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치의 개념
2. 가치의 종류
3. 가치의 보편적 특징(성질)
4. 가치의 상호 관계
5. 가치의 등급 순위
2. 가치의 종류
3. 가치의 보편적 특징(성질)
4. 가치의 상호 관계
5. 가치의 등급 순위
본문내용
다 고차적임 을 말한다.
이 원리에 따르면, 개인적 가치는 특수한 배타적 가치이며, 사회적 가치나 정신적 문화적 가치는 포용적 보편적 가치이다.
개인의 부. 쾌. 건강보다 사회 집단내지 인류에 공통된 부. 쾌. 건강은 고 차적이며, 소수자에 있어서의 애정. 행복. 명예. 협동 보다도 다수자에 있어 서의 그것이 고차적이고, 개인이나 소수 집단에 있어서의 진. 선. 미. 성보 다도 인류가 이상으로 삼는 정신적 문화적 가치로서의 절대적 진. 선. 미. 성은 지상의 보편적 포용적 가치이다.
그런데 정신적 문화적 제가치에 있어서도 고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 실현 형식에 있어서 특정한 학자에만 국한된 진리 탐구에 의한 학문적 문화 보다도 정상적 정신의 소유자라면 보편적으로 누구나가 실천 가능한 도덕적 가치는 고차적이다.
(5) 이상성
이상성의 원리는 인류가 최고의 완전성으로서 욕구나 노력의 목표로 삼는 이상적 가치가 현실의 구체적인 존재 성격에 근본된 현실적 가치보다 고차 적임을 말한다. 그런데 현실은 이상의 실현을 위한 소재가 된다는 의미에서 현실적 가치는 이상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 기반을 이루는 것이다.
이 원리에 따르면, 현실적인 개인의 가치는 이상적인 사회적 가치를 실현 하기 위한 기반이 되며, 정신적 문화적 가치는 문화인으로서의 개인이나 또 는 이 개인을 초월한 문화적 인류 사회에서 그 실현을 이상으로 삼는 이상 적 가치로서, 본질적 항구적 생산적 보편적 가치이다.
이상적 가치인 정신적 문화적 가치에도 고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진. 선. 미는 인류가 이상으로 삼는 이상적 가치이면서도 인간의식의 현실적 경 험적 제형태에서 추구되는 가치이며, 또한 이에 상대적인 위, 악, 추의 존 재로 인해 가치가 부여됨으로 그 상대성을 예상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삼 자위에 군림하는 성가치는 이상적 초경험적 생활관계 가운데 절대적인 신의 법칙이 지배하는 최고 존재로서의 이상적 가치이며, 이에 상대적인 여하한 존재도 예상할 수 없는 절대적 가치이므로, 모든 가치 중에서 최고의 완전 성으로서 至上의 가치이다.
이런 의미에서 정신적 문화적 가치인 진. 선. 미. 성은 본질적 항구적 생 산적 보편적 이상적 가치이며, 이중에서도 聖은 모든 가치 위에 군림하는 至上의 가치이다.
이상의 원리에 의해 본질적. 항구적. 생산적. 보편적. 이상적 가치를 방 편적. 일시적. 특수적. 현실적 가치보다 고차적으로 용인할 때, 다음과 같 은 체계가 성립한다.
경제적 가치(財貨)는 오락적 가치(快樂)에, 그리고 이 양자는 신체적 가치 (健康)에 종속된다. 이 삼자의 개인적 가치보다 고차적인 초개인적 가치에 서, 사회적 가치로서의 집단적 가치(愛情)는 본질적 항구적 생산적 보편적 이상적 가치인 학술적 가치(眞). 도덕적 가치(善). 예술적 가치(美). 종교적 가치(聖) 등 정신적 문화적 가치에 종속된다.그리고 여기에서도 학술적 가치 는 도덕적 가치에, 이 양자는 미적 가치에 종속되며, 종교적 가치는 모든 가 치 중에서도 절대적 최고 가치가 된다.
이 원리에 따르면, 개인적 가치는 특수한 배타적 가치이며, 사회적 가치나 정신적 문화적 가치는 포용적 보편적 가치이다.
개인의 부. 쾌. 건강보다 사회 집단내지 인류에 공통된 부. 쾌. 건강은 고 차적이며, 소수자에 있어서의 애정. 행복. 명예. 협동 보다도 다수자에 있어 서의 그것이 고차적이고, 개인이나 소수 집단에 있어서의 진. 선. 미. 성보 다도 인류가 이상으로 삼는 정신적 문화적 가치로서의 절대적 진. 선. 미. 성은 지상의 보편적 포용적 가치이다.
그런데 정신적 문화적 제가치에 있어서도 고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 실현 형식에 있어서 특정한 학자에만 국한된 진리 탐구에 의한 학문적 문화 보다도 정상적 정신의 소유자라면 보편적으로 누구나가 실천 가능한 도덕적 가치는 고차적이다.
(5) 이상성
이상성의 원리는 인류가 최고의 완전성으로서 욕구나 노력의 목표로 삼는 이상적 가치가 현실의 구체적인 존재 성격에 근본된 현실적 가치보다 고차 적임을 말한다. 그런데 현실은 이상의 실현을 위한 소재가 된다는 의미에서 현실적 가치는 이상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 기반을 이루는 것이다.
이 원리에 따르면, 현실적인 개인의 가치는 이상적인 사회적 가치를 실현 하기 위한 기반이 되며, 정신적 문화적 가치는 문화인으로서의 개인이나 또 는 이 개인을 초월한 문화적 인류 사회에서 그 실현을 이상으로 삼는 이상 적 가치로서, 본질적 항구적 생산적 보편적 가치이다.
이상적 가치인 정신적 문화적 가치에도 고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진. 선. 미는 인류가 이상으로 삼는 이상적 가치이면서도 인간의식의 현실적 경 험적 제형태에서 추구되는 가치이며, 또한 이에 상대적인 위, 악, 추의 존 재로 인해 가치가 부여됨으로 그 상대성을 예상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삼 자위에 군림하는 성가치는 이상적 초경험적 생활관계 가운데 절대적인 신의 법칙이 지배하는 최고 존재로서의 이상적 가치이며, 이에 상대적인 여하한 존재도 예상할 수 없는 절대적 가치이므로, 모든 가치 중에서 최고의 완전 성으로서 至上의 가치이다.
이런 의미에서 정신적 문화적 가치인 진. 선. 미. 성은 본질적 항구적 생 산적 보편적 이상적 가치이며, 이중에서도 聖은 모든 가치 위에 군림하는 至上의 가치이다.
이상의 원리에 의해 본질적. 항구적. 생산적. 보편적. 이상적 가치를 방 편적. 일시적. 특수적. 현실적 가치보다 고차적으로 용인할 때, 다음과 같 은 체계가 성립한다.
경제적 가치(財貨)는 오락적 가치(快樂)에, 그리고 이 양자는 신체적 가치 (健康)에 종속된다. 이 삼자의 개인적 가치보다 고차적인 초개인적 가치에 서, 사회적 가치로서의 집단적 가치(愛情)는 본질적 항구적 생산적 보편적 이상적 가치인 학술적 가치(眞). 도덕적 가치(善). 예술적 가치(美). 종교적 가치(聖) 등 정신적 문화적 가치에 종속된다.그리고 여기에서도 학술적 가치 는 도덕적 가치에, 이 양자는 미적 가치에 종속되며, 종교적 가치는 모든 가 치 중에서도 절대적 최고 가치가 된다.
추천자료
비생산적 노동과 정보기술
교육철학
교육철학요약
[인적자원개발][HRD]인적자원개발(HRD) 심층 분석(인적자원개발(HRD) 패러다임, 인적자원개발...
교육철학 핵심정리 서브노트
[미][미적 사상][미적 교육][벤야민][니체][흄][아도르노][쉴러]미의 개념, 미적 특징, 벤야...
[교육철학] 교육의 철학적 기초
포스트모던 철학(postmodern philosophy)의 진리관을 설명하고,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경제학의 변천사 정리
국사과교육(국사교육)의 의의와 방법론, 국사과교육(국사교육)의 지역사 인식, 국사과교육(국...
부동산활동 철학의 과제
인터넷과윤리연습문제(최종판) -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인터넷 중독
교육철학의 기초, 현대교육 철학의 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