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본성에 관한 스키너와 반듀라의 기본 가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본성에 관한 스키너와 반듀라의 기본 가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만족, 자부심, 자기불만족 그리고 자기비판으로 표현되는 자기 평가적 결과를 통해서 규제된다. 자기 평가적 반응은 명백한 결과와의 상호연관성을 통해서 그들의 보상적· 처벌적 가치를 취하고 보유하게 된다. 자기 관리적 유인을 통한 자기규제의 부가적 측면은 1)자기청취적 강화체계가 어떻게 획득되는가? 2)자기청취적 강화체계는 행동을 규제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3)자기청취적 강화체계를 유지시키는 것은 무엇인가? 의 세 가지 측면이 있다.
- 자기규제의 학습: 행동이 타인에 의해서 설정된 평가기준에 따르거나 또는 이탈하는 것에 준해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기승인(self-approving)과 자기부정의 방향으로 반응한다.
- 자기 생산적 결과를 통한 행동규제: 사람들은 자신의 행위에 대해 자기 보상적 또는 자기 처벌적 방향으로 반응할 뿐만 아니라 자기 생산적 결과를 통해서도 자신의 행위를 규제한다.
- 자기보상체계의 유지: 네 가지의 상호 연관된 요소가 자기부과적 유인을 통해서 행위의 규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데, 그 요소들은 부정적 제재, 예측적 상황결정요소, 개인적 해택, 모델링의 후원이다.
: 부정적 제재- 자기보상을 위해서 성과기준에 집착하는 것은 여러 가지의 주기적인 사회적 영향에 의해서 어느 정도 유지된다.
: 예측적 상황결정요소- 부당한 자기보상에 따른 결과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성과기준에 다다를 때까지 보상을 스스로 거부할 수 있다.
: 개인적 해택- 혐오하는 행위를 줄이거나 없애려는 욕구는 자기규제 강화를 유지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이다.
: 모델링의 후원- 자기강화적 행위를 유지시키는데 작용하는 협조적인 모델의 영향을 포함한다.
- 왜 우리는 우리 자신을 처벌하는가?: 위반과 그에 따른 사회적 반향에 대한 고통을 종식시킬 뿐만 아니라 타인의 승인을 회복시키는 경향이 있다.
- 자기평가와 자아개념
: 자기평가는 인간에게 자기 지시능력을 줄 뿐 아니라
만족감과 자기 자신에 대한 가치성을 부여하는 것의 근원으로써 작용한다.
: 자아 존중감은 개인의 실제적인 행위와 그 자신이 개인적 가치의 지표로서 채택한 기준사이의 불일치의 정도에 준해서 정의 된다.
* 인간본성에 관한 반듀라의 기본가정



중간



자유론

결정론
합리성

비합리성
전체주의

요소주의
체질론

환경론
가변성

불변성
주관성

객관성
발생성

반응성
평형성
적용이 안됨
불평형성
가지성

불가지성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6.30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