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및 주제 선정 이유
2. 어린이 성추행 성폭행이란?
3. 어린이성추행의 실태
4. 어린이성추행의 유형과 사례
5. 발생 이유
2. 어린이 성추행 성폭행이란?
3. 어린이성추행의 실태
4. 어린이성추행의 유형과 사례
5. 발생 이유
본문내용
ssel(1983)은 900명의 샌프란시스코 부인들을 무작위로 표집해서 면접한 결과, 이들 중 여섯 중의 한 명(17%) 꼴은 양아버지에 의해서 성추행을 당했다. 그리고 40명 중의 한 명(5%)은 친아버지에 의해서 성추행을 당한 경험을 갖는다. 물론 이들이 성추행의 범위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양아버지의 47% 그리고 친아버지의 2%와 아주 심한 성적 관계를 가졌다고 보고한다.
아버지들이 딸을 성추행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아버지들은 어느 때 어린이에게 아주 강한 욕구를 가질 수 있으며, 주위에 있는 딸이 가장 가까이 있는 대상이 된다. 부인이 성관계를 원치 않을 때, 아버지들은 가정을 파괴하고 싶지 않은 마음에서 딸에게 접근한다. 또한 딸에게 성추행하는 아버지는 딸에게 무조건적인 사랑과 관심을 가지며, 성추행을 강간과 같이 힘을 행사하는 행동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 (Forward & Buck, 1978)
.
형제간의 성추행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할 수 있다. 성추행을 한 형제난 당한 형제는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하고 입을 다물 수 있다. 또한 형제간의 성추행은 상당수가 정상적인 행동으로 착각하기 쉽다. 왜냐하면, 어린이들은 서로 부부 역할을 하는 오락을 하기 때문에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서 이상하게 생각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성추행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보느냐 하는 문제를 안고 있지만, 부부놀이에서 성관계를 자연스럽게 가질 수도 있다. Wiehe(1990)는 1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7%가 성장기에 형제에 의해서 성추행을 당했다는 보고를 한다.
★ 기타 사회적인 요인
) "기타 성추행·폭행에 관한 발생요인"은 "어린이 성추행·폭행"의 상위 개념인 "일반적 성추행·폭행"의 발생요인을 덧붙인다.
*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
실제로 강간이 일어나면 가해자보다 오히려 피해자가 부끄러워하며 사회적 비난이 피해자에게 쏟아지는 현상은 성폭력의 피해자를 비난하고 가해자를 합리화하는 잘못된 통념이 우리 사회에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 나에게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 젊은 여자에게만 일어난다.
- 컴컴한 골목에서 낯선 사람에 의해 우연히 일어난다.
- 폭력이 아니라 조금 난폭한 성관계이다.
- 강간범은 정신 이상자이다.
- 여자가 끝까지 저항하면 강간은 불가능하다.
- 여자들의 야한 옷차림과 행동이 강간을 유발한다.
- 스스로 조심하는 것 말고 강간을 방지할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잘못된 통념들은 많은 연구에 의해서 부정되고 있다. 서구의 연구들을 보면 강간의 동기가 성충동인 경우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며 대부분 계획적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성폭력에 대한 통념들은 기존의 성차별적 문화를 바탕으로 한 비합리적인 인식이다. 여성에게만 순결을 지키기 위해 항상 몸조심을 해야 한다는 규범을 부과하고 남성에게는 성적 자유를 허용하는 이중 규범을 강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에 책임을 묻도록 만든다.
* 남성중심적 성문화와 이중적 성규범
조선조 가문 계승의 이유로 첩을 두는 것이 합법화된 이래로 이러한 관습은 남성들의 외도와 성적 자유를 허용하는 문화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 여성의 정절을 생명처럼 지키게 한 순결 이데올로기는 여성의 가치를 오로지 여성의 몸에 두는 순결관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배경위에서 남성의 성은 본능이며 충동적이어서 억제하기 힘들다는 믿음을 낳게 하고 여성은 성을 모를수록 순결하고 남성의 주도대로 따라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되었다. 이러한 이중적 성규범에 의해 남성은 성폭력을 하고서도 별다른 죄의식을 느끼지 않게 되고 피해 여성은 사실을 숨기게 되어 결과적으로 성폭력은 늘어가게 되는 것이다. 여성과 남성은 성의 동등한 주체가 되어야 한다. 인간다운 성은 서로의 인격을 존중하고 상대방의 동의 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 대화의 한 방식이다.
* 왜곡된 성문화와 성교육의 부재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성교육은 전인적인 성교육이기 보다 신체 구조와 기능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며 성에 대한 정보는 부모나 학교보다는 거의 친구나 잡지, 비디오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얻고 있다. 문제는 이렇게 입수된 정보들이 성을 매우 왜곡시키고 있다는 사실이다. 성에 대한 호기심은 성교육 담당 선생님이나 학교에서 추천하는 성교육 출판물이나 비디오 등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아는 것이 중요하며 건전한 놀이문화를 조성하고 건전한 성에 대해 토론해 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 여성의 낮은 지위와 불평등 사회
성폭력은 남성의 본능적인 성충동에 따른 행위가 아니라 그 사회의 성문화와 여성의 지위를 반영하는 문화적이고 사회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그것을 관대하게 받아들이고 제대로 처벌하지 않는 사회, 건전한 성문화가 형성되지 못한 사회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여성을 남성과 동등한 인격체로 인식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며 여성, 남성으로 자신을 인식하기 보다 한 인간으로서의 정체감을 갖고 자신의 능력을 키워가야 한다. 남성은 여성을 소유물이나 쾌락을 위한 도구로 보는 사고를 바꿔야 하며 정치적, 생리적 우월감에서 벗어나 더불어 발전하는 동반자인 인격체로 받아들여야 한다. 여성은 무력하고 남성에게 보호받고 의존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인식을 바로잡기 위해 여성들의 경제적, 사회적인 권익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 법적, 제도적 장치의 미비
현행 성폭력에 관한 법이나 사회, 제도적 장치들은 매우 미비하며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과 경질된 순결관이 법에 기본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성폭력을 사회적 범죄로 인식하지 않고 문제 있는 남성과 부주의한 여성 혹은 품행이 방정치 못한 여성이 당하는 것이라는 인식 위에서 강간을 "정조에 관한 죄"로 규정하고 피해 여성의 권익이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또 성폭력 발생률이 세계 3위인 우리 나라에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돕는 상담소, 치료센터, 쉼터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없는 것도 성폭력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피해자의 권익을 최대한 보장하고 성폭력을 예방, 가해자를 적절하게 처벌, 교화시킬 수 있는 특별법의 제정이 필요하며 건전한 성의식, 건전한 성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아버지들이 딸을 성추행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아버지들은 어느 때 어린이에게 아주 강한 욕구를 가질 수 있으며, 주위에 있는 딸이 가장 가까이 있는 대상이 된다. 부인이 성관계를 원치 않을 때, 아버지들은 가정을 파괴하고 싶지 않은 마음에서 딸에게 접근한다. 또한 딸에게 성추행하는 아버지는 딸에게 무조건적인 사랑과 관심을 가지며, 성추행을 강간과 같이 힘을 행사하는 행동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 (Forward & Buck, 1978)
.
형제간의 성추행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할 수 있다. 성추행을 한 형제난 당한 형제는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하고 입을 다물 수 있다. 또한 형제간의 성추행은 상당수가 정상적인 행동으로 착각하기 쉽다. 왜냐하면, 어린이들은 서로 부부 역할을 하는 오락을 하기 때문에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서 이상하게 생각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성추행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보느냐 하는 문제를 안고 있지만, 부부놀이에서 성관계를 자연스럽게 가질 수도 있다. Wiehe(1990)는 1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7%가 성장기에 형제에 의해서 성추행을 당했다는 보고를 한다.
★ 기타 사회적인 요인
) "기타 성추행·폭행에 관한 발생요인"은 "어린이 성추행·폭행"의 상위 개념인 "일반적 성추행·폭행"의 발생요인을 덧붙인다.
*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
실제로 강간이 일어나면 가해자보다 오히려 피해자가 부끄러워하며 사회적 비난이 피해자에게 쏟아지는 현상은 성폭력의 피해자를 비난하고 가해자를 합리화하는 잘못된 통념이 우리 사회에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 나에게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 젊은 여자에게만 일어난다.
- 컴컴한 골목에서 낯선 사람에 의해 우연히 일어난다.
- 폭력이 아니라 조금 난폭한 성관계이다.
- 강간범은 정신 이상자이다.
- 여자가 끝까지 저항하면 강간은 불가능하다.
- 여자들의 야한 옷차림과 행동이 강간을 유발한다.
- 스스로 조심하는 것 말고 강간을 방지할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잘못된 통념들은 많은 연구에 의해서 부정되고 있다. 서구의 연구들을 보면 강간의 동기가 성충동인 경우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며 대부분 계획적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성폭력에 대한 통념들은 기존의 성차별적 문화를 바탕으로 한 비합리적인 인식이다. 여성에게만 순결을 지키기 위해 항상 몸조심을 해야 한다는 규범을 부과하고 남성에게는 성적 자유를 허용하는 이중 규범을 강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에 책임을 묻도록 만든다.
* 남성중심적 성문화와 이중적 성규범
조선조 가문 계승의 이유로 첩을 두는 것이 합법화된 이래로 이러한 관습은 남성들의 외도와 성적 자유를 허용하는 문화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 여성의 정절을 생명처럼 지키게 한 순결 이데올로기는 여성의 가치를 오로지 여성의 몸에 두는 순결관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배경위에서 남성의 성은 본능이며 충동적이어서 억제하기 힘들다는 믿음을 낳게 하고 여성은 성을 모를수록 순결하고 남성의 주도대로 따라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되었다. 이러한 이중적 성규범에 의해 남성은 성폭력을 하고서도 별다른 죄의식을 느끼지 않게 되고 피해 여성은 사실을 숨기게 되어 결과적으로 성폭력은 늘어가게 되는 것이다. 여성과 남성은 성의 동등한 주체가 되어야 한다. 인간다운 성은 서로의 인격을 존중하고 상대방의 동의 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 대화의 한 방식이다.
* 왜곡된 성문화와 성교육의 부재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성교육은 전인적인 성교육이기 보다 신체 구조와 기능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며 성에 대한 정보는 부모나 학교보다는 거의 친구나 잡지, 비디오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얻고 있다. 문제는 이렇게 입수된 정보들이 성을 매우 왜곡시키고 있다는 사실이다. 성에 대한 호기심은 성교육 담당 선생님이나 학교에서 추천하는 성교육 출판물이나 비디오 등을 통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아는 것이 중요하며 건전한 놀이문화를 조성하고 건전한 성에 대해 토론해 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 여성의 낮은 지위와 불평등 사회
성폭력은 남성의 본능적인 성충동에 따른 행위가 아니라 그 사회의 성문화와 여성의 지위를 반영하는 문화적이고 사회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그것을 관대하게 받아들이고 제대로 처벌하지 않는 사회, 건전한 성문화가 형성되지 못한 사회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여성을 남성과 동등한 인격체로 인식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며 여성, 남성으로 자신을 인식하기 보다 한 인간으로서의 정체감을 갖고 자신의 능력을 키워가야 한다. 남성은 여성을 소유물이나 쾌락을 위한 도구로 보는 사고를 바꿔야 하며 정치적, 생리적 우월감에서 벗어나 더불어 발전하는 동반자인 인격체로 받아들여야 한다. 여성은 무력하고 남성에게 보호받고 의존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인식을 바로잡기 위해 여성들의 경제적, 사회적인 권익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 법적, 제도적 장치의 미비
현행 성폭력에 관한 법이나 사회, 제도적 장치들은 매우 미비하며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과 경질된 순결관이 법에 기본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성폭력을 사회적 범죄로 인식하지 않고 문제 있는 남성과 부주의한 여성 혹은 품행이 방정치 못한 여성이 당하는 것이라는 인식 위에서 강간을 "정조에 관한 죄"로 규정하고 피해 여성의 권익이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또 성폭력 발생률이 세계 3위인 우리 나라에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돕는 상담소, 치료센터, 쉼터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없는 것도 성폭력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피해자의 권익을 최대한 보장하고 성폭력을 예방, 가해자를 적절하게 처벌, 교화시킬 수 있는 특별법의 제정이 필요하며 건전한 성의식, 건전한 성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