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 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혈액투석(Hemodialysis)

2.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본문내용

석하는 방법
4) 복막투석 합병증
ㆍ 복막염, 도관기능 장애(유착, 감염, 방광천공, 복부천공), 통증, 탈장, 폐부종, 고혈당증, 호흡기 문제, 체중증가
♣ 복막염
ㆍ 징후 : 발열, 반동압통, 오심, 권태, 혼탁한 투석액 배출
ㆍ 검사 : 배액된 투석액의 백혈구 수치와 감별, 배양과 민감도 검사, 그람염색
ㆍ 백혈구수가 100/㎣이상이고 중성구가 50%이상이면 복막염으로 진단
ㆍ 그람염색 표본 : 9~40%에서 유기체 확인
ㆍ 복막염이 지속되면 감염을 근절시키기 위해 도관을 제거한다.
♣ 도관관련 합병증
ㆍ 도관의 위치이상과 폐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ㆍ 폐쇄는 변위, 대망에 도관 끝이 유착, 감염으로 인해 발생(투석액에 소량 헤파린 첨가)
ㆍ 변비는 투석액의 흐름을 감소시키고 과도한 연동작용은 흐름을 증가시킨다.(좌약사용)
ㆍ 출혈은 북부천공을 나타내기도 함
♣ 투석관련 합병증
ㆍ 투석액을 빠르게 주입하거나 투석액의 농도나 온도가 부적절할 때, 횡격막의 투석액 축적. 배액 시의 과도한 흡인력으로 인해 통증이 생긴다. 1~2주 후에 사라짐
ㆍ 탈장 발생
ㆍ 수분을 너무 빨리 제거하면 저혈압이 생기고 너무 적게 수분이 제거되면 울혈성 심부전과 폐부종이 발생
ㆍ 복막영미 발생하면 복막을 통해 하루에 100g이상의 albumin이 투석액으로 손실된다. 따라서 단백질이 상실되기 때문에 고단백식이를 권장한다.
ㆍ 당뇨병 환자는 RA를 섞어서 투석한다.(고혈당증이 생기므로)
ㆍ 저류시간 동안 횡격막의 압박으로 호흡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ㆍ 투석액에 있는 고동노의 포도당 때문에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10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