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조사 보고서 - 종로 3가 지하철역에서 만난 사람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지 조사 보고서 - 종로 3가 지하철역에서 만난 사람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선정동기

2. 접근방법 및 래포형성단계

3. 그들의 문제
(1) 할아버지들
(2) 노숙자

4. 종로 3가 지하철역에서 발견한 우리 사회의 소외된 문화

본문내용

족 시켜 줄 만한 복지 제도 미흡.
4. 종로 3가 지하철역에서 발견한 우리 사회의 소외된 문화
참여관찰을 하고 인터뷰를 하면서 종로 3가 지하철역이나 파고다공원 혹은 종묘공원 등 그 일대가 소외된 사람들의 문화의 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은 그 안에서 자신들만의 세계를 형성하며 자신들의 울분을 풀고 있었다. 그것은 동네 경로당에서 소일거리로 보내는 하루하루 보다 훨씬 생동감 있는 하루이고, 자유로운 공간이기에 사람들은 여전히 그 곳에 모이고 거기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일 것이다. 참여관찰을 하고 인터뷰를 하면서 노숙자들의 대한 생각이 조금 달라졌다. 아무리 처음에는 멀쩡했다고 하더라도 긴 노숙생활 속에 지치기 시작하면 정신마저 피폐해져 대화조차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래서 그들에게 말을 걸기가 처음에는 너무나도 두렵고 힘들었는데, 우리가 인터뷰한 분은 생각보다 훨씬 말씀도 잘하시고 보통 사람과 다를 것이 없다고 느껴졌다. 이 말은 바꾸어 말하면 누구나 자칫 잘못하면 그렇게 될 수도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사회의 평균연령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데 그에 비해 일을 할 수 있는 기간은 점점 짧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 젊은 사람들의 일자리도 없는데 퇴직 후의 노인들의 일자리가 있을 리 만무하다. 사회의 모든 것이 젊은이들을 위주로 돌아가고 노인들의 생각은 구태의연한 것, 구식,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렇게 나이가 들어 노인이 되면, 젊었을 때 아무리 왕성한 활동을 한다고 할지라도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가정으로부터 소외되고 자신의 무가치에 대해, 그리고 얼마 남지 않은 삶과 자꾸 나빠지는 건강 때문에 우울증 증세도 많이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가정, 사회, 자신의 건강. 삶으로부터의 소외를 벗어나기 위해 노인들은 오늘도 종로 근처 공원이나 지하철역 근처에 모여 가족에 대해 이야기하고, 세상(경제, 정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친구를 만나는 등 일종의 사회생활을 계속 해 나가는 것이다. 이제는 우리 사회도 더 이상 이러한 노인문제를 각자의 일로 맡길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노인 복지 프로그램이라든지, 노인 교육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널리 시행해야 한다. 요즘 신문을 보면 서울 광장이 노숙자들의 천국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 섞인 기사가 많이 나온다. 노숙자들에 대한 일반의 생각은 그들이 사회구조적인 희생자라기보다는, 개인의 기질에 의한 낙오자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에 대한 소외는 노인의 그것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월드컵과 같은 큰 행사를 앞두고, 또 이번 하이 서울 페스티벌과 같은 행사를 앞두고 있을 때만 노숙자들에 대한 대책을 논의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구조 자체를 바꾸어 나가면서 현재 노숙자들의 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현재와 같이 외국 관광객들이 많이 다니는 곳, 국제적인 행사가 있다는 이유로 별다른 대책 없이 그들을 쫓아내거나 임시방편에 불과한 대책들을 내놓는 것은 더 이상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참여관찰을 하면서, 짧은 시간 동안 소수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보게 되고 듣게 된 것들을 바탕으로 작성된 이 리포트와 그것에 바탕을 둔 우리의 생각이 얼마나 보편성을 띌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리고 라포가 잘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진 인터뷰였기에 우리가 너무 피상적인 모습만 보고 들었지 그 안의 진실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이 앞선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에 대한 우리의 연구, 우리의 생각 그 시도 자체가 굉장한 성과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노인문제, 노숙자문제 등 우리 사회의 소외된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생각해 보고 싶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8.02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4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