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心 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 非惡其聲而然也 由是觀之 無惻隱之心 非人也 無羞惡之心 非人也 無辭讓之心 非人也 無是非之心 非人也 惻隱之心 仁之端也 羞惡之心 義之端也 辭讓之心 禮之端也 是非之心 智之端也 人之有是四端也 猶其有四體也 有是四端而自謂不能者 自賊者也 謂其君不能者 賊其君者也 凡有四端於我者 知皆擴而充之矣 若火之始然 泉之始達 苟能充之 足以保四海 苟不充之 不足以事父母
-맹자가 말하기를 사람은 모두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 옛날의 선왕들은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할 수 없는 마음을 가지고 있기에 차마 남에게 모질게 할 수 없는 정치를 하였다. 이처럼 차마 남에게 모질게 할 수 없는 마음을 가지고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정치를 행하면 세상을 다스리는 것은 손바닥 위에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차마 남에게 모질게 할 수 없는 마음이 있다고 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지금 어린아이가 우물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면은 모두 두렵고 서글픈 마음이 생긴다. 이는 어린 아이의 부모와 인연을 맺기 위한 것도 아니고 마을 사람들이나 친구들로부터 칭찬 받고자 한 것도 아니며 어린 아이가 죽는 것을 보고도 구해 주지 않았다는 비난을 듣게 될 것이 싫어서도 아니다. 이로부터 본다면 남을 동정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수치를 느끼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동정하는 마음은 인의 발단이요 수치를 느끼는 마음은 의의 발단이요 사양하는 마음이 예의 발단이며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것은 지혜의 발단이다. 인간에게 이 4가지 발단이 있는 것은 마치 사람에게 손과 발의 사지가 있는 것과 같다. 이 4가지 발단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기는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포자기하는 자이고 자기 임금은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기 임금을 포기하는 자이다. 우리들에게 4가지 발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모두 그것을 확충시킬 줄 알면 마치 막 타오르기 시작한 불꽃이나 막 샘솟기 시작한 생물과 같다. 만약 그것을 확충시켜 나갈 수 없다면 자기 부모조차도 섬길 수 없게 된다.
○맹자는 우리 인간은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하면서 사단을 제기하고 있다. 즉 측은지심은 인의 시작이요 수오지심은 의의 시작이며 사양지심은 예의 시작이며 시비지심은 지혜의 시작이라 말하고 있다. 바로 맹자의 사단은 우리 마음이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는 선의지의 4가지 기본적 요소인 것이다.
※荀子의 性惡說
○맹자는 선한 이유를 밝혀놓고 있지만 악의 근거를 밝히지는 못한 논리를 지니고 있다. 반면 순자는 인간에게 왜 악이 생기고 악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 가를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즉 맹자가 인간이 악해지는 원인은 외부적 환경이라고 하였던 반면 순자는 인간의 본성은 본래 악하므로 인위적인 조작 즉 스승이나 법의 교화를 통해야만 인간생활이 가능해진다고 밝히고 있다. 순자는 性과 僞는 마땅히 구분되어야 함을 밝혀 놓고 있다. 성은 자연스러운 흐름이기 때문에 인간의 노력에 의하여 습득될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의 구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순자는 性과 僞의 구체화하기 위하여 눈과 눈의 기능 귀와 귀의 기능이 저절로 이루어져 있듯이 인간의 본성은 후천적 학습을 필요로 하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순자는 맹자가 사람은 본래 선하지만 외부적 환경에 의하여 그 본성을 상실하였다고 말하고 있는 반면 순자는 사람의 본성은 태어남과 동시에 그 소박함과 그 자질이 떠났음을 지적하여 인간의 본성을 악함을 제창하였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맹자가 말하기를 사람은 모두 차마 모질게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 옛날의 선왕들은 남에게 차마 모질게 할 수 없는 마음을 가지고 있기에 차마 남에게 모질게 할 수 없는 정치를 하였다. 이처럼 차마 남에게 모질게 할 수 없는 마음을 가지고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정치를 행하면 세상을 다스리는 것은 손바닥 위에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차마 남에게 모질게 할 수 없는 마음이 있다고 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지금 어린아이가 우물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면은 모두 두렵고 서글픈 마음이 생긴다. 이는 어린 아이의 부모와 인연을 맺기 위한 것도 아니고 마을 사람들이나 친구들로부터 칭찬 받고자 한 것도 아니며 어린 아이가 죽는 것을 보고도 구해 주지 않았다는 비난을 듣게 될 것이 싫어서도 아니다. 이로부터 본다면 남을 동정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수치를 느끼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고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동정하는 마음은 인의 발단이요 수치를 느끼는 마음은 의의 발단이요 사양하는 마음이 예의 발단이며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것은 지혜의 발단이다. 인간에게 이 4가지 발단이 있는 것은 마치 사람에게 손과 발의 사지가 있는 것과 같다. 이 4가지 발단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기는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포자기하는 자이고 자기 임금은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기 임금을 포기하는 자이다. 우리들에게 4가지 발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모두 그것을 확충시킬 줄 알면 마치 막 타오르기 시작한 불꽃이나 막 샘솟기 시작한 생물과 같다. 만약 그것을 확충시켜 나갈 수 없다면 자기 부모조차도 섬길 수 없게 된다.
○맹자는 우리 인간은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하면서 사단을 제기하고 있다. 즉 측은지심은 인의 시작이요 수오지심은 의의 시작이며 사양지심은 예의 시작이며 시비지심은 지혜의 시작이라 말하고 있다. 바로 맹자의 사단은 우리 마음이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는 선의지의 4가지 기본적 요소인 것이다.
※荀子의 性惡說
○맹자는 선한 이유를 밝혀놓고 있지만 악의 근거를 밝히지는 못한 논리를 지니고 있다. 반면 순자는 인간에게 왜 악이 생기고 악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 가를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즉 맹자가 인간이 악해지는 원인은 외부적 환경이라고 하였던 반면 순자는 인간의 본성은 본래 악하므로 인위적인 조작 즉 스승이나 법의 교화를 통해야만 인간생활이 가능해진다고 밝히고 있다. 순자는 性과 僞는 마땅히 구분되어야 함을 밝혀 놓고 있다. 성은 자연스러운 흐름이기 때문에 인간의 노력에 의하여 습득될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의 구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순자는 性과 僞의 구체화하기 위하여 눈과 눈의 기능 귀와 귀의 기능이 저절로 이루어져 있듯이 인간의 본성은 후천적 학습을 필요로 하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순자는 맹자가 사람은 본래 선하지만 외부적 환경에 의하여 그 본성을 상실하였다고 말하고 있는 반면 순자는 사람의 본성은 태어남과 동시에 그 소박함과 그 자질이 떠났음을 지적하여 인간의 본성을 악함을 제창하였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