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1) 공적 자금이란?
(2) 조흥은행
▷ 역사
▷ 업무 분석
▷ 현황
(3) 조흥은행이 지녔던 문제점
(4) 조흥은행 인수와 인수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3. 마치며
2. 본론
(1) 공적 자금이란?
(2) 조흥은행
▷ 역사
▷ 업무 분석
▷ 현황
(3) 조흥은행이 지녔던 문제점
(4) 조흥은행 인수와 인수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3. 마치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 부실국가 부실경제 >
상장 1호 였던 조흥은행의 매각 과정
- 일관적이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모습의 우리나라 정부 경제 정책의 단면
(1) 공적 자금이란?
1) 정의
공적 자금 : 부실채권정리기금(자산관리공사)과 예금보험기금(예금보험공사)이 64조원의 채권을 발행하여 조성한 자금국회의 동의 하에 정부의 원리금 지급 보증을 받은
(동 자금은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금융 기관으로부터의 부실 채권 매입, 금융기관에 대한 출자 및 예금 대지급을 위해서 사용되고, 이에 대해서는 정부가 직접 상환하는 것이 아니고 지급 보증만을 하였으므로 정부 예산이나 국가 부채에는 포함되지 않고 양 기금이 동 채권을 상환할 수 없을 경우에 최종적으로 정부의 부담으로 귀착되는 정부의 우발 채무이다. 재정경제부)
2) 공적 자금의 투입이 불가피한 이유
- 예금자 보호
- 금융 중개 기능의 회복을 통한 경제 위기의 극복
- 금융 기관 스스로의 자금 조달 곤란
3) 공적 자금의 투입으로 얻은 것과 잃은 것
- 얻은 것
① IMF 경제 위기 극복
IMF 이후 공적 자금을 투입함으로써 높이 치솟던 금리의 대폭 인하 &
실업률 감소. 경제 성장률의 증가.
② 국제 신뢰도 회복
IMF 직후의 투자 부적격 국가에서 투자 적격 국가로 전환
국제적인 신뢰도 상승
③ 기업의 구조 조정
수백 여 개의 금융 기관을 합병, 해산 시켜 정리함으로써 고질적인 기업의
구조를 개선. 결과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의 제고.
- 잃은 것
① 부실 채권 매각에 따른 손실 발생 부실 채권 거래의 부진 등으로 금융 기관 스스로의 부실 채권 처리에 한계. 따라서 부실 채권을 매각하는 데 따르는 손실을 껴안아야 함.② 금융 기관의 부실화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부실 기업주에 대한 책임 추궁에의 한계 기업주의 방만하고 무책임한 기업 경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없고 기업의 부실화와 금융 기관의 부담 가중을 야기③ 금융 기관의 정리체계가 복잡화 정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려움 ④ 공적 자금의 추가 조성 지금껏 투입한 공적 자금의 회수가 더디고 불투명해지면서 남아있는 부실을 정리하기 위한 공적 자금의 추가 조성 필요성의 대두
4) 공적 자금의 실패 요인
- 원칙이나 계획성 없는 태도로 공적 자금을 투입한 정부
- 공적 자금은 언젠가는 회수될 수 있을 거라는 막연한 기대 속에서 책임감 없는 관리로 일관
- 부실한 공적 자금의 회수
< 부실국가 부실경제 >
상장 1호 였던 조흥은행의 매각 과정
- 일관적이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모습의 우리나라 정부 경제 정책의 단면
(1) 공적 자금이란?
1) 정의
공적 자금 : 부실채권정리기금(자산관리공사)과 예금보험기금(예금보험공사)이 64조원의 채권을 발행하여 조성한 자금국회의 동의 하에 정부의 원리금 지급 보증을 받은
(동 자금은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금융 기관으로부터의 부실 채권 매입, 금융기관에 대한 출자 및 예금 대지급을 위해서 사용되고, 이에 대해서는 정부가 직접 상환하는 것이 아니고 지급 보증만을 하였으므로 정부 예산이나 국가 부채에는 포함되지 않고 양 기금이 동 채권을 상환할 수 없을 경우에 최종적으로 정부의 부담으로 귀착되는 정부의 우발 채무이다. 재정경제부)
2) 공적 자금의 투입이 불가피한 이유
- 예금자 보호
- 금융 중개 기능의 회복을 통한 경제 위기의 극복
- 금융 기관 스스로의 자금 조달 곤란
3) 공적 자금의 투입으로 얻은 것과 잃은 것
- 얻은 것
① IMF 경제 위기 극복
IMF 이후 공적 자금을 투입함으로써 높이 치솟던 금리의 대폭 인하 &
실업률 감소. 경제 성장률의 증가.
② 국제 신뢰도 회복
IMF 직후의 투자 부적격 국가에서 투자 적격 국가로 전환
국제적인 신뢰도 상승
③ 기업의 구조 조정
수백 여 개의 금융 기관을 합병, 해산 시켜 정리함으로써 고질적인 기업의
구조를 개선. 결과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의 제고.
- 잃은 것
① 부실 채권 매각에 따른 손실 발생 부실 채권 거래의 부진 등으로 금융 기관 스스로의 부실 채권 처리에 한계. 따라서 부실 채권을 매각하는 데 따르는 손실을 껴안아야 함.② 금융 기관의 부실화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부실 기업주에 대한 책임 추궁에의 한계 기업주의 방만하고 무책임한 기업 경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없고 기업의 부실화와 금융 기관의 부담 가중을 야기③ 금융 기관의 정리체계가 복잡화 정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려움 ④ 공적 자금의 추가 조성 지금껏 투입한 공적 자금의 회수가 더디고 불투명해지면서 남아있는 부실을 정리하기 위한 공적 자금의 추가 조성 필요성의 대두
4) 공적 자금의 실패 요인
- 원칙이나 계획성 없는 태도로 공적 자금을 투입한 정부
- 공적 자금은 언젠가는 회수될 수 있을 거라는 막연한 기대 속에서 책임감 없는 관리로 일관
- 부실한 공적 자금의 회수
추천자료
[경영전략] LG전자의 Zenith인수 사례분석
[경제법]하이트맥주의 진로 인수에 따른 독과점판정 여부
하이트 맥주의 진로소주 인수에 대한 경제법적 고찰
하이트 맥주의 진로소주 인수에 대한 경제법적 고찰
[투자론] 인수 합병 분석
국제경영학(인수합병)
[적대적 M&A] 적대적 인수합병(M&A) 개념과 방법 및 방어전략
M&A(기업인수합병)의 역사, 목적, 우리나라 M&A 사례, 일본 중국의 사례, 경제대국 ...
[기업가치][회사정리기업가치][M&A기업가치평가][벤처기업가치][기업브랜드가치]호텔기업...
[M&A의 기업가치평가] M&A(인수합병)의 기업가치평가 및 기업가치평가방법
e-파트너십_ 팬택의 SK텔레텍 인수 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
[SK하이닉스 인수합병] SK와 하이닉스(Hynix)의 M&A, 과연 SK는 올바른 의사결정을 한것...
[2017학년도 1학기 방송통신대학교 중간과제물] 한국지리여행(공통) 북한산 인수봉(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