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 자 [孟 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애
▶ 사회배경
▶ 맹자의 왕도정치
▶ 맹자의 사상은 민본(民本)사상이 투철하다.
▶ 맹자의 왕도정치의 특징
2) 맹자의 인간관 ; 성선설
3) 맹자의 교육관 ; 자연주의적 교육관

본문내용

성적인 것 을 바란다. 이것은 잘 충족시켜준다면 소체는 잘 키운다. 대체는 사람의 눈은 공통적으로 좋아하는 것이 있다. 공통적으로 듣기 좋아하는 것이 있다. 오감이 공통적으로 좋아하는 것이 있다. 그렇다면 사람의 마음은 공통적으로 함께 좋아하는 것이 없겠느냐. 있다. 그것이 바로 (이. 의) 理也義也 이치에 맞는 것과 정의로움이다. 이는 사람의 마음을 기쁘게 만든다. 이는 맛있는 음식이 사람의 입을 만족시키는 것과 같다.
▷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대체를 잘 기르느냐. 도덕적인 행위를 계속적으로 반복적으로 실천한다. 대체의 기가 충만해져 기상이 생겨 천하를 이룬다. 이것이 호연지기이다.
▷ 대장부의 호연지기는 무엇인가?
호연지기는 配義興道와 도를 짝 지워 이것이 없으면 호연지기가 굶주린다. 集義 의를 집적하는 반복적으로 하는데서 생긴다. 반드시 호연지기를 기르는 일을 일삼아 해야 한다. 그러나 반드시 얼마큼 해야겠다고 작정한다고 해서 되는 일이 아니다. 마음에서 잊지 말되 억지로 조장하지는 말라.
=> 반복적 실천만이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다.
맹자의 교육론에서 핵심적인 입장은 교육장면에서의 학습자의 능동성과 주체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재성, “맹자의 수양론과 교육사상” 한국철학논집, 제18집.
노상우, 교육의 역사와 사상, 서울: 교육과학사 2006.
이기석, 정순목, 교육세대를 위한 맹자, 서울: 배영사 1991.
조긍호, 맹자에 나타난 심이학적 합의 : 교육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991.
네이버 블로그 “http://tong.nate.com/7cosmos/37084840”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2.27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