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3세계와 사회주의 운동
2. 제3세계와 사회주의 건설
2. 제3세계와 사회주의 건설
본문내용
고 경제적 자유주의 노선이 채택되었다. 이와는 달리 민족민주세력 중간파 노선으로 분류될 수 있는 '사회주의로의 탄자니아의 길'이나 '버마식 사회주의'와 같은 '제3의 길'론은 국제적으로는 혁명적-마르크주의적 사회주의에 대한 대안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서 제국주의 세력에 의해 암묵적인, 때로는 공공연한 지지를 얻었다. 제3의 길에 입각한 사회주의 건설 역시 전반적으로 보아 후진성을 극복함에 실패했는데, 그 이유는 그 노선이 '자력 갱생'에 입각하면서도 밑으로부터의 대중의 혁명적 역량을 동원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위에서 말한 발전노선 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민족해방혁명을 통해 독립을 쟁취한 대부분의 신생국들은 - 민족부르주아지가 내부적으로 확고한 계급헤게모니를 지니고 있었던 인도에서 의회민주제에 기초한 국가자본주의가 구축되었던 것 등을 예외로 한다면 - 1당 국가 체제에 기초한 국가자본주의적 발전의 길을 걸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때 제3세계의 국가자본주의는 국가우클라드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가운데 소상품적 우클라트, 사경영적 우클라드, 전자본주의적 우클라드 등이 광범하게 존재하는 경제체제를 가르키는데, 이러한 국가자본주의는 상부구조가 자신에 기초한 안정적인 계급적, 경제적 토대를 갖지못한 과도기적 경제구성체로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국가자본주의는 국가권력이 대중에 강력히 뿌리를 내린 프롤레타리아 정치세력의 헤게모니 하에 있을 때에만 사회주의로의 발전동력을 지닌다. 이와는 달리 제3세계의 대부분의 국가자본주의는 한편으로는 식민지 하에서 특권을 누린 상업 부르주아지의 성장 및 사회내부의 소생산자층의 상승적 계급분화 내지 그들의 사적 자본가로의 발전을 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권력을 장악한 세력의 특권화와 '관료 부르주아지' 내지 '준(準) 자본가계급'으로의 전화 등을 촉진했다. 이러한 점들과 관련하여, 이러한 국가자본주의를 솔(Saul)은 '자기살해적 소시민층'(das Selbstmord ver bende Kleinb rgertum) 체제로, 시비(Shivj)는 '은폐된 자본주의'(getarnter Kapitalismus)로 규정했다. 장기적으로 보면, 국가자본주의 체제의 관료 부르주아지는 사적 부르주아지로 전화하는 과도기적 존재로 규정될 수 있는데, 1980년대에 이르러 국가자본주의적 발전이 내부적으로 심각한 위기에 처하고, 또 국가자본주의 체제의 세계자본주의로의 통합이 더한층 촉진되면서 오늘날에는 국가자본주의가 사적 자본주의로 점차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그러한 관료 부르주아지를 그 나름의 안정적인 독자적인 계급으로 보는 견해, 예를 들면 엘젠하우스(Elsenhaus)의 '국가계급' 개념, 로이드(Lloyd)의 '관료계급'개념, 코헨(Cohen)의 '정치적 계급' 개념 등은 관료부르주아지가 지닌 과도기적 성격을 무시하는 견해이다.
△ 제3세계와 사회주의2(김세균외)
▽ 마르크스의 헤겔 변증법 철학 비판에 대한 일 고찰 (김세균)
Copyright 1999-2004 Zeroboard / skin by zero
△ 제3세계와 사회주의2(김세균외)
▽ 마르크스의 헤겔 변증법 철학 비판에 대한 일 고찰 (김세균)
Copyright 1999-2004 Zeroboard / skin by zero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주의 리얼리즘
사회주의 국가체제에서의 여성해방
제3의길이란 책을 읽고 작성후 영어로 해설
[냉전][냉전의 개념][냉전의 기원][냉전의 성립][냉전의 전개과정][냉전의 붕괴][신세계질서...
세계화와 한국사회 : FTA를 중심으로
[북한교육][북한의 교육][북한교육 사상교육][북한교육 사회주의교육][보통교육][민족교육][...
세계경쟁전략 - 나의 세계경쟁전략에 대해서
[생산과 사회주의][생산과 마르크스주의][생산과 맑스주의][생산과 자본주의][생산과 제국주...
[생산][생산 정의][생산 특성][생산 요소][생산 함수][생산 국가][생산 정보자본주의][생산 ...
[미국 자본주의][미국 자본주의 황금기][금융세계화][주식시장]미국 자본주의의 발전과정, 미...
[요약] 회의하는 세대를 위한 사회주의 (사회주의의 새로운 모색) 랄프 밀리반트 저
제3의길과 그비판자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