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 밑거름이 되었고, 조선 후기 실학파와 개화파에 큰 영향을 끼쳐 애구 계몽 운동가 박은식과 일제 강점기 정인보 등에 면면히 이어졌고, 천주교와 유교의 사상적 교량 역할도 담당하였던 것이다. 이상으로 한국 양명학의 특징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에 설명한 내용 중에는 반복되어 나타나는 내용이 있기도 하다. 그리고 앞서 지적한바 있듯이 강화학파의 각 학자에 대한 내용은 적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강화학파가 조선에 있어서 물론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정제두를 선두로 하여 그 맥이 상당히 지속되었고, 그들 나름대로의 철학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계몽운동이라든가, 실학 등 여러 면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였다고 볼 수 있다. 강화학파의 또 다른 특징을 짓는다면 혈연에 의해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양명학자인 신대우, 이영익, 이광명의 아내가 하곡의 손녀딸인 것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나라의 양명학은 강화학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들의 사상이 주자와는 다른 독특한 철학을 가지고 있으므로, 당시의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도 넘겨버려서는 안될 것이다.
앞에 설명한 내용 중에는 반복되어 나타나는 내용이 있기도 하다. 그리고 앞서 지적한바 있듯이 강화학파의 각 학자에 대한 내용은 적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강화학파가 조선에 있어서 물론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정제두를 선두로 하여 그 맥이 상당히 지속되었고, 그들 나름대로의 철학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계몽운동이라든가, 실학 등 여러 면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였다고 볼 수 있다. 강화학파의 또 다른 특징을 짓는다면 혈연에 의해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양명학자인 신대우, 이영익, 이광명의 아내가 하곡의 손녀딸인 것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나라의 양명학은 강화학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들의 사상이 주자와는 다른 독특한 철학을 가지고 있으므로, 당시의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도 넘겨버려서는 안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