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하철
1> 일본의 지하철
2> 도쿄의 전철
3> 도쿄의 지하철
4> 사철과 야구단백화점
5> 이용 시 주의할 점
6> 지진이 잦은 일본
7> 자판기 이용방법
8> 일본의 풋시맨
9> 개폐문과 발차시의 특징
10> 경로석과 승객들의 특징
11> 구내 매점
2. 버스
1> 우리나라 버스와의 차이점
2> 요금내는 법
3> 소요시간
4> 시외버스 이용
5> 야간버스 이용
3. 택시
1> 나가시 택시와 하이야 택시
2> 비상시에만 타자
3> 제대로 알고 타자
4> 예약된 택시
5> 택시요금
4. 철도
1> 일본 열차의 종류
2> 열차표
3> 승차권의 유효기간
4> JR PASS
5> 일본 철도의 종류
신칸센
통근형 전동차
경량전철
모노레일(Monorail)
저렴한 철도 여행 방법
1> 일본의 지하철
2> 도쿄의 전철
3> 도쿄의 지하철
4> 사철과 야구단백화점
5> 이용 시 주의할 점
6> 지진이 잦은 일본
7> 자판기 이용방법
8> 일본의 풋시맨
9> 개폐문과 발차시의 특징
10> 경로석과 승객들의 특징
11> 구내 매점
2. 버스
1> 우리나라 버스와의 차이점
2> 요금내는 법
3> 소요시간
4> 시외버스 이용
5> 야간버스 이용
3. 택시
1> 나가시 택시와 하이야 택시
2> 비상시에만 타자
3> 제대로 알고 타자
4> 예약된 택시
5> 택시요금
4. 철도
1> 일본 열차의 종류
2> 열차표
3> 승차권의 유효기간
4> JR PASS
5> 일본 철도의 종류
신칸센
통근형 전동차
경량전철
모노레일(Monorail)
저렴한 철도 여행 방법
본문내용
있다. 단 100키로 이내의 거리는 도중하차가 무효인 1회용이다.
특급권 중 지정특급권은 한국처럼 지정시간의 열차에 한해서만 유효하며, 자석번호가 있어 지정된 자석에 앉아야 한다. 자유특급권은 유효기간이 2일간 주어지기에 어느 열차를 이용하든지 상관없지만 승차권과는 달리 도중하차 시는 무효가 된다. 그리고 자유석 칸에서 어느 좌석이든지 먼저 앉으면 주인이 된다.
도쿄의 경우 철도는 전철과 지하철 그리고 사철이라는 개념까지 있어 상당히 복잡하다. 요금 체계도 일률적인 요금이 아니라 추가요금을 내야하는 경우들이 많아 여간 복잡하지 않다. 하지만 도쿄에서는 지하철 만큼 편한 교통수단도 없다.
4> JR PASS
모든 JR열차와 지하철은 플랫폼 표지판에 각 역명이 일본어와 영어로 표기되어 있다. 해당역명은 표지판 중앙에 크게 표기되어 있고 인접 역명은 하단부 혹은 양쪽에 표기되어있다. 타 철도노선은 통근자들에게만 편리하다. 그러나 도시의 중심지역으로부터 닛코, 하코네, 나라, 도바 등의 인기 있는 지역으로 이동 하는데는 JR보다 빠르고, 경제적이며 편리하다. 또한 이들 노선에서는 JR패스가 적용되지 않는다.
5> 일본 철도의 종류
신칸센
신칸센은 일본열도를 초고속으로 연결하는 대표적인 차량으로 모두 7개 노선이 있는데, 1959년 착공되어 1964년 가장 먼저 상업 운행한, 도쿄-신오사카(515km)를 연결하는 토카이도 신칸센이 있으며, 신오사카-하카타(554km)를 잇는 Sanyo Shinkansen이 있다. 이 두 곳은 Nozomi, Hikari, Kodama 3개의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도쿄-모리오카(497km)를 연결하는 Tohoku Shinkansen은 Yamabiko Nasuno열차가, 도쿄-니이가타(301km)를 연결하는 Joetsu Shinkansen은 Asahi, Tanigawa열차가, 후쿠시마-신조(149km)를 연결하는 Yamagata Shinkansen은 Tsubasa열차가, 모리오카-아키타(127km)를 연결하는 Akita Shinkansen은 Komachi열차가, 타카사키-나가노(117km)를 연결하는 Hokuriku Shinkansen 은 Asama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신칸센의 속도는 최소 200km 이상의 속도를 유지하는데, 그 차이는 정차 역의 수량이 많고 적음에 관계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고속으로 달리지만 속도감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 마치 새마을호보다도 빠르지 않다는 느낌을 받을 수가 있다. 이유는 신간선 모두가 2층 고가도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보니 지상에서 어느 정도 멀어져 있고 바닥이 아닌 먼 풍경들만이 시야에 들어오니 속도감을 느낄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열차는 저음으로 설계되어 있어 전혀 소음이 안 들리는 편이다.
일본의 모든 열차는 기차가 아닌 전차이다. 디젤기관차는 전혀 없고 모두가 전기로 달리며, 신간선 선로와 일반 열차 선로는 분리되어 운행된다.
통근형 전동차
2000년 JR동일본이 개발한 표준 일반형 전동차이다.
일본의 전동차에는 두 가지가 있어 대도시의 통근 수송을 위한 '통근형'과 도시와 근교를 잇는 노선에서 운행되는 '근교형'이 있다. 이 두 가지는 E231계 전동차라고 하는데, 통근형, 근교형의 차체구조나 부품을 공통화, 대량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확립했다. 통근용과 근교용의 용도에 따라 내부의 좌석배치를 변경하거나 화장실의 유무 등을 선택해 도입하는 노선에 맞은 전동차를 제작할 수 있다.
경량전철
기존 지하철, 전철 등 중량(重量) 전철에 반대되는 '가벼운 전철'의 의미로 채택된 단어로 'Light Rail Transit'라고 직역된다. 구미에서 운행되는 노면전차와는 그 개념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량전철을 기존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 규모의 용량을 지닌 시스템으로 정의하고 있다.
모노레일(Monorail)
모노레일은 모두가 각각의 모노레일 주식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유형은 형식에 따라 현수식(suspended)과 가좌식(sested)으로 구분되며, 현수식은 선로에 차량이 매달려 운행되고 가좌식은 콘크리트 선로 위에서 운행된다. 짧은 노선은 각종 세계박람회장이나 위락시설 내에 설치, 운영되며 최근 가까운 도심 안에서는 모노레일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렴한 철도 여행 방법
살인적인 일본의 물가는 교통비에도 어김없이 적용된다.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청춘 18'이라는 티켓이 있다. 이것은 철도여행을 좋아하는 학생 여행자들을 위하여 방학 동안에만 발매하는 일종의 할인 티켓이다. 학생들을 위한 티켓이긴 하지만 연령제한이나 국적 제한 없이 누구에게나 판매하고 있다.
여행 기간별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일정기간 동안에만 발매,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JR역의 미도리노마도구치(녹색창구)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일행이 두 명 혹은 다섯 명일 경우에도 '청춘 18' 티켓 한 장으로 함께 이용할 수 있는데, 해당 날짜에 인원수만큼 스탬프를 찍어서 사용할 수 있다. 어린이의 경우도 동일한 요금, 원칙이 적용된다.
청춘 18 티켓에 스탬프를 한번 찍는 것으로 급행열차와 Green Car를 제외한 모든 기차를 최대 24시간 탈 수 있다. 이 티켓을 이용하는 것이 일본에서 가능한 가장 저렴한 이동수단에 속한다. 판매처는 JR의 주요 역과 여행 센터, JR의 영업지점 및 주요 여행사 등이다.
청춘 18티켓의 단점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기차가 우리나라의 완행열차 비슷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편안한 여행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청춘 18 티켓의 발매 및 사용기간은 매년 달라지므로 꼭 기간을 확인하고 여행을 해야 된다.
참고 자료
http://www.paichai.ac.kr/~yjkim/ujc2002/12/12_1/subway0.htm
http://www.paichai.ac.kr/~yjkim/ujc2002/12/12_1/subway_2.htm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90211&docid=73925
http://www.kr.emb-japan.go.jp/intro/his.htm
http://eyshin419.hihome.com/
특급권 중 지정특급권은 한국처럼 지정시간의 열차에 한해서만 유효하며, 자석번호가 있어 지정된 자석에 앉아야 한다. 자유특급권은 유효기간이 2일간 주어지기에 어느 열차를 이용하든지 상관없지만 승차권과는 달리 도중하차 시는 무효가 된다. 그리고 자유석 칸에서 어느 좌석이든지 먼저 앉으면 주인이 된다.
도쿄의 경우 철도는 전철과 지하철 그리고 사철이라는 개념까지 있어 상당히 복잡하다. 요금 체계도 일률적인 요금이 아니라 추가요금을 내야하는 경우들이 많아 여간 복잡하지 않다. 하지만 도쿄에서는 지하철 만큼 편한 교통수단도 없다.
4> JR PASS
모든 JR열차와 지하철은 플랫폼 표지판에 각 역명이 일본어와 영어로 표기되어 있다. 해당역명은 표지판 중앙에 크게 표기되어 있고 인접 역명은 하단부 혹은 양쪽에 표기되어있다. 타 철도노선은 통근자들에게만 편리하다. 그러나 도시의 중심지역으로부터 닛코, 하코네, 나라, 도바 등의 인기 있는 지역으로 이동 하는데는 JR보다 빠르고, 경제적이며 편리하다. 또한 이들 노선에서는 JR패스가 적용되지 않는다.
5> 일본 철도의 종류
신칸센
신칸센은 일본열도를 초고속으로 연결하는 대표적인 차량으로 모두 7개 노선이 있는데, 1959년 착공되어 1964년 가장 먼저 상업 운행한, 도쿄-신오사카(515km)를 연결하는 토카이도 신칸센이 있으며, 신오사카-하카타(554km)를 잇는 Sanyo Shinkansen이 있다. 이 두 곳은 Nozomi, Hikari, Kodama 3개의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도쿄-모리오카(497km)를 연결하는 Tohoku Shinkansen은 Yamabiko Nasuno열차가, 도쿄-니이가타(301km)를 연결하는 Joetsu Shinkansen은 Asahi, Tanigawa열차가, 후쿠시마-신조(149km)를 연결하는 Yamagata Shinkansen은 Tsubasa열차가, 모리오카-아키타(127km)를 연결하는 Akita Shinkansen은 Komachi열차가, 타카사키-나가노(117km)를 연결하는 Hokuriku Shinkansen 은 Asama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신칸센의 속도는 최소 200km 이상의 속도를 유지하는데, 그 차이는 정차 역의 수량이 많고 적음에 관계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고속으로 달리지만 속도감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 마치 새마을호보다도 빠르지 않다는 느낌을 받을 수가 있다. 이유는 신간선 모두가 2층 고가도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보니 지상에서 어느 정도 멀어져 있고 바닥이 아닌 먼 풍경들만이 시야에 들어오니 속도감을 느낄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열차는 저음으로 설계되어 있어 전혀 소음이 안 들리는 편이다.
일본의 모든 열차는 기차가 아닌 전차이다. 디젤기관차는 전혀 없고 모두가 전기로 달리며, 신간선 선로와 일반 열차 선로는 분리되어 운행된다.
통근형 전동차
2000년 JR동일본이 개발한 표준 일반형 전동차이다.
일본의 전동차에는 두 가지가 있어 대도시의 통근 수송을 위한 '통근형'과 도시와 근교를 잇는 노선에서 운행되는 '근교형'이 있다. 이 두 가지는 E231계 전동차라고 하는데, 통근형, 근교형의 차체구조나 부품을 공통화, 대량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확립했다. 통근용과 근교용의 용도에 따라 내부의 좌석배치를 변경하거나 화장실의 유무 등을 선택해 도입하는 노선에 맞은 전동차를 제작할 수 있다.
경량전철
기존 지하철, 전철 등 중량(重量) 전철에 반대되는 '가벼운 전철'의 의미로 채택된 단어로 'Light Rail Transit'라고 직역된다. 구미에서 운행되는 노면전차와는 그 개념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량전철을 기존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 규모의 용량을 지닌 시스템으로 정의하고 있다.
모노레일(Monorail)
모노레일은 모두가 각각의 모노레일 주식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유형은 형식에 따라 현수식(suspended)과 가좌식(sested)으로 구분되며, 현수식은 선로에 차량이 매달려 운행되고 가좌식은 콘크리트 선로 위에서 운행된다. 짧은 노선은 각종 세계박람회장이나 위락시설 내에 설치, 운영되며 최근 가까운 도심 안에서는 모노레일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렴한 철도 여행 방법
살인적인 일본의 물가는 교통비에도 어김없이 적용된다.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청춘 18'이라는 티켓이 있다. 이것은 철도여행을 좋아하는 학생 여행자들을 위하여 방학 동안에만 발매하는 일종의 할인 티켓이다. 학생들을 위한 티켓이긴 하지만 연령제한이나 국적 제한 없이 누구에게나 판매하고 있다.
여행 기간별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일정기간 동안에만 발매,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JR역의 미도리노마도구치(녹색창구)에서 구입할 수 있다.
일행이 두 명 혹은 다섯 명일 경우에도 '청춘 18' 티켓 한 장으로 함께 이용할 수 있는데, 해당 날짜에 인원수만큼 스탬프를 찍어서 사용할 수 있다. 어린이의 경우도 동일한 요금, 원칙이 적용된다.
청춘 18 티켓에 스탬프를 한번 찍는 것으로 급행열차와 Green Car를 제외한 모든 기차를 최대 24시간 탈 수 있다. 이 티켓을 이용하는 것이 일본에서 가능한 가장 저렴한 이동수단에 속한다. 판매처는 JR의 주요 역과 여행 센터, JR의 영업지점 및 주요 여행사 등이다.
청춘 18티켓의 단점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기차가 우리나라의 완행열차 비슷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편안한 여행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청춘 18 티켓의 발매 및 사용기간은 매년 달라지므로 꼭 기간을 확인하고 여행을 해야 된다.
참고 자료
http://www.paichai.ac.kr/~yjkim/ujc2002/12/12_1/subway0.htm
http://www.paichai.ac.kr/~yjkim/ujc2002/12/12_1/subway_2.htm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90211&docid=73925
http://www.kr.emb-japan.go.jp/intro/his.htm
http://eyshin419.hihome.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