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만일 문화 상대주의가 옳다면(현대사회의 우리의 관점에서 과거의 사회를 평가하는 것이 부당하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런 변화들을 정당하게 진보라고 생각할 수 있을까하는 의문점을 남긴다. 또 문화상대주의의 입장을 일관되게 받아들일 경우, 우리는 노예제도나 인종차별, 성적차별, 유태인 학살 등에 대해서도 관용적인 태도를 취해야 하며 비판할 수 없게 된다는 점이다. 나아가 윤리 상대주의는 인간이 주체적으로 지향해야 할 목적과 윤리의 일정한 합칙성 내지 도덕적 가치의 인식 가능성을 부정하고, 때로는 도덕적 가치의 정당성과 우월성을 결정하는 표준의 존재를 부정함으로써 인간이 역사적 체험 속에서 체득한 즉 인간의 존엄성, 양심 등의 도덕적 가치 이념의 정당성을 이론적으로 근거 지어 주지 못한다는 비판점을 안고 있다.
추천자료
분석철학과 분석 윤리학
한국 무속의 윤리적 성격
경제문제와 기독교 윤리
단군 신화의 윤리적 성격,삼국시대의 유교사상,의천과 지눌의 비교,벽불론,천인심성합일지도
줄기세포 배양과 생명윤리의 충돌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
악플의 폐해와 윤리이론으로 본 해결방안
생태 중심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사회 생태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생태 중심주의 윤리의 특성 및 한계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전문사회복지사를 위한 윤리적 실천
불가지론을 통한 윤리적 고찰
[사이버 성윤리]사이버 공간의 특징, 사이버 성 문제 현황, 문제점, 통계자료, 사이버포르노 ...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와 전문직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