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탈출기」가 가지는 갈래적 특징
2. 「탈출기」안의 체험문학
3. 최서해는 어떻게 「탈출기」에서 훌륭한 Realism을 선보일 수 있었을까?
4. 「탈출기」의 각 장에서 “탈출”이 가지는 의미
2. 「탈출기」안의 체험문학
3. 최서해는 어떻게 「탈출기」에서 훌륭한 Realism을 선보일 수 있었을까?
4. 「탈출기」의 각 장에서 “탈출”이 가지는 의미
본문내용
회를 건지랴ㅡ 언뜻 보면 이 말은 단호한 꾸짖음이 담겨져 있다고만 생각했습니다.
(2) - 익숙함에서의 탈출
화자는 드디어 고향을 등지고 간도로 떠나려 합니다. 하지만 저는 생각하기에, 화자는 사실 간도라는 곳 자체에 희망을 품기보다는, 어디를 가든 고향보다는 나을 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절박한 생활에 찌들었을 때 그 생각은 더 강해지는 걸까요.
태고 적, 채집과 수렵이 유일한 삶의 수단이었을 때부터 인간은 “익숙함”에서부터 자연히 멀어질 수밖에 없었지요. 조악한 무기를 들고 축축한 동굴을 나서는 우리의 조상과, 녹슨 호미를 들고 초가를 떠나는 화자의 가족이 겹쳐지는 바람에 슬픈 생각이 들었습니다.
(3) - 주림으로부터의 탈출
가난, 그 익숙함과의 탈출은 또 다른 탈출을 불러일으킬 뿐이기에 마음이 적잖이 가라앉았습니다.
망국의 백성을 분연히 일어서게끔 하는 기미독립선언문 보다, 이 세 번째 장은 저에게 훨씬 더 또렷한 강점기 하 민중의 모습 아니 영상을 비추어주는 듯 하였습니다.
아내가 배고픔을 참다못해 귤껍질을 먹는 아내의 대목에서, 저는 소설 「동의보감」에서 “허준”의 어머니가 냉수에 간장을 풀어 마시는 장면이 떠오르는 것은 또
(2) - 익숙함에서의 탈출
화자는 드디어 고향을 등지고 간도로 떠나려 합니다. 하지만 저는 생각하기에, 화자는 사실 간도라는 곳 자체에 희망을 품기보다는, 어디를 가든 고향보다는 나을 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절박한 생활에 찌들었을 때 그 생각은 더 강해지는 걸까요.
태고 적, 채집과 수렵이 유일한 삶의 수단이었을 때부터 인간은 “익숙함”에서부터 자연히 멀어질 수밖에 없었지요. 조악한 무기를 들고 축축한 동굴을 나서는 우리의 조상과, 녹슨 호미를 들고 초가를 떠나는 화자의 가족이 겹쳐지는 바람에 슬픈 생각이 들었습니다.
(3) - 주림으로부터의 탈출
가난, 그 익숙함과의 탈출은 또 다른 탈출을 불러일으킬 뿐이기에 마음이 적잖이 가라앉았습니다.
망국의 백성을 분연히 일어서게끔 하는 기미독립선언문 보다, 이 세 번째 장은 저에게 훨씬 더 또렷한 강점기 하 민중의 모습 아니 영상을 비추어주는 듯 하였습니다.
아내가 배고픔을 참다못해 귤껍질을 먹는 아내의 대목에서, 저는 소설 「동의보감」에서 “허준”의 어머니가 냉수에 간장을 풀어 마시는 장면이 떠오르는 것은 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