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병원식이의 종류
2. 특수영양(특별식이종류)
3. 경관영양
4. 비경구영양
2. 특수영양(특별식이종류)
3. 경관영양
4. 비경구영양
본문내용
또는 혈전 정맥염의 증상 관찰.
- 화농성 정맥염이 있을 경우
: TPN삽관 부위를 가볍게 눌러 화농성 배액을 눈으로 확인. 의사에게 보고.
② 공기색전증 증상(불안, 호흡곤란, 빈맥, 흉통, 저혈압, 청색증, 의식소실) 관찰.
- 공기색전증 의심 시
: 산소를 공급하고 머리를 낮추고(→흉곽내압 증가, 흡인시 정맥으로의 공기흐름을 감소),
왼쪽으로 누인다(→폐동맥으로 공기가 움직이는 것을 막음)
③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매 4시간 또는 더 자주 활력징후를 측정. 매 48시간마다 TPN을 교환.
④ TPN주입 부위를 통해 중심정맥압 측정(CVP), 혈액검채물 채취, 혈액 또는 혈액성분 및 약물 등을 주입해서는 절대 안됨.
⑤ TPN용액을 주입하기 전 만기일 점검. 냉장 보관되지 않는 한 준비한지 24시간안에 사용.
⑥ 조심스럽게 주입속도 측정, 합병증을 알아내기 위해 검사결과 점검(고혈당, 전해질 불균형)
⑦ infusion pump의 사용은 주입속도를 규칙적으로 유지시킴.
- TPN은 갑자기 중단해서는 안되고, 용액의 강도와 용량을 점차로 감소시킨다.
- 아동이 공급받지 못한 용액량을 보충하기 위해 주입속도를 갑자기 증가시키면 안됨.
⑧ 매 6시간마다 또는 지시에 따라 이중배설 소변을 모으고 요비중 및 당과 아세톤 값을 검사.
- 비중이 비정상이면 의사에게 알려 의사가 TPN용액의 성분을 변경.
- 고혈당 방지를 위해 매일 용액을 균등하게 주어야 함.
- blood glucose 200mg/100ml나 urine glucise(+++)이상 되면 안됨.
- 이때 인슐린을 주어 조정.
- 지방을 주는 경우, 특히 매일 1주 이상 줄 때 환자의 혈액을 체취해 citrated tube에 넣고 색깔이 우유같이 되면 너무 많은 지방을 준 것이므로 intralipid를 잠시 멈추어야 한다.
⑨ 섭취와 배설은 8시간마다, 체중은 1일1회 측정.
- 아동은 장운동이 활발하지 않으므로 배변의 빈도, 형태, 양을 기록함.
- 오심이나 흡인으로 배출된 물질도 측정, 기록한다.
- 환자의 신체적 변화를 사정하기 위하여 아동의 키와 머리 둘레를 매주 측정.
- 매일 체중, 체온 감염의 조기 징후나 수분 전해질의 불균형을 감지 할 수 있는 검사결과를 체크한다.
⑩ 매 48시간 또는 드레싱이 축축하거나 헐거우면 TPN드레싱을 바꾼다.
- TPN드레싱을 바꿀 때는 엄격한 무균술이 요구된다.
⑪ 정서적인 면에서의 특별간호 제공
- 금기 사항이 아니라면 고무젖꼭지를 빨게해서 정상적인 수유방법에서 경험할 수 잇는 감각을 경험하도록 해줌.
- 아동과 대화하고 접촉하며 흔들어 주고, 부모와 신체접촉을 갖도록 해줌.
- 간호사의 일관성 있는 간호가 필요함.
- 좀 큰 아동은 식시시간동안 특별한 활동을 계획함.
⑫ 구강 점막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루 2번씩 양치질을 하도록 함.
참고도서
* 기본간호학 하 - 김명자 외 [수문사]
* 기본간호의 실제 - 송경애 외 [수문사]
* 아동간호학 각론 - 김미예 외 [수문사]
* 아동간호학 Ⅰ - 이자형 외 [신광출판사]
- 화농성 정맥염이 있을 경우
: TPN삽관 부위를 가볍게 눌러 화농성 배액을 눈으로 확인. 의사에게 보고.
② 공기색전증 증상(불안, 호흡곤란, 빈맥, 흉통, 저혈압, 청색증, 의식소실) 관찰.
- 공기색전증 의심 시
: 산소를 공급하고 머리를 낮추고(→흉곽내압 증가, 흡인시 정맥으로의 공기흐름을 감소),
왼쪽으로 누인다(→폐동맥으로 공기가 움직이는 것을 막음)
③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매 4시간 또는 더 자주 활력징후를 측정. 매 48시간마다 TPN을 교환.
④ TPN주입 부위를 통해 중심정맥압 측정(CVP), 혈액검채물 채취, 혈액 또는 혈액성분 및 약물 등을 주입해서는 절대 안됨.
⑤ TPN용액을 주입하기 전 만기일 점검. 냉장 보관되지 않는 한 준비한지 24시간안에 사용.
⑥ 조심스럽게 주입속도 측정, 합병증을 알아내기 위해 검사결과 점검(고혈당, 전해질 불균형)
⑦ infusion pump의 사용은 주입속도를 규칙적으로 유지시킴.
- TPN은 갑자기 중단해서는 안되고, 용액의 강도와 용량을 점차로 감소시킨다.
- 아동이 공급받지 못한 용액량을 보충하기 위해 주입속도를 갑자기 증가시키면 안됨.
⑧ 매 6시간마다 또는 지시에 따라 이중배설 소변을 모으고 요비중 및 당과 아세톤 값을 검사.
- 비중이 비정상이면 의사에게 알려 의사가 TPN용액의 성분을 변경.
- 고혈당 방지를 위해 매일 용액을 균등하게 주어야 함.
- blood glucose 200mg/100ml나 urine glucise(+++)이상 되면 안됨.
- 이때 인슐린을 주어 조정.
- 지방을 주는 경우, 특히 매일 1주 이상 줄 때 환자의 혈액을 체취해 citrated tube에 넣고 색깔이 우유같이 되면 너무 많은 지방을 준 것이므로 intralipid를 잠시 멈추어야 한다.
⑨ 섭취와 배설은 8시간마다, 체중은 1일1회 측정.
- 아동은 장운동이 활발하지 않으므로 배변의 빈도, 형태, 양을 기록함.
- 오심이나 흡인으로 배출된 물질도 측정, 기록한다.
- 환자의 신체적 변화를 사정하기 위하여 아동의 키와 머리 둘레를 매주 측정.
- 매일 체중, 체온 감염의 조기 징후나 수분 전해질의 불균형을 감지 할 수 있는 검사결과를 체크한다.
⑩ 매 48시간 또는 드레싱이 축축하거나 헐거우면 TPN드레싱을 바꾼다.
- TPN드레싱을 바꿀 때는 엄격한 무균술이 요구된다.
⑪ 정서적인 면에서의 특별간호 제공
- 금기 사항이 아니라면 고무젖꼭지를 빨게해서 정상적인 수유방법에서 경험할 수 잇는 감각을 경험하도록 해줌.
- 아동과 대화하고 접촉하며 흔들어 주고, 부모와 신체접촉을 갖도록 해줌.
- 간호사의 일관성 있는 간호가 필요함.
- 좀 큰 아동은 식시시간동안 특별한 활동을 계획함.
⑫ 구강 점막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루 2번씩 양치질을 하도록 함.
참고도서
* 기본간호학 하 - 김명자 외 [수문사]
* 기본간호의 실제 - 송경애 외 [수문사]
* 아동간호학 각론 - 김미예 외 [수문사]
* 아동간호학 Ⅰ - 이자형 외 [신광출판사]
추천자료
[지역사회영양학]질병발생 패턴의 변화와 지역사회 영양사업 프로그램 조사 및 식생활 유지방안
[영양과건강]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체내 대사과정과 영양적 기능(역할)에 대해
[영양과건강]생애주기별 특성에 따른 영양관리 방법에 대해
아동의 영양 권장량의 설정방법과 그에 따른 영양소의 급원식품에 대해 설명
[식품영양] 미혼모를 위한 영양사업 계획
생애주기별 영양 특성과 영양평가
영유아기 영양평가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어린이집에서의 영유아 영양평가 시 가...
[아동영양교육] 보육시설이나 학교급식을 실시할 때 아동들이 싫어하는 음식들을 섭취시키기 ...
암환자의 영양관리 - 항암치료 시 발생하는 영양문제와 치료방법
[아동영양교육] 영유아를 위한 영양교육의 정의를 기술하고 영유아의 식습관지도에 대한 교수...
(보건영양 C형) 2016년에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보건영양 관련 논문 1편을 선정하고 다음을 수...
(보건영양 A형)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2016년에 수행된 보건영양 사업을 정리하고, 앞...
[보건영양 A형] 본인이 거주하였거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시군구 직장 등)의 보건영...
[생애주기영양학 공통] 노인기에는 생리적 기능과 일상 활동량이 감소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