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상 처
1. 상처의 유형
(1) 상처기전에 따라
(2) 오염정도에 따라
2. 상처 치유
1) 치유과정
3. 상처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내적인 요인들
2) 외적인 요인들
4. 상처 치유시 합병증
Ⅱ. 간 호 과 정
1. 사정
2. 간호진단
3. 계획
4. 수행
1) 상처세척
2) 상처 드레싱
3) 반창고 부착 방법
4) 드레싱 고정과 유지
(1) 붕대 (몸의 어떤 부위를 싸는데 사용되는 천)
(2) binder
5) 감염방지
6) 드레싱 교환
(1) 멸균 드레싱
(2) Wet-to-dry 드레싱
(3) 습기 있는 투명 드레싱
(Op-site, tegaderm, Bioocclusive)
7) 상처배액 관찰
8) 상처 치유 돕는 열과 냉 적용
(1) 열 적용의 효과
(2) 냉 적용의 효과
(3) 열냉적용의 전신효과
(4) 온 냉적용 금기
(5) 온 냉 적용 간호 중재법
1. 상처의 유형
(1) 상처기전에 따라
(2) 오염정도에 따라
2. 상처 치유
1) 치유과정
3. 상처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내적인 요인들
2) 외적인 요인들
4. 상처 치유시 합병증
Ⅱ. 간 호 과 정
1. 사정
2. 간호진단
3. 계획
4. 수행
1) 상처세척
2) 상처 드레싱
3) 반창고 부착 방법
4) 드레싱 고정과 유지
(1) 붕대 (몸의 어떤 부위를 싸는데 사용되는 천)
(2) binder
5) 감염방지
6) 드레싱 교환
(1) 멸균 드레싱
(2) Wet-to-dry 드레싱
(3) 습기 있는 투명 드레싱
(Op-site, tegaderm, Bioocclusive)
7) 상처배액 관찰
8) 상처 치유 돕는 열과 냉 적용
(1) 열 적용의 효과
(2) 냉 적용의 효과
(3) 열냉적용의 전신효과
(4) 온 냉적용 금기
(5) 온 냉 적용 간호 중재법
본문내용
상처자체가 아닌 상처 주위 피부에만 붙음.
⑤ 드레싱 제거하지 않고 샤워 목욕할 수 있음.
7) 상처배액 관찰
8) 상처 치유 돕는 열과 냉 적용
(1) 열 적용의 효과
ㆍ장점 - 연조직 치유 향상시키고 화농을 증가시킴
ㆍ단점 -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시킴. 세포외액와 혈장 단백질 같은 물질들 이 모세혈관벽을 통과하고 부종이나 선재하는 부종을 증가시킴.
(2) 냉 적용의 효과
ㆍ장점 - 혈관 수축시켜 피부와 피하조직의 온도 내림. 출혈과 부종 형성을 억제하고 세포내 대사율을 저하시켜 염증반응 억제.
(3) 열냉적용의 전신효과
① 반동현상 - 열냉 작용의 최고 효과가 이루어진 후 반대효과가 시작되는 때에 일어남.
② 전신효과 - 신체부위에 적용된 열이 심박출과 폐의 공기정화를 증가 시켜 혈압 하강.
③ 내약력 - 열 추위에 대한 민감도.
(4) 온 냉적용 금기
ㆍ 온적용
① 외상 후 처음 24시간: 출혈과 부종 증가시킴.
② 출혈: 혈관 이완으로 인한 출혈 증가.
③ 비 염증적 부종: 부종 증가
④ 급성 염증: 화농된 충수돌기를 파열시킬 수 있음.
⑤ 악성종양: 순환 증가시켜 전이 촉진
⑥ 성장하는 태아: 임신한 여성의 복부에 온적용하는 것은 태아의 배아세 포의 변화 일으키고 대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⑦ 피부병: 더 심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⑧ Pacemaker나 무릎의 금속 implants: 금속이 열을 잘 전도하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는 온적용은 화상 위험이 있음.
ㆍ 냉적용
① 열린상처: 개방상처의 혈류를 감소시킴으로서 조직손상을 증가
② 순환장애: 조직의 영양상태 더 한층 손상시키고 조직 상해 일을킬수도.
③ 냉에 대한 과민반응: 추위에 대한 과민반응.
(5) 온 냉 적용 간호 중재법
① 건열적용
- 국소적인 열 적용 위해 전기장판, 핫백, 램프이용
- 부작용: 화상 위험
② 습열적용 - 담그기와 좌욕
③ 건냉적용 - 혈수축 촉진하여 두통 감소.
④ 습냉적용 - 냉습포
⑤ 압박붕대와 습기 있는 팩 사용
신체 부위
열의 효과
냉의 효과
국소적인 순환 반응
혈관 확장(피부 발적)
혈관 수축(창백)
모세혈관 투과도
증가
감소
세포의 신진대사
증가
감소
염증반응
증가
감소
근육
이완
수축력 감소
신경
증가된 신경 전도율
감소된 신경 전도율
통증
통증 완화
초기는 불편감(나중은 마비와 감각이상, 통증 완화)
《 열과 냉의 생리적 효과 》
참고서적- 기본간호학(하) p669, p1013
⑤ 드레싱 제거하지 않고 샤워 목욕할 수 있음.
7) 상처배액 관찰
8) 상처 치유 돕는 열과 냉 적용
(1) 열 적용의 효과
ㆍ장점 - 연조직 치유 향상시키고 화농을 증가시킴
ㆍ단점 -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시킴. 세포외액와 혈장 단백질 같은 물질들 이 모세혈관벽을 통과하고 부종이나 선재하는 부종을 증가시킴.
(2) 냉 적용의 효과
ㆍ장점 - 혈관 수축시켜 피부와 피하조직의 온도 내림. 출혈과 부종 형성을 억제하고 세포내 대사율을 저하시켜 염증반응 억제.
(3) 열냉적용의 전신효과
① 반동현상 - 열냉 작용의 최고 효과가 이루어진 후 반대효과가 시작되는 때에 일어남.
② 전신효과 - 신체부위에 적용된 열이 심박출과 폐의 공기정화를 증가 시켜 혈압 하강.
③ 내약력 - 열 추위에 대한 민감도.
(4) 온 냉적용 금기
ㆍ 온적용
① 외상 후 처음 24시간: 출혈과 부종 증가시킴.
② 출혈: 혈관 이완으로 인한 출혈 증가.
③ 비 염증적 부종: 부종 증가
④ 급성 염증: 화농된 충수돌기를 파열시킬 수 있음.
⑤ 악성종양: 순환 증가시켜 전이 촉진
⑥ 성장하는 태아: 임신한 여성의 복부에 온적용하는 것은 태아의 배아세 포의 변화 일으키고 대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⑦ 피부병: 더 심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⑧ Pacemaker나 무릎의 금속 implants: 금속이 열을 잘 전도하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는 온적용은 화상 위험이 있음.
ㆍ 냉적용
① 열린상처: 개방상처의 혈류를 감소시킴으로서 조직손상을 증가
② 순환장애: 조직의 영양상태 더 한층 손상시키고 조직 상해 일을킬수도.
③ 냉에 대한 과민반응: 추위에 대한 과민반응.
(5) 온 냉 적용 간호 중재법
① 건열적용
- 국소적인 열 적용 위해 전기장판, 핫백, 램프이용
- 부작용: 화상 위험
② 습열적용 - 담그기와 좌욕
③ 건냉적용 - 혈수축 촉진하여 두통 감소.
④ 습냉적용 - 냉습포
⑤ 압박붕대와 습기 있는 팩 사용
신체 부위
열의 효과
냉의 효과
국소적인 순환 반응
혈관 확장(피부 발적)
혈관 수축(창백)
모세혈관 투과도
증가
감소
세포의 신진대사
증가
감소
염증반응
증가
감소
근육
이완
수축력 감소
신경
증가된 신경 전도율
감소된 신경 전도율
통증
통증 완화
초기는 불편감(나중은 마비와 감각이상, 통증 완화)
《 열과 냉의 생리적 효과 》
참고서적- 기본간호학(하) p669, p1013
추천자료
환자 간호법
음주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간호과정(Nursing Process )
온요법, 냉요법
NLP이론의 개념과 원리를 정리
감정의 끈
아동의 영양 장애와 간호
남양알로에,해외진출,글로벌경영,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폐렴[1] 전과정
성인간호학 수술 후 환자간호 및 교육 자료
실습일지, 수기술, 실습, 비위관 삽입, 혈당측정, 구강간호, 인슐린 요법, 회음부 간호, 수혈...
성인간호학_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항...
수술 전 간호, Nebulizer, 경피산소측정기, Oxygen flowmeter
[독후감]함께 있을 수 있다면-가슴 따뜻한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