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가정소설이란
쟁총형소설이나 계호형 소설이 발달하게 된계기
계모형 가정소설
쟁총형 가정소설
창선감의록
창선감의록에 대한 여러 연구사적 현황
결론
본론
가정소설이란
쟁총형소설이나 계호형 소설이 발달하게 된계기
계모형 가정소설
쟁총형 가정소설
창선감의록
창선감의록에 대한 여러 연구사적 현황
결론
본문내용
나누어 이해하는 방식으로 정리된다. 이때 이 작품을 가정소설로 이해하는 입장은 주인공 화진을 중심으로 한 花家에 초점을 두고 이해한 결과이며, 가문소설로 분류한 경우는 花家 이외에 그가 직, 간접적으로 인연을 맺는 윤, 남, 진가 등과의 가문 연합에 초점을 두어 이해한 결과이다. 그러나 『창선감의록』의 중심 가문이 花家임에 틀림없지만, 이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윤, 남, 진, 임, 백, 성, 엄가 등과의 방사적 관계를 제외하고는 작품의 총체적 이해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창선감의록』을 가문소설의 범주 안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창선감의록』의 주요한 서사적 추진력의 도인이 문벌규합에 따른 장애와 극복의 문제 및 이들의 서울 진출로 획득되는 정계진출이라고 파악하고, 바로 이 점이 『창선감의록』을 가문소설이라 명명할 수 있는 충분한 작품 내적 조건이라고 판단한다.
최기숙, 『17세기 장편소설의 서사 세계』, 월인, 1999, pp.146~148.
결론
가정소설속의 처-처 갈등 은 다처간의 수평적 관계에 기초한 애정 다툼의 성격을 지니는데, <창선감의록>은 '처-처 갈등이 전이되어 나타난 심씨-화진' '화춘-화진'간의 이차적 갈등이 서사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심씨와 화춘, 정씨와 화진은 모두 적실·적자들이기에 그들의 가정내적 위상은 가장의 애정 향방에 결정적으로 좌우된다. 그들은 가장의 애정을 둘러싼 첨예한 경쟁관계에 놓여 있으며, 그러한 경쟁심리가 가장이 편애에 의해 폭발되며서 심각한 가족갈등이 야기된다. 다처제의 불합리에서 기인된 어머니代의 갈등이 아들代로 이어지면서 집단적인 당파적 갈등의 형태로 발전되고, 이는 가족갈등을 한 층 첨예화시키고 있다.
)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 경남대학교출판부, 1997,p.292
참고자료
김재용, 『계모형 고소설의 시학』, 집문당, 1996.
문용직, 『가문소설의 인물연구』,대학사, 1996.
박일용, 『한국고소설의 자료와 해석』「창선감의록의 구성원리와 미학적 특징」, 아세아문 학사, 2001.
박희병, 「17세기 동아시아의 戰亂과 民衆의 삶-<金英哲傳>의 분석」, 창작과비평사, 1990.
오종근, 백미애, 『조선조 가정소설연구』, 2001.
우성국, 「가문소설의 구조분석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이수봉, 『한국가문소설연구』, 경인출판사, 1992,
이승복, 『고정소설과 가문의식』, 월인, 2000.
최기숙, 『17세기 장편소설의 서사 세계』, 월인, 1999, pp.146~148.
결론
가정소설속의 처-처 갈등 은 다처간의 수평적 관계에 기초한 애정 다툼의 성격을 지니는데, <창선감의록>은 '처-처 갈등이 전이되어 나타난 심씨-화진' '화춘-화진'간의 이차적 갈등이 서사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심씨와 화춘, 정씨와 화진은 모두 적실·적자들이기에 그들의 가정내적 위상은 가장의 애정 향방에 결정적으로 좌우된다. 그들은 가장의 애정을 둘러싼 첨예한 경쟁관계에 놓여 있으며, 그러한 경쟁심리가 가장이 편애에 의해 폭발되며서 심각한 가족갈등이 야기된다. 다처제의 불합리에서 기인된 어머니代의 갈등이 아들代로 이어지면서 집단적인 당파적 갈등의 형태로 발전되고, 이는 가족갈등을 한 층 첨예화시키고 있다.
) 이원수,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 경남대학교출판부, 1997,p.292
참고자료
김재용, 『계모형 고소설의 시학』, 집문당, 1996.
문용직, 『가문소설의 인물연구』,대학사, 1996.
박일용, 『한국고소설의 자료와 해석』「창선감의록의 구성원리와 미학적 특징」, 아세아문 학사, 2001.
박희병, 「17세기 동아시아의 戰亂과 民衆의 삶-<金英哲傳>의 분석」, 창작과비평사, 1990.
오종근, 백미애, 『조선조 가정소설연구』, 2001.
우성국, 「가문소설의 구조분석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이수봉, 『한국가문소설연구』, 경인출판사, 1992,
이승복, 『고정소설과 가문의식』, 월인, 2000.
추천자료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집필동기와 내용요약,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정치적 배경과 역...
[소설, 소설 정의, 소설 특징, 소설 분류, 소설 구성, 소설 요소, 소설 등장인물, 소설 인물...
[소설, 액자소설, 농민소설, 신마소설, 인정소설, 의인소설, 영웅소설]소설과 액자소설, 소설...
[소설][1920년대][1930년대][1940년대][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20년대의 소설, 1930...
[소설][영웅소설]소설과 영웅소설, 소설과 단편소설, 소설과 고전소설, 소설과 고대소설, 소...
[소설][소설 의미][소설 성격][소설 기원][소설 본질][소설 구조][소설 구성][소설 플롯]소설...
[현대소설][현대소설 성격][현대소설 분류][현대소설 갈래][현대소설 구성][현대소설 전개]현...
[고전소설]고전소설의 성격, 고전소설의 소재, 고전소설의 구성, 조선후기 고전소설 현씨양웅...
[소설, 소설 개념, 소설 근원, 소설 발생, 소설 주제, 소설 화자, 소설 시점, 소설 대화, 소...
[소설][소설 이론][소설 구성][소설 플롯][소설 인물][소설 시간][소설 시점][소설 서술][플...
[소설][소설 양식][소설 의미][소설 특징][소설 성격][소설 발생][소설 구성][소설 요소][소...
[한국현대소설론] 소설사회학적 연구의 실례 - 집단과 개인, 일제강점기 소설 연구방법, 일제...
[한국현대소설론] 소설의 모방과 창조, 허구와 진실 및 담론구조 - 모방과 창조(리얼리즘 소...
[한국현대소설론] 소설의 개념(소설의 종류, 소설개념의 정의, 소설의 성격)과 근대소설의 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