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기체가
1) 경기체가의 명칭
2) 경기체가의 형성
3) 경기체가의 연원
4) 경기체가의 작가
5) 경기체가의 형식
6) 경기체가의 내용
2. 속요
1. 속요의 명칭
2. 속요의 형식
3. 속요의 장르적 특성
4. 속요의 내용
1) 경기체가의 명칭
2) 경기체가의 형성
3) 경기체가의 연원
4) 경기체가의 작가
5) 경기체가의 형식
6) 경기체가의 내용
2. 속요
1. 속요의 명칭
2. 속요의 형식
3. 속요의 장르적 특성
4. 속요의 내용
본문내용
기록되었듯이 고려의 속요 역시 구전되다가 저선에 와서야 우리말로 정착되어 「악학궤범」과 「악장가사」등에 전하게 된다.
4. 속요의 내용
속요의 내용은 주로 남녀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에 대한 안타까움 등 평민들의 심정을 진솔하게 나타낸 노래로,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서의 표출이 매우 절실하다. 이 중 남녀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에 대해 조선조 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는 '사리부재'하여 문헌에서 삭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남녀상열지사'라하여도 님에 대한 사랑이 임금에 대한 사랑이 임금에 대한 사랑, 즉 충성의 내용으로 치환될 수 있는 속요는 삭제되거나 거부되지 않고 악장으로 불려졌다.
결론
이상 고려속요의 명칭과 장르적 성격, 형식적 특성과 표현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고려 속요는 향가나 조선시대 사대부 시가와는 달리 인간적인 체취가 물씬 풍기는 호소력 강한 노래이다. 이들 노래를 통해 우리는 고려시대 민중들의 때 묻지 않은 정서와 이념에 얽매이지 않은 분방한 사유와 만날 수 있다. 속요에서 추구되고 있는 시정신은 조선시대 일부 평시조와 사설시조에 이어져 마침내는 근대시 생성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참으로 수중한 문학 유산이 아닐 수 없다. 또 고려속요는 적나라한 인간성과 풍부한 정서가 우리한 국어의 구사 속에서 뛰어나게 형상화된 것이어서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그 가치가 크다. 속요에 대한 연구는 향가나 다른 사기에 비하면 그리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성과들이 많이 나와 그 문학적 가치가 보다 더 뚜렷이 부각될 수 있기를 바란다.
4. 속요의 내용
속요의 내용은 주로 남녀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에 대한 안타까움 등 평민들의 심정을 진솔하게 나타낸 노래로,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서의 표출이 매우 절실하다. 이 중 남녀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에 대해 조선조 학자들이 '남녀상열지사'는 '사리부재'하여 문헌에서 삭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남녀상열지사'라하여도 님에 대한 사랑이 임금에 대한 사랑이 임금에 대한 사랑, 즉 충성의 내용으로 치환될 수 있는 속요는 삭제되거나 거부되지 않고 악장으로 불려졌다.
결론
이상 고려속요의 명칭과 장르적 성격, 형식적 특성과 표현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고려 속요는 향가나 조선시대 사대부 시가와는 달리 인간적인 체취가 물씬 풍기는 호소력 강한 노래이다. 이들 노래를 통해 우리는 고려시대 민중들의 때 묻지 않은 정서와 이념에 얽매이지 않은 분방한 사유와 만날 수 있다. 속요에서 추구되고 있는 시정신은 조선시대 일부 평시조와 사설시조에 이어져 마침내는 근대시 생성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참으로 수중한 문학 유산이 아닐 수 없다. 또 고려속요는 적나라한 인간성과 풍부한 정서가 우리한 국어의 구사 속에서 뛰어나게 형상화된 것이어서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그 가치가 크다. 속요에 대한 연구는 향가나 다른 사기에 비하면 그리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성과들이 많이 나와 그 문학적 가치가 보다 더 뚜렷이 부각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