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순자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순자의 생애
2. 순자의 사상
3. 순자의 교육내용과 목적
4. 교육방법

3. 결론

본문내용

것이다.
2) 集中力과 誠實性
순자는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관하여, 한 마음으로 전심을 다할 것을 주장하였다. 새로운 지식을 학습할 때, 방해가 되는 자신의 주관(편견)을 버려야 되며, 기존의 한가지 지식으로 인해 새로운 지식을 배척하지 말고, 학문함에 있어서 난잡하지 말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순자는 편협성을 버리고 최선을 다해 단계적으로 학습에 임할 것과, 항상 정갈한 마음으로 학습에 임할 것을 권고한 것이다.
또한, 순자는 학습함에 있어서 나태함을 경계하고 최선을 다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는 "뜻을 향해 열심히 몰두하지 않으면 성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최선을 다하지 않은 일은 성공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 이는 노력하는 학생만이 학습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최선을 다하는 학생만이 국가에 필요한 관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3) 客觀性과 綜合性
순자는 학습과정 중에 학생이 쉽게 客觀性과 論理性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또한 사고를 할 때, 전체를 보지 못하고 한쪽에 치우질 수 있음을 우려하기도 했다. 즉,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오류를 지적한 것이다. 또한 순자는 "바라는 것만 아는 문제, 악함만 아는 문제, 시작만 아는 문제, 끝만 아는 문제, 먼 것만 아는 문제, 가까운 것만 아는 문제, 넓게만 아는 문제, 얕게만 아는 문제, 오래된 것만 아는 문제, 새로운 것만 아는 문제, 모든 사물은 서로 차이가 있는데, 사물을 한 면만 보는 것이 문제이다"라고 했다. 이는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전체를 보고, 종합적인 사고로 학습에 임해야 함을 나타낸 말이다.
Ⅲ. 結論
순자의 사상은 객관적이고 현실적이라는 말로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사상을 주장하는 학자나 사상가는 찾아보기 힘들다. 순자 이전의 사상가들은 대부분 모든 것의 근원을 하늘에서 찾았지만, 순자는 인간과 하늘의 관계를 끊어 버렸다. 하늘이란 비가 오고 바람 부는 자연 현상에 지나지 않을 뿐이라고 보았으며, 따라서 하늘은 인간을 낳아 준 존재가 아니며 더구나 인간의 도덕적인 행위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되고 나니 그 이전까지 하늘에 기대어 운명이라고 생각하던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진 대신에 인간은 스스로를 책임져야 하는 홀로서기의 어려움이 생겼다. 그래서 순자의 인간에 대한 생각은 인간의 지위와 실천을 극대화시킨 인문 정신의 완성이라 할 수 있겠다.
하늘과의 관계를 끊어 버린 순자의 눈에 보인 인간의 참모습은 자신의 욕심을 위해 끊임없이 싸우는 존재였을 뿐이며, 이것이 바로 순자의 성악설이다. 그러나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비록 악하다고 보았으나, 교육을 통해 변화될 수 있음[和成起僞]을 강조했다. 또한, 인간이 자연의 지배를 받는 것이 아니라, 자연이 인간을 위해 존재함을 주장한 것은 그가 전통적 가치관을 초월한 인본주의자임을 증명해준다.
이렇듯 순자의 철학이 인문 정신의 극치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본성을 악하다고 본 그 한 가지 이유만으로 훗날 많은 학자들에 의해 두고두고 비판받아야만 했음이 안타깝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1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