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장 判斷論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판단의 성질
제2절 판단의 종류
1. 관계(Relation)
2. 양(量)
3. 質
4. 樣相
제3절 판단의 주연관계
1. 전칭 긍정 판단(A판단 ; 모든 S는 P이다)
2. 전칭부정판단(E판단 : 모든 S는 P가 아니다)
3. 특칭긍정판단(I판단 : 약간의 S는 P이다)
4. 특칭부정판단(O판단 : 약간의 S는 P가 아니다)
제4절 가언판단과 선언판단

본문내용

의 S가 동일한 개념일 때와 다른 개념 일때를 나누어 두 가지로 구분한다.
사람이 만일 정직하다면 그는 존경받는다.
훌륭한 지도자가 나타나면 국민은 행복하게 된다.
이 중 은 로 고칠 수가 있으며, 가언판단의 대표적인 경우도 전건과 후건의 S가 동일한 경우라 할 수 있다.
가언판단은 가정된 판단의 전건과 그것에 의하여 주장된 후건 사이에 필연적인 관계가 가능 할 때 성립하는 것으로 내용상 다음과 같이 구별 할 수 있다.
A) 인과관계: 사람이 봄에 씨앗을 뿌리면 그는 가을에 거 두는 것이 있다.
B) 시간관계: 겨울이 오면 눈이 내린다.
C) 공간관계: 하류로 내려오면 바다가 가까와진다.
D) 수학적 관계: 삼각형의 세 변이 같으면 세 각도 같다.
E) 유와 종의 포섭관계: 동물이 생물이라면 사람도 생물이다.
F) 목적관계: 사람이 성공하려면 매사에 부지런해야 한 다.
가언판단의 전칭, 특칭의 구별은 전건과 후건의 관계가 필연적이냐 아니냐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리고 가언판단을 정언판단으로 고칠 수가 있다.
사람이 노력하면 그는 성공한다.(가언판단)
노력하는 사람은 성공한다.(정언판단)
그러나 정언판단을 가언판단으로 고치려 할 때는 그것이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선언판단도 형식은 [X이거나 Y이거나 이다]로 되며 이 때의 X와 Y는 역시 정언적 판단을 의미하게 된다. 이 판단도 동일한 S를 가지느냐 어떠냐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되는 것은 가언판단의 경우와 같다.
사람은 남자이거나 여자이거나이다.
눈이 오거나 비가 오거나이다.
이 중에 선언판단의 대표적인 것은 S가 동일한 의 경우라 하겠다. 선언판단에 있어서 선택된 빈사를 선언지라 하고, 그 선언지의 다소에 따라 1) 2지적 선언판단, 2) 3지적 선언판단, 3) 다지적 선언판단으로 나누어진다.
모든 인간은 남자이든가 여자이든가이다.(2지적)
모든 각은 직각이든가 예각이든가 둔각이든가이다.(3지적)
1년중의 달은 1, 2, 3, 4, ........12월중의 어느 하나이다.(다지적)
선언판단은 가언판단으로 고칠 수 없으며, 정언판단으로 고칠 수는 있다.
(예) 물질은 무기물이거나 유기물이거나이다.(선언적)
물질이 무기물이라면 그 물질은 유기물이 아니다.(가 언적)
생물은 동물이든가 식물이든가 이다.(선언적)
생물은 그것이 동물이면 식물이 아니다.(가언적)
동물인 생물은 식물이 아니다.(정언적)

키워드

  • 가격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8.01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