 선택하고 해석한다는 점에도 역사의 현재성이 가지는 의미가 있었지만, 더 나아가서 보다 바람직한 미래를 창조하기 위한 발판이 바로 현재적 입장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역사의 현재성이 가지는 한층 더 높은 뜻이 들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뒤만 돌아보는 역사가 아닌 앞을 향한 역사를 체득하는 지름길 역시 가 시대마다의 역사적 현재성을 철저히 인식하는 데 있음을 명심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