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통신언어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Ⅱ. 본론
1. 통신언어의 정의
2. 통신언어의 왜곡 실태
1)어휘적 측면
(가)비속어, 은어의 사용
(나)외래어, 외국어의 사용
(다)의성어, 의태어의 사용
2)음운론적 측면
(가)탈락과 축약
(나)첨가
(다)소리나는 대로 적기
3. 통신언어 왜곡의 원인
1)경제적인 원인
2)심리적인 원인
3)오락적인 원인
4. 통신언어에 대한 평가
1)통신언어의 장점
2)통신언어의 단점
5. 통신언어의 개선방안
1)언어의식의 개선 방향
2)기술적인 개선 방향
3)법룰적인 개선방향
Ⅲ. 결론
통신언어 개선 노력의 필요성과 한계
통신언어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Ⅱ. 본론
1. 통신언어의 정의
2. 통신언어의 왜곡 실태
1)어휘적 측면
(가)비속어, 은어의 사용
(나)외래어, 외국어의 사용
(다)의성어, 의태어의 사용
2)음운론적 측면
(가)탈락과 축약
(나)첨가
(다)소리나는 대로 적기
3. 통신언어 왜곡의 원인
1)경제적인 원인
2)심리적인 원인
3)오락적인 원인
4. 통신언어에 대한 평가
1)통신언어의 장점
2)통신언어의 단점
5. 통신언어의 개선방안
1)언어의식의 개선 방향
2)기술적인 개선 방향
3)법룰적인 개선방향
Ⅲ. 결론
통신언어 개선 노력의 필요성과 한계
본문내용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시민단체나 언론, 방송들이 앞장서서 다양한 켐페인을 실시해야 한다. 특히 방송의 교양프로그램이나 시사프로그램에서 통신언어와 관련된 이슈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전국민적인 관심을 유도해야 한다.
2) 기술적인 개선방향
기술적인 개선방향은 통신언어를 사용하는 환경적인 측면과 관련된 개선을 말한다. 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회사나 대규모 포털사이트 간의 협약을 통해 자사의 통신언어의 주요 사용공간인 채팅이나 동호회 홈페이지 등에서 비속어나 외계어의 사용을 여과 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방법이 있다. 정보통신부와 같은 국가기관에서 공동으로 참여하면 더욱 좋다. 또한 각종 이벤트 등을 통해 올바른 통신언어 사용을 장려하는 방법도 있다. 올바른 통신언어 사용에 모범적인 사이트나 동호회 등을 뽑는 대회를 개최하는 방법이 이에 속한다.
3) 법률적인 개선방향
통신언어의 잘못된 사용으로 발생하는 인권침해의 문제나 명예훼손의 문제에 대해서는 법률적으로 이를 규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야 한다. 특히 비속어나 욕설 등을 포함한 근거가 없고 의도적인 음해성을 가진 통신언어의 사용은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최대한 적극적으로 규제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통신사 자체적으로 내부적 규칙이나 약관의 수정을 통해 적극적인 제도적 규제가 필요하다.
Ⅱ. 결론
사회가 변하면 언어도 변하게 마련이다. 특히 언어의 역사성과 사회성을 가졌다는 점을 생각하면 요즘의 통신언어의 사용도 그렇게 새로운 것만은 아니다. 조선시대 사람들이 오늘날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그 시대보다 국어가 퇴보했다고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변화의 원인과 속도다. 요즘의 통신언어의 사용을 보면 이것이 그 시대의 언중(言衆)의 필요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변화라고 하기보다는 언어를 유희의 수단이나 오락의 도구로 생각하는데서 일어나는 변화라고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통신언어는 불과 몇 년 사이에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말의 오염을 막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통신언어 오염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런 노력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언어의 사용을 타율적으로 규제 하는 것 자체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언어 의식 또한 자발적인 노력이 없다면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비용의 문제도 있다. 각종 캠페인이나 통신사 자체의 자율규제를 한다고 해도 거기에 드는 비용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시민단체나 한글단체에 의한 캠페인 정도에서 머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참 고 문 헌
구현정, "통신언어-언어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국어학」, 제 39권
"통신언어의 특성", http://www.2woo.net/%40study/sub_01/kor-ha/1/1-3.htm (이우학교 사이버학습실)
권연진, 컴퓨터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바람직한 방안(부산대학교, 2000)
2) 기술적인 개선방향
기술적인 개선방향은 통신언어를 사용하는 환경적인 측면과 관련된 개선을 말한다. 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회사나 대규모 포털사이트 간의 협약을 통해 자사의 통신언어의 주요 사용공간인 채팅이나 동호회 홈페이지 등에서 비속어나 외계어의 사용을 여과 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방법이 있다. 정보통신부와 같은 국가기관에서 공동으로 참여하면 더욱 좋다. 또한 각종 이벤트 등을 통해 올바른 통신언어 사용을 장려하는 방법도 있다. 올바른 통신언어 사용에 모범적인 사이트나 동호회 등을 뽑는 대회를 개최하는 방법이 이에 속한다.
3) 법률적인 개선방향
통신언어의 잘못된 사용으로 발생하는 인권침해의 문제나 명예훼손의 문제에 대해서는 법률적으로 이를 규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야 한다. 특히 비속어나 욕설 등을 포함한 근거가 없고 의도적인 음해성을 가진 통신언어의 사용은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최대한 적극적으로 규제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통신사 자체적으로 내부적 규칙이나 약관의 수정을 통해 적극적인 제도적 규제가 필요하다.
Ⅱ. 결론
사회가 변하면 언어도 변하게 마련이다. 특히 언어의 역사성과 사회성을 가졌다는 점을 생각하면 요즘의 통신언어의 사용도 그렇게 새로운 것만은 아니다. 조선시대 사람들이 오늘날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서 그 시대보다 국어가 퇴보했다고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변화의 원인과 속도다. 요즘의 통신언어의 사용을 보면 이것이 그 시대의 언중(言衆)의 필요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변화라고 하기보다는 언어를 유희의 수단이나 오락의 도구로 생각하는데서 일어나는 변화라고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통신언어는 불과 몇 년 사이에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말의 오염을 막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통신언어 오염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런 노력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언어의 사용을 타율적으로 규제 하는 것 자체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언어 의식 또한 자발적인 노력이 없다면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비용의 문제도 있다. 각종 캠페인이나 통신사 자체의 자율규제를 한다고 해도 거기에 드는 비용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시민단체나 한글단체에 의한 캠페인 정도에서 머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참 고 문 헌
구현정, "통신언어-언어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국어학」, 제 39권
"통신언어의 특성", http://www.2woo.net/%40study/sub_01/kor-ha/1/1-3.htm (이우학교 사이버학습실)
권연진, 컴퓨터 통신 언어의 유형별 실태 및 바람직한 방안(부산대학교, 2000)
추천자료
[사이버 명예훼손] 인터넷 명예훼손 고찰
인터넷게임중독의 현황과 해결책(사이버중독, 온라인게임중독)
[인터넷][사이버공간][정보인권][통신실명제]인터넷과 사이버공간의 정보인권과 통신실명제 ...
[인터넷][인터넷관련법][인터넷활용][온라인][사이버][가상공간][웹]인터넷의 역사, 인터넷관...
‘사이버 모욕죄’ 신설 및 ‘인터넷 실명제’ 강화 반대
사이버 속 도시에 대한 연구, 인터넷 온라인 세상을 중심으로
[인터넷][사이버공간][웹]월드와이드웹(WWW)의 개념, 월드와이드웹(WWW)의 배경, 월드와이드...
사이버(Cyber)폭력 - 인터넷 활용
공학윤리(인터넷윤리) - 11장 사이버 범죄
사이버 세상의 통로 - 인터넷
[법적 대응]WTO(국제무역기구)통신서비스협상, 사이버공간의 법적 대응, 전자적의사표시, 인...
인터넷 중독 (사이버중독)
★ 정보사회와 통신 윤리 – 인터넷 중독, 사이버 폭력 현상 분석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