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루터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틴루터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루터의 초기 생애와 사상 형성 과정

3. 역사적 사건에 따른 루터의 종교개혁 신학

4. 마틴 루터의 신학 요약

5. 결론: 한국교회를 향한 루터 신학의 적용

본문내용

'복음은 율법으로부터 그리스도를 향한 교사를 만든다. 율법 그 자체로부터 나오는, 또는 율법 그 자체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라는 루터의 주장에 따르면 율법의 역학은 죄를 깨닫는 교사의 역할이고 그리스도에게로 이끄는 훈련교사이다. 루터는 율법의 기능을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두 기능은 율법의 정치적 또는 시민적 기능과 신학적 또는 영적 기능이다. 시민적 기능이 법질서 유지에 필요한 것이라며, 신학적 기능은 죄를 깨닫게 하는 기능이다.
루터는 종교개혁 초기부터 교회의 법적 수장이 교황이라는 로마 교회 교회론에 반대하였다. 그래서 루터는 성서에 기초를 둔 교회와 기독교의 모습을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지상의 모든 그리스도 신자의 온전한 모임'이다. 교회의 표지에 관하여 루터는 종교개혁 초기에는 세례와 성례전 그리고 복음이라고 하였다. 루터의 교회론의 핵심에는 언제나 하나님의 말씀이 놓여 있다. 따라서 루터가 말하는 교회는 교파적 교회, 즉 루터교회가 아니다. 교회가 교회다운 것은 올바르고 참되고 사도적이며, 그리스도적인가 하는데 달려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과 하나님의 백성이다.
5. 결론: 한국교회를 향한 루터 신학의 적용
마틴루터의 신학이 칼빈적 장로교 중심인 한국교회를 향하여 주는 영향이 있다면 그것은 교리적인 것이 아닐 것이다. 루터는 나이로 하면 칼빈보다 26세가 많고, 종교 개혁적 깨달음으로 비교한다면 면죄부 반대와 기독교 강요 초판으로 볼 때 19년 정도의 차이가 난다. 마틴 루터의 신학은 우리 한국 교회에게 '종교개혁 정신을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신학이다. 다시 말하면 '개혁 신학 일반'의 내용과 일치하는 루터 신학 서술이 아니라, 최초의 종교 개혁적 깨달음을 신학화하기 시작한 루터의 모습을 그의 삶과 함께 그려내야 한다는 뜻이다.
루터의 개혁의 원칙을 '오직 신앙으로', '오직 성서로', 오직 은총으로'라는 세 가지 용어로 종종 설명한다. 루터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는다'라는 말씀의 의미를 분명하게 깨달았다. 루터의 종교개혁 신학 탐구를 통하여 우리가 찾아 낸 시대를 초월한 공통점은 '예수 시대이건 루터 시대이건 본질과 비본질 또는 내적 정신과 외적 의식 사이의 대립 사이에서 개혁이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역사적 교훈과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의 개혁 정신을 기준으로 하여 우리 한국 교회의 오늘의 모습을 진단하고 평가해 보는 일은 무척이나 의미 있는 일이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0.2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