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카스트라는 말의 정의와 유래
2. 바르나(Varna)와 자띠(jati)
3. 신화 속의 카스트
4. 카스트 제도의 기원과 발전
5. 카스트의 특징
6. 카스트간의 차별과 규제
7. 카스트 구조와 경제
8. 카스트 구조와 정치
9. 카스트의 변화와 지속
10. 카스트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2. 바르나(Varna)와 자띠(jati)
3. 신화 속의 카스트
4. 카스트 제도의 기원과 발전
5. 카스트의 특징
6. 카스트간의 차별과 규제
7. 카스트 구조와 경제
8. 카스트 구조와 정치
9. 카스트의 변화와 지속
10. 카스트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본문내용
로 전개되었는데, 이 가운데 퓰레는 '달릿뜨'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달릿뜨 라는 어원적 의미는 '부수다' 깨뜨리다' '찢다'의 뜻을 가진 산스크리트어의 '달(dal)'로부터 파생되어 '부서진 자', '찢긴 자'등을 의미한다.
불가촉민들은 처음에는 산스크리뜨화를 통한 지위 상승에 열중하였으나 점차 그들의 피 억압 상태를 탈피하기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투쟁하였고 그 결과, 독립 후 '보호를 위한 차별'(protective discrimination)정책이 인도 헌법에서 채택되어 헌법상으로는 불가촉민이 안고 있던 사회적 불리함을 떨쳐 버리고 정치, 경제, 교육 등의 부문에서 그들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에 의해서 그들은 공공 부문에 주마다 지정된 일정한 비율의 범위 내에서 자신들끼리 경쟁하여 공직을 차지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주 의회 및 연방의회 의석의 일부가 할당되기도 했고, 입법부와 행정부의 고위 관직에도 진출할 수 있었다.(따라서 이후로 그들을 지정된 카스트(Scheduled Caste)라고 부른다.)
이들은 1957년에 인도공화당을 결성하여 전체 지정 카스트, 지정부족 및 후진 계급과 동맹을 꾀하였으나 1970년 내부분열로 붕괴되자 젊은 사람들과 호전적인 불가촉민들은 새로운 정당을 결성하고 달리뜨 빤터르라는 이름아래 혁명적인 성격의 운동을 전개해 갔으며, 1984년에는 대중사회당(Bahujan Samaj party: BSP)을 창당하여 보다 큰 정치력을 확보하였다. 그 결과 1995년에는 대중 사회당에서 인도 최대의 주인 웃따르프라데쉬의 주수상직을 차지하기까지 했다.
불가촉민들은 처음에는 산스크리뜨화를 통한 지위 상승에 열중하였으나 점차 그들의 피 억압 상태를 탈피하기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투쟁하였고 그 결과, 독립 후 '보호를 위한 차별'(protective discrimination)정책이 인도 헌법에서 채택되어 헌법상으로는 불가촉민이 안고 있던 사회적 불리함을 떨쳐 버리고 정치, 경제, 교육 등의 부문에서 그들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에 의해서 그들은 공공 부문에 주마다 지정된 일정한 비율의 범위 내에서 자신들끼리 경쟁하여 공직을 차지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주 의회 및 연방의회 의석의 일부가 할당되기도 했고, 입법부와 행정부의 고위 관직에도 진출할 수 있었다.(따라서 이후로 그들을 지정된 카스트(Scheduled Caste)라고 부른다.)
이들은 1957년에 인도공화당을 결성하여 전체 지정 카스트, 지정부족 및 후진 계급과 동맹을 꾀하였으나 1970년 내부분열로 붕괴되자 젊은 사람들과 호전적인 불가촉민들은 새로운 정당을 결성하고 달리뜨 빤터르라는 이름아래 혁명적인 성격의 운동을 전개해 갔으며, 1984년에는 대중사회당(Bahujan Samaj party: BSP)을 창당하여 보다 큰 정치력을 확보하였다. 그 결과 1995년에는 대중 사회당에서 인도 최대의 주인 웃따르프라데쉬의 주수상직을 차지하기까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