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서해의 <탈출기> 보고서 - 절망적인 현실에서, 인간의 선택은 극단적일 수밖에 없는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서해의 <탈출기> 보고서 - 절망적인 현실에서, 인간의 선택은 극단적일 수밖에 없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최서해의 『탈출기』
1) 개관
2) 줄거리
3) 「탈출기」작품 분석
● <탈출기> 이해하기
● <탈출기>에 나타난 시대적 상황
● <탈출기 > 제목의 의미
● <탈출기> 주제의 분석
2. 작가 최서해에 대하여...
1) 최서해
2) 최서해의 작품 세계
● 최서해 문학의 특징
● 최서해 소설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
● 최서해 문학과 신경향파 문학

Ⅲ. 결론

Ⅳ. 토론
- 절망적인 현실에서, 인간의 선택은 극단적일 수밖에 없는가

본문내용

개조의 유일 ·절대적 방법으로 여겨짐으로써, 이 제도를 사회주의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굳어지는 한편, 이 제도에 의하여 실현될 것으로 기대되는 사회, 즉 자본주의보다 한층 훌륭한 사회를 의미하는 말로도 쓰이게 되었다.
사상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뜻한다. 1920년대 한국문단에서 유행어가 되었던 '신경향파문학'이란 용어는 광의로 쓰인 것이며, 이에 비해 '경향문학'이라는 용어는 협의로 쓰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920년대 전반기의 한국문단에 '경향'이란 용어를 처음 소개하였던 박영희(朴英熙)는 '경향문학'보다 '신경향파문학'이란 용어를 자주 썼다. 이 점에 있어서는 백철(白鐵)도 마찬가지다. 박영희는 신경향파문학이란 말을 사회주의 색채를 띤 문학이라는 뜻과 신흥문학, 신사조(新思潮)의 문학이라는 뜻을 섞어서 사용하였다.
박영희가 '경향'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인 정의를 내린 것은 이 말이 유행된 지 몇 년 뒤에 발표한 글 <신경향파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개벽 64호,1925.12)에서였다.
그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는 별다른 구별없이 혼용되었다. 1920년대 후반에 경향문학 또는 신경향파문학이라는 용어는 자취를 감추고, 그 대신 프로문학·카프문학·무산자문학·계급문학·마르크시즘문학·사회주의문학·노동문학·이데올로기문학 등의 용어가 새로 등장하여 무분별하게 혼용되었다.
한국문학사를 기술하는 과정에 있어서 경향문학은 대략 두 가지 관점에서 처리되어왔다. 그 첫 번째 관점은 박영희에 의해서 시작되고 백철에 의하여 굳어진 것으로, 경향문학을 이른바 프로문학의 예비단계로 처리하는 태도이다. 사실상 이 관점은 지금까지도 거의 수정되지 않은 채 국문학자들 사이에서 하나의 공식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박영희는 당시 여러 편의 평론을 통하여 '자연생장적(自然生長的)' 신경향파문학은 '목적의식적'인 무산자문학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에 의하면 신경향파문학은 빈궁과 고뇌의 생활상을 자연주의적 수법으로 그려내는 것이며, 무산자문학은 빈궁과 고뇌의 생활상태에 빠진 사람들에게 투쟁의식과 반항의식을 심어주려는 목적을 분명하게 지녔던 것이다. 또한, 그는 신경향파문학의 특징을 '허무적·절망적·개인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무산자문학의 특징을 '성장적·집단적·사회적'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신경향파문학에서 무산자문학에로의 발전적 전환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백철은 신경향파문학이 프로문학으로 전환하게 된 계기를 카프 결성이라는 사실에서 찾았다. 카프에 가담하여 이른바 프로문학의 진영에서 활동하던 문인들은 프로문학이 결국 신경향파문학의 지향점임을 또 그렇게 되어야 함을 한결같이 주장하였던 것이다. 또 하나의 관점은 경향문학을 아예 프로문학의 대명사나 동의어로 보자는 태도이다. 경향문학과 프로문학 사이의 구분은 이론상으로는 충분히 가능하나 실제 작품을 통하여 볼 때 그러한 구분은 쉽지 않다. 경향문학의 활동은 특히 평론분야와 소설부문에서 많이 전개되었으며, 실제 작품보다는 이론이 훨씬 승(勝)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최서해의 경향소설적 주요작품에는 <고국(故國)>(朝鮮文壇,1924.10) <탈출기(脫出記)>(朝鮮文壇, 1925.3)·<기아(飢餓)와 살륙(殺戮)>(朝鮮文壇1925.6)·<홍염(紅焰)>(朝鮮文壇 1927.1) 같은 것들이 있다.
Ⅲ. 결론
「탈출기」는 간도 이주민 농민들의 비참상을 생생하게 증언한 작품이며, 식민지 시대의 사회적 모순을 비판한다. 또 간결하면서도 역동적인 문체로 철저히 비극을 증언하였다. 이러한「탈출기」의 문학사적 의의는 네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초기 프로문학적 성격을 대표하는 문학이다. 둘째, 식민지하의 우리 민족의 수난을 증언한 민족문학이다. 또 셋째로 리얼리즘의 문학이며, 마지막으로 격정적인 문체를 창조하였다.
결국 최서해의 탈출기는 아주 철저하게 고통스러운 현실을 모습을 보여주면서, 악한들에 대해 저항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는 것에 대한 강하고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반항적인 주제의식을 확실히 보여주고 그리하여 극복하고자 하고 있는 것이다.
Ⅳ. 토론
절망적인 현실에서, 인간의 선택은 극단적일 수밖에 없는가
최서해의 작품은 빈궁문학으로 대부분 최서해의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 많다. 비록 탈출기에서는 XX단에 가입하는 조금 다른 방식의 결말을 선택하였으나, 최서해의 다른 글에서 보이듯 많은 신경향 문학은 가난, 기아 등의 삶의 극단에서 항상 방화나, 살인으로 소설을 끝마치고 있다. 사실 탈출기의 결말 역시 최후에 어떠한 극단의 길로 XX단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맥락에서 보면 결국 다른 신경향 문학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보인다.
그러나 그것이 결코 옳다고 볼 수는 없다. 그들의 삶은, 각종 폐해로 인한 어두운 현실 속에서 지독하게 살기 어렵고 절망과 비극만이 존재한다. 그러나 극단적인 생각과 행동으로, 심지어 타인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면서까지 끝을 맺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현실을 적극적으로 개혁하지는 못하여도, 최소한 희망을 바라보며 정직하게 사는 것이 옳은 길일 것이다. 자기를 괴롭히는 지주의 집에 불을 지르고, 못살게 구는 사람들을 죽여버리거나, 아니면 탈출기에서처럼 가족들이 어떻게 되던 말던 자기는 XX단에 가입을 해버리는 것. 일반적인 시각에서 보았을 때, 그것은 옳지 않다. 그리고 과거의 그러한 것들은 최근 국가 여러 부분의 침체, 폐해 따위의 어둡고 혼란한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범죄와 자살 행위 혹은 여러 가지 엽기적인 사회 이슈와 신드롬 등과도 연관되어 논의해 볼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토론주제로 하려한다.
다시 말하면,
삶의 궁지에서 방화나 살인 등의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그 궁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
------------------------------------------------------------
參考文獻
1. 최서해, 신춘호 저, 건국대학교출판부
2. 동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1985)
3. 최서해 김유정의 세계 인식, 식민시대의 문학연구, 서종택, 깊은샘 (1980)
4. 신문검색 (www.kinds.or.kr)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7.22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