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진(本鎭) ·본읍(本邑)으로 보고하는 단거리선 간봉 등이 있었다. 이러한 봉수대 수는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직봉 402, 간봉 271, 계 673개소였다. 각 봉수대의 상거거리(相距距離)는 변방 제일선의 연대가 그 중요성에 비추어 10∼15리 이하로 조밀하게 배치되었고, 내지봉수로 옮겨갈수록 거리가 멀어지는데, 평상시 낮에 연기로써 신호하는 서울에서 먼 주수(晝燧)지역은 20∼30리 간격, 서울에 가까운 야화(夜火)지역은 40∼50리 정도가 기준이었다. 그리고 각 봉수 노선별로 봉수 상준처(相準處)의 산명(山名)과 거리 등을 수록하여 이를 관할 지방관아의 영진(營鎭)으로부터 중앙의 병조 ·승정원에 소장케 하였는데, 이는 봉수제도가 그만큼 국가안보 문제와 직접 연결되는 중요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