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本鎭) ·본읍(本邑)으로 보고하는 단거리선 간봉 등이 있었다. 이러한 봉수대 수는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직봉 402, 간봉 271, 계 673개소였다. 각 봉수대의 상거거리(相距距離)는 변방 제일선의 연대가 그 중요성에 비추어 10∼15리 이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4.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봉수대 같은 기이한 모양의 건물이 있었다. 내 생각이 맞았다. 봉수대였다. 명칭은 봉돈이라고 한다. 봉수대의 역할은 누구나 다 아는 것이니 언급하지 않겠다.
--- <봉 돈>
봉돈을 지나면 동남각루와 남수문이 나오는데 이들은 별로 특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봉수대로 낮에는 이리의 배설물을 피우고 밤에는 불을 피워 당시의 상황을 즉시 조정에 알리는 통신 역할을 했던 곳이다. 1894년 고종31년에 현대적인 전화 통신 체제로 바뀌면서 금산봉수대도 폐지되었다.
금산 봉수대는 전국 5거선 중 제2거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할을 하였다. 만약 직봉(주봉)이 없는 지역에 왜적이 쳐들어 왔을 때는 간봉을 통해 읍이나 진에 보고하고 한편, 간봉을 따라 봉수의 주요 선로인 직봉에 전달되었던 것이다.
봉수대에서 일하는 사람을 봉수군이라 하였는데, 출퇴근과 교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봉수대는 50리 밖을 감시하고, 연대는 현장 가까이에서 감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봉수는 일반적인 경우 석축암이 없이 둥글게 흙을 쌓아 올려 그 위에 봉덕시설을 하였고 밑에는 이중의 배수시설로 도량을 만들었다. 연대는 해안을 감시하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