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들어가며
B. 성장소설의 개념 정립
C. 성장소설의 장르적 특성
D. 성장소설로서의 「소나기」와 「유년의 뜰」
E. 청소년 문학으로서의 성장소설
F. 결언
B. 성장소설의 개념 정립
C. 성장소설의 장르적 특성
D. 성장소설로서의 「소나기」와 「유년의 뜰」
E. 청소년 문학으로서의 성장소설
F. 결언
본문내용
하는 결과적 관점에 머물 뿐이며 당 시대상황으로 인한 사회구성원의 고통을 작품 주인공의 삶으로 개별적 형상화한 것에 그칠 뿐이다. 비록 성장소설이 문학작품으로서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공감대를 가져야 한다고 해도, 청소년이 실제 삶에서 맞닥드리는 고민을 담아내지 못한다면 청소년문학이라고 할 수는 없다. 청소년들에 대한 이야기가 청소년문학의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면, 1950년대의 작품이, 혹은 그 시대의 감수성이 지금의 청소년들에게 얼마나 호소력을 차지할 수 있는가를 생각하지 않을 때 내가 누구이냐를 묻기 전에 어떤 브랜드를 내 것으로 할 것이냐, 다음에는 머리를 어떤 색깔로 바꿀 것이냐가 주된 관심사인 아이들에게 오히려 책을 더 멀게 만드는 것은 아닌가
김경연, 앞의 글.
하는 지적은 타당성을 가진다. 이는 앞서 언급한대로 수용자가 누구이며 수용자가 어떤 책을 선호하는가 하는데 중심을 두지 않는 청소년권장도서목록처럼 청소년 바로 그들의 문학이 아닌 문학이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과 상통한다.
F. 결언
앞서 우리는 성장소설의 개념과 장르적 특성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두 편의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문학으로서 이 작품들이 가진 한계점을 제시하면서 청소년문학으로서의 성장소설이 중시해야할 점을 제시해보았다. 그리하여 성장소설이 청소년의 삶을 문학적으로 수용하여 드러낸다 해도, 그 성장소설이 형상화하는 청소년의 삶이 현실의 청소년들이 살아가며 겪게되는 고민들을 담지 못한다면 청소년문학으로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해 보았다. 물론 성장소설이 청소년문학의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청소년의 삶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여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비중은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청소년의 정체성 확립의 몸부림은 현 시대의 청소년의 것이어야 하며 이를 통해 청소년 문학의 의의가 분명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청소년 문학의 정체성이 확립되는 것이다.
------------------------------------------------------------
參考文獻
1. 오정희, 『유년의 뜰』, 문학과 지성사, 1989.
2. 황순원, 『소나기·학(外)』, 일신서적출판사, 1991.
3. 박영식, 「황순원의 성장소설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0.
4. 이보영외 2,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청예원, 1999.
5. 김경연, '청소년 문학의 이해'《문학과 교육> 2001. 가을호
(출처 : http://www.childbook.org/data/teen/1-08.htm)
6. 김슬옹,'청소년의 정체성과 청소년문학의 정체성-성장소설을 중심으로-',《문학과 교육》2001 가을호.(출처 : http://www.childbook.org/data/teen/1-06.htm)
7. 이희숙, 「한국현대 성장소설에 나타난 주인공의 아픔과 극복 전개양상」
(출처 : http://www.koreanpoetry.net/computing/student/leehs/initiation.hwp)
김경연, 앞의 글.
하는 지적은 타당성을 가진다. 이는 앞서 언급한대로 수용자가 누구이며 수용자가 어떤 책을 선호하는가 하는데 중심을 두지 않는 청소년권장도서목록처럼 청소년 바로 그들의 문학이 아닌 문학이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과 상통한다.
F. 결언
앞서 우리는 성장소설의 개념과 장르적 특성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두 편의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문학으로서 이 작품들이 가진 한계점을 제시하면서 청소년문학으로서의 성장소설이 중시해야할 점을 제시해보았다. 그리하여 성장소설이 청소년의 삶을 문학적으로 수용하여 드러낸다 해도, 그 성장소설이 형상화하는 청소년의 삶이 현실의 청소년들이 살아가며 겪게되는 고민들을 담지 못한다면 청소년문학으로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해 보았다. 물론 성장소설이 청소년문학의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청소년의 삶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여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비중은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청소년의 정체성 확립의 몸부림은 현 시대의 청소년의 것이어야 하며 이를 통해 청소년 문학의 의의가 분명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청소년 문학의 정체성이 확립되는 것이다.
------------------------------------------------------------
參考文獻
1. 오정희, 『유년의 뜰』, 문학과 지성사, 1989.
2. 황순원, 『소나기·학(外)』, 일신서적출판사, 1991.
3. 박영식, 「황순원의 성장소설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0.
4. 이보영외 2,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청예원, 1999.
5. 김경연, '청소년 문학의 이해'《문학과 교육> 2001. 가을호
(출처 : http://www.childbook.org/data/teen/1-08.htm)
6. 김슬옹,'청소년의 정체성과 청소년문학의 정체성-성장소설을 중심으로-',《문학과 교육》2001 가을호.(출처 : http://www.childbook.org/data/teen/1-06.htm)
7. 이희숙, 「한국현대 성장소설에 나타난 주인공의 아픔과 극복 전개양상」
(출처 : http://www.koreanpoetry.net/computing/student/leehs/initiation.hwp)
추천자료
인터넷소설의 문학성과 장점과 단점
중국 현대문학 소설과 시
전후문학과 휴머니즘 전후소설과 전후시의 특징
1920년대 소설문학의 근대적 특성
친일문학과 친일소설 연구
무협소설은 문학인가
조선의 소설문학
고전소설강독-북한문학사에서의 『운영전』의 가치평가-
[1990년대][포스트모더니즘][표현의 자유][민족문학][미디어][북한연극]1990년대의 포스트모...
영미문학산책-교양소설완성
허균, 시대의 문제에 대해 홍길동전으로 답하다 - 홍길동전, 허균, 한국고전문학, 사회소설, ...
태평천하(太平天下) 교과서 분석 _ 채만식 저 (태평천하의 소설적 위치 & 디딤돌 문학, ...
The Restoration and the Eighteenth Century(고딕소설, 풍자문학, 중산층의 부상, 감상주의,...
1930년대 문학과 소설 -이상의 날개 김남천의 처를 때리고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