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序說
1 . 사실관계
2 . 역사교과서 공격의 배경
(1) 제1차 역사교과서
(2) 제2차 역사교과서
(3) 제3차 역사교과서
3 . 역사왜곡에 대한 대응
Ⅱ . 새 역사교과서와 국정 국사교과서의 민족주의 역사관의 비교
1 . 새 역사교과서의 민족주의 역사관
2 . 국정 국사교과서의 민족주의 역사관
Ⅲ . 結
1 . 사실관계
2 . 역사교과서 공격의 배경
(1) 제1차 역사교과서
(2) 제2차 역사교과서
(3) 제3차 역사교과서
3 . 역사왜곡에 대한 대응
Ⅱ . 새 역사교과서와 국정 국사교과서의 민족주의 역사관의 비교
1 . 새 역사교과서의 민족주의 역사관
2 . 국정 국사교과서의 민족주의 역사관
Ⅲ . 結
본문내용
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일제에 의
한 국권의 피탈로 자주적인 근대화가 중단되고, 식민통치하에서 탄압과 수탈을 당했으나 줄기 찬 독립운동으로 광복을 되찾게 되었음을 이해한다” 라든지 “일제 식민지 통치 시기가 민족사 의 일대 수난기임을 인식하고, 일제의 식민정책이 한국의 근대화를 저해했음을 파악 한다”등과 같은 ‘지시’들은 일본을 절대 악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일본과 아울러 한국역 사의 발전을 저해한 부정적 존재로 일제 강점 하 사회주의 운동 또는 해방 이후의 북한공산 주의를 지목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19년 31 운동 이후 국내에 사회주의 사상이 유입되어 사회 , 경제적 민족운동이 활성화되기도 했으나, 한편으로는 민족주의운동과의 대립으로 민족 운동의 전개에 혼선이 일어났음을 이해 한다”고 하고 있는데 이처럼 노동농민운동이나 사회 주의 운동을 다루는 항목에서는 ‘대립과 갈등’ , ‘분열과 혼란’ 등의 이미지를 자주 부각시키고 있으며, 신간회라는 민족 통일전선 단체의 해체를 설명할 때는 코민테른의 사주를 받았다고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사회주의자가 자기 사상이나 계급, 혹은 ‘사회주의 조국 소련’을 위해 자신의 조국과 민족을 배신한 자, 혹은 민족의 절천지 원수로 역사화 된다.
Ⅲ . 結
1 이처럼 일본의 [새 역사교과서]와 한국의 [국사교과서]는 국가와 민족의 유구성, 신성성, 공공성 을 기본으로 하여 그 안으로 국민을 통합하고 타국의 침략에 대한 국가 공동체의 항쟁을 강조하 는 하는 반면, 자국이 타국이나 국내 특정 주민들에 대해 저지른 범죄행위를 은폐 왜곡 서술한 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한일 양국 역사교과서의 공통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볼때, [새 역사교과서]의 역사관을, 한국 [국 사교과서]의 역사관으로 비판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보인다. 양자 모두 국가와 민족을 바라보 는 관점이 동일하다면, 비판할 수 있는 부분은 오로지 상호간의 역사가 얽혀 있는 시기와 사건 에 대한 평가 부분에서 뿐이며, 그나마 그것도 상대국가의 침략 또는 지배에 대한 도덕적 비난 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 민족 국가 개념을 버리고 [새 역사교과서]의 역사관을 어떻게 비판,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국가라는 지배체제가 소멸하지 않는 한, 국가 민족 중심의 역사관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 다. 그렇다면 가능한 선택 방식은 국가 민족에 도덕적 정당성을 선험적으로 부여하지 말고 역 사서술을 하자는 것이다. 민족 국가에 선험적으로 도덕적 정당성을 부여 한 것 이 근대 역사학 의 본질이다. 도덕적 정당성을 부여하지 않을 때만 특정 지역의 주민집단을 국민국가로 통합할 때 지배권력에 의해 배제된 다른 주민집단의 고통, 다른 국가 민족의 고통을 역사 속으로 복원 시킬 수 있다. 또, 침략과 반인륜적 범죄행위를 국가주의 민족주의적 역사관이 아니라 각국 간 의 시민적 연대를 통해 인도주의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할 때에만 애국주의 민족주의를 이용하여 통치권력의 정통성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국가주의적 담론의 허구성에 빠지지 않을 것이며, 국가 간에 끝없이 반복되는 대립 갈등의 역사를 극복하고 화해 협력 평화의 역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參考文獻
1. 근현대사 속의 한국과 일본 / 왜곡된 역사교과서 , 은폐된 진실
2. 문답으로 읽는 일본 교과서 / 일본 교과서 바로잡기 운동본부 편
3. 한, 중, 일 역사인식과 일본 교과서 / 일본 교과서 바로잡기 운동 본부 편
4. 더러운 역사 교과서 / 일본 교과서 바로잡기
5. http://www.nanet.go.kr/japan/index.html
한 국권의 피탈로 자주적인 근대화가 중단되고, 식민통치하에서 탄압과 수탈을 당했으나 줄기 찬 독립운동으로 광복을 되찾게 되었음을 이해한다” 라든지 “일제 식민지 통치 시기가 민족사 의 일대 수난기임을 인식하고, 일제의 식민정책이 한국의 근대화를 저해했음을 파악 한다”등과 같은 ‘지시’들은 일본을 절대 악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일본과 아울러 한국역 사의 발전을 저해한 부정적 존재로 일제 강점 하 사회주의 운동 또는 해방 이후의 북한공산 주의를 지목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19년 31 운동 이후 국내에 사회주의 사상이 유입되어 사회 , 경제적 민족운동이 활성화되기도 했으나, 한편으로는 민족주의운동과의 대립으로 민족 운동의 전개에 혼선이 일어났음을 이해 한다”고 하고 있는데 이처럼 노동농민운동이나 사회 주의 운동을 다루는 항목에서는 ‘대립과 갈등’ , ‘분열과 혼란’ 등의 이미지를 자주 부각시키고 있으며, 신간회라는 민족 통일전선 단체의 해체를 설명할 때는 코민테른의 사주를 받았다고 강 조하고 있다. 이러한 서술은, 사회주의자가 자기 사상이나 계급, 혹은 ‘사회주의 조국 소련’을 위해 자신의 조국과 민족을 배신한 자, 혹은 민족의 절천지 원수로 역사화 된다.
Ⅲ . 結
1 이처럼 일본의 [새 역사교과서]와 한국의 [국사교과서]는 국가와 민족의 유구성, 신성성, 공공성 을 기본으로 하여 그 안으로 국민을 통합하고 타국의 침략에 대한 국가 공동체의 항쟁을 강조하 는 하는 반면, 자국이 타국이나 국내 특정 주민들에 대해 저지른 범죄행위를 은폐 왜곡 서술한 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한일 양국 역사교과서의 공통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볼때, [새 역사교과서]의 역사관을, 한국 [국 사교과서]의 역사관으로 비판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보인다. 양자 모두 국가와 민족을 바라보 는 관점이 동일하다면, 비판할 수 있는 부분은 오로지 상호간의 역사가 얽혀 있는 시기와 사건 에 대한 평가 부분에서 뿐이며, 그나마 그것도 상대국가의 침략 또는 지배에 대한 도덕적 비난 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2 민족 국가 개념을 버리고 [새 역사교과서]의 역사관을 어떻게 비판,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국가라는 지배체제가 소멸하지 않는 한, 국가 민족 중심의 역사관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 다. 그렇다면 가능한 선택 방식은 국가 민족에 도덕적 정당성을 선험적으로 부여하지 말고 역 사서술을 하자는 것이다. 민족 국가에 선험적으로 도덕적 정당성을 부여 한 것 이 근대 역사학 의 본질이다. 도덕적 정당성을 부여하지 않을 때만 특정 지역의 주민집단을 국민국가로 통합할 때 지배권력에 의해 배제된 다른 주민집단의 고통, 다른 국가 민족의 고통을 역사 속으로 복원 시킬 수 있다. 또, 침략과 반인륜적 범죄행위를 국가주의 민족주의적 역사관이 아니라 각국 간 의 시민적 연대를 통해 인도주의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할 때에만 애국주의 민족주의를 이용하여 통치권력의 정통성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국가주의적 담론의 허구성에 빠지지 않을 것이며, 국가 간에 끝없이 반복되는 대립 갈등의 역사를 극복하고 화해 협력 평화의 역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參考文獻
1. 근현대사 속의 한국과 일본 / 왜곡된 역사교과서 , 은폐된 진실
2. 문답으로 읽는 일본 교과서 / 일본 교과서 바로잡기 운동본부 편
3. 한, 중, 일 역사인식과 일본 교과서 / 일본 교과서 바로잡기 운동 본부 편
4. 더러운 역사 교과서 / 일본 교과서 바로잡기
5. http://www.nanet.go.kr/japan/index.html
추천자료
새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한·중 간 고구려사 왜곡 논란
일제시대의 법왜곡(교육법)
한중간 고구려사 왜곡 논란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정책을 국제행정론의 측면(Global Governance, ...
역사왜곡과 한일관계
중국의 역사왜곡(동북공정을 비롯한..)
국사교과서 발행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현대 정치의 이해 - 일본의 보수화
[현대정치] 일본의 우경화
한국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전개 방향에 대한 고찰
교과서의 동양 근현대사 서술과 개론서와의 비교
역사교과서 논란과 뉴라이트 - 뉴라이트(New Right)는 다시 교과서를 써야 한다(New Write) <...
[비교문학] 왓킨스로부터의 문학 요코로부터의 왜곡 -『요코 이야기』를 바탕으로 [요코 이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