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세련된 미의식에 의하여 구축한 성과는 문학이 본질적으로 언어의 예술이라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드팀전 장돌림을 시작한 지 이십 년이나 되어도 ∼ 닷새 만큼 씩의 장날에는 달보다도 확실하게 면에서 면 으로 건너간다.
젊은 시절에는 알뜰하게 벌어 돈푼이나 ∼ 장으로 돌아다니게 되었다.
- 주어 없는 문장( 메밀꽃 필 무렵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 참신하고 세련된 비유( 메밀꽃 필 무렵에서)
나무꾼패가 길거리에서 궁싯거리고들 있으나.
미끄러워 금시에 훌칠 듯하였다.
- 개인어의 사용( 메밀꽃 필 무렵에서)
여름 장이란 애시당초에 글러서, 해는 아직 중천에 있건만 장판은 벌써 쓸쓸하고, 더운 햇발이 벌려 놓은 전(廛) 휘장 밑으로 등줄기를 훅훅 볶는다.
- 음악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메밀꽃 필 무렵에서)
2-4. 서사구조의 특성
이효석 소설의 서사구조의 특성은 작가가 가진 시공의 변천에 따라 여섯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인물과 외적 상황을 대립관계로 양분화한 구조
둘째. 식민지 현실의 모순된 사회구조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사회공동체의 꿈을 실천하는 저항의 구조
셋째. 궁핍한 식민지 현실에 대한 저항성과 북국에 대한 동경적 서정성으로 조직되는 구 조의 이원화 현상
넷째. 궁핍한 현실의 모순과 본능적 애욕의 세계가 결합되는 구조의 이원화 현상
다섯째. 자연물과 본능적 애욕세계가 조화 통일되는 구조
여섯째. 서구지향성과 애욕세계가 결합되는 구조
이상이 그의 문학에서 두드러지는 서사구조의 특징들이라 할 수 있겠다.
Ⅲ. 결론
근대소설이 인물의 성격이나 행위에 역점을 두고 구축되는 데 비해 효석은 공간에 의해 서사체를 구축하였다. 그의 소설에 있어서 공간이란 단순한 배경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징화되어 인물의 행위에 작용하고 주제와 융합되어 작품자체가 심상화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공간과 인물행위와 주제가 완벽하게 융합되었을 때 극적 효과가 크고 작품으로 성공하고 있음을 보게 되었다. 한편, 서사구조의 핵을 이루는 것은 자연과 애욕의 세계로써 효석은 한국 현대문학에 성과 자연의 문학을 꽃피운 작가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용남 외,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2001
권정호, 『이효석 문학 연구』, 월인, 2003
이상옥, 『이효석』, 민음사, 1993
드팀전 장돌림을 시작한 지 이십 년이나 되어도 ∼ 닷새 만큼 씩의 장날에는 달보다도 확실하게 면에서 면 으로 건너간다.
젊은 시절에는 알뜰하게 벌어 돈푼이나 ∼ 장으로 돌아다니게 되었다.
- 주어 없는 문장( 메밀꽃 필 무렵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 참신하고 세련된 비유( 메밀꽃 필 무렵에서)
나무꾼패가 길거리에서 궁싯거리고들 있으나.
미끄러워 금시에 훌칠 듯하였다.
- 개인어의 사용( 메밀꽃 필 무렵에서)
여름 장이란 애시당초에 글러서, 해는 아직 중천에 있건만 장판은 벌써 쓸쓸하고, 더운 햇발이 벌려 놓은 전(廛) 휘장 밑으로 등줄기를 훅훅 볶는다.
- 음악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메밀꽃 필 무렵에서)
2-4. 서사구조의 특성
이효석 소설의 서사구조의 특성은 작가가 가진 시공의 변천에 따라 여섯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인물과 외적 상황을 대립관계로 양분화한 구조
둘째. 식민지 현실의 모순된 사회구조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사회공동체의 꿈을 실천하는 저항의 구조
셋째. 궁핍한 식민지 현실에 대한 저항성과 북국에 대한 동경적 서정성으로 조직되는 구 조의 이원화 현상
넷째. 궁핍한 현실의 모순과 본능적 애욕의 세계가 결합되는 구조의 이원화 현상
다섯째. 자연물과 본능적 애욕세계가 조화 통일되는 구조
여섯째. 서구지향성과 애욕세계가 결합되는 구조
이상이 그의 문학에서 두드러지는 서사구조의 특징들이라 할 수 있겠다.
Ⅲ. 결론
근대소설이 인물의 성격이나 행위에 역점을 두고 구축되는 데 비해 효석은 공간에 의해 서사체를 구축하였다. 그의 소설에 있어서 공간이란 단순한 배경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징화되어 인물의 행위에 작용하고 주제와 융합되어 작품자체가 심상화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공간과 인물행위와 주제가 완벽하게 융합되었을 때 극적 효과가 크고 작품으로 성공하고 있음을 보게 되었다. 한편, 서사구조의 핵을 이루는 것은 자연과 애욕의 세계로써 효석은 한국 현대문학에 성과 자연의 문학을 꽃피운 작가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용남 외,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2001
권정호, 『이효석 문학 연구』, 월인, 2003
이상옥, 『이효석』, 민음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