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Ⅱ. 본론

1. 일제의 지배 정책

2. 한국 독립 운동의 여건과 환경

3. 독립 운동의 방략

4. 독립운동의 흐름과 주요 운동



Ⅲ. 나오며

본문내용

독립군(안무부대)·한민회·의군단·신민단 등 5개부대 연합군으로 이루어진 홍범도군에는 1,950명의 병력이 있었다.
1920년 10월 20일 백운평전투에서 매복 전에 의한 승리, 같은 해 10월 22일 완루구전투에서 홍범도 부대의 활약에 의한 승리, 또 10월 22일 새벽에 천수평에서 김좌진 장군의 선제 공격을 통한 승리, 그리고 같은 날 오전 천수평에서의 참패를 설욕하려던 일본군을 김좌진부대와 홍범도 부대의 협공을 통한 어랑촌 전투 등의 일련의 승리를 거두었던 것이다.
「한국독립군」
1930년 1월 김좌진 장군이 공산파 청년에게 암살되자 김좌진의 한족총연합회와 지청천의 생육사를 모체로 홍진, 지청천 등을 중심으로 이당이국의 기치아래 지하조직인 한국 독립당이 결성 되었다(1930.7).
1931년 9월 일본의 만주침공이 본격화 되자 한국 독립 당은 같은 해 11월 길림성에서 긴급 중앙회의를 소집하였다. 회의에서는 당군으로서 한국 독립군을 결성하였다. 한국 독립군은 3·3제의 원리에 입각하여 30명을 1소대, 3개소대를 1중대, 3개 중대를 1대대로 하는 의용군적인 무장부대(360여명)로 지청천이 총사령관, 남대관이 사령관이 되어 이끌었다. 효과적인 일체공략을 위해 한국 독립군은 중국측 군대와의 협동전선을 결성하여 여러 전투에서 불멸의 공을 기록하였다.
한국 독립군은 1933년 중국 공산당 부대로의 편입 강요에 직면하자 이를 거부하고 후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의 근간이 된다.
「조선혁명군」
북만주에서의 한국독립군처럼 조선혁명군은 남만주일대를 활동기반으로 하였다. 조선혁명당은 국민부 요원을 대부분의 중심 인물로 하였으며 그 혁명군은 초기 300여명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전성기에는 1천여명의 전투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조선혁명군 속성군관학교를 설치 운영하여 2천명의 예비사관을 양성했고, 관할 지역 내에 노농강습소를 개설하여 한인청년 5만명에게 군사훈련을 시켜 예비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혁명군은 중국의 의용군인 요녕민중 자위군과 중국 항일의용군과의 연합작전을 펴 일본군·만주군과 싸웠다. 가장 유명한 전투는 1932년 3월 12일~17일간 계속된 영능가전투이다. 조선혁명군은 우익의 요녕민중자위군, 중국 항일의용군뿐만 아니라 1936년 이후에는 중국 공산당의 동북인민혁명군과도 연합작전을 폈다. 조선 혁명군은 만주에서의 무장투쟁에만 그치지 않고 1933년에만 27차례에 걸쳐 141명을 국내에 파견하는 무장투쟁을 전개하였으며 1938년 만주지역내 일본 통치력의 강화로 활동을 중지할 때까지 항일 무장투쟁을 끊임없이 전개하였다.
5) 비밀 결사 운동
1930년대로 들어서자 농민 운동, 노동 운동, 학생 운동은 주로 비밀 지하 조직의 형태로, 또 식민지 통치 기관을 직접 상대호 하여 전개되면서 전추성을 높여갔다. 30년대 전반기의 대중 운동 가운데 가장 치열한 양상을 보인 것은 5년간 100건 이상의 사례를 남긴 혁명적 농민 조합 운동이었다. 대체로 빈농층 중심의 군 단위의 비밀 조직이었던 혁명적 농민조합은 일제 권력과 정면 대결하여 식민지 체제를 타파하려는 정치 투쟁을 벌여나갔다. 시위나 농성같은 통상적인 투쟁 외에도 무력 투쟁도 서슴지 않았던 이 조직은 일제 탄압에도 불구하고 수차에 걸쳐 재건되는 강고함도 보였다. 이와 더불어 30년대에는 각종 독서회나 반제 동맹 등의 비밀 지하 조직이 결성되어 운영되었다.
Ⅲ. 나오며
일제 강점기의 전기간에 걸친 독립 운동은 그 전체적인 흐름에 있어서 전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치열하고 굳건한 민족 운동이었다. 세계 대전의 재발로 치닫고 있던 격동과 혼돈의 국제 정세를 정확히 인식하고 또 그 결과까지도 예리하게 전망하면서 독립 운동 단체들은 일제에 맞서 튼튼한 조직강화와 다양한 전술 구사, 그리고 전투성의 제고라는 요구에 충분 적절히 대응해 나갔다. 그리하여 마침내 그 결과로서 광복을 되찾았다.
3·1 운동 같이 하나된 민족운동을 시작으로 한 우리 나라의 민족운동을 후손으로서 바라보며 나라가 위기에 처하였을 때 뭉치어 하나로서 그 국가위기를 극복해 가는 우리 민족의 힘을 새삼 되새길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우리가 광복한지 불과 50년 밖에 지나지 않았다는 점을 우리는 되새겨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100년도 안된 시기에 보여주었던 우리 민족의 이 의지와 하나됨을 바탕으로 어떠한 어려움이 닥쳐도 그것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일제강점기대에서의 우리 민족의 독립운동을 바라보며 그것을 배워나간다.

키워드

  • 가격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7.15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