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와 과학
2. 보편성과 특수성
3. 주관성과 객관성, 필연과 우연
4. 역사학의 임무
2. 보편성과 특수성
3. 주관성과 객관성, 필연과 우연
4. 역사학의 임무
본문내용
역사적 판단이야말로 보다 엄격하고 정확하고 최후적인 판단이라 말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를 해방 후 30년 간의 우리 역사에 적용시켜 보면, 이 시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활동도 각기 제나름대로 변천해 온 것이지만 분단시대로서의 이 시기의 민족사적 지도원리가 민족의 평화적인 통일이라 생각하고 통일문제와 계도를 같이하는 활동만이 역사적으로 옳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 내다볼 수 잇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역사학은 한 시대의 지도원리를 발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치학적 경제학적 혹은 사회학적 가치판단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위치에서의 한 시대에 대한 종합적이고 최종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될 때 비로소 그 임무를 다하게 되는 것이다.
역사학이 하나의 시대성격과 지도원리를 찾아내는 일은 결국 좁게는 그 민족사회의 그리고 넓게는 인류사회의 앞길을 바로잡는 방향타를 마련하는 일이 된다. 한 민족의 역사학이 민족사 전체를 통하여 각 시대마다의 시대성격을 분명히 하고 그것을 통하여 지도원리를 확립해 나가는 일은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차원에서 민족사의 현실을 투시할 수 있는 역사적 위치를 마련하는 일이 된다.
과거를 엄격하고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그것이 쌓여서 이루어진 현재를 가장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역사학의 임무이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임무가 앞으로의 올바른 방향을 제일 먼저 찾아내고 지시하는 데 있음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학의 임무를 잘못 이해하게 되면 자기 민족의 역사에 대한 판단과 전망이 다른 민족의 역사나 세계사적인 그것과 다르거나 또 배치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지만 역사학의 참된 임무는 한층 더 높은 역사의 발전법칙일반의 차원에서 생각해 보면 어느 지역 어느 민족의 역사를 막론하고 세계사적 발전방향과 계도를 같이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한 민족사의 발전방향이 잘못 잡아졌을 경우 그것은 곧 세계사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옳은 방향이 세워졌을 때는 바로 세계사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것이다. 세계발전의 기본적인 방향과 법칙성의 차원에 있어서는 민족사적인 것과 세계사적인 것에 차이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민족사에 있어서나 세계사에 있어서 역사발전의 올바른 발전법칙을 찾아내는 일과, 그리고 그것들 사이에 기본적인 차이점이나 배치현상이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는 것이 역사학이 가진 또 하나의 중요한 임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역사학은 한 시대의 지도원리를 발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치학적 경제학적 혹은 사회학적 가치판단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위치에서의 한 시대에 대한 종합적이고 최종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될 때 비로소 그 임무를 다하게 되는 것이다.
역사학이 하나의 시대성격과 지도원리를 찾아내는 일은 결국 좁게는 그 민족사회의 그리고 넓게는 인류사회의 앞길을 바로잡는 방향타를 마련하는 일이 된다. 한 민족의 역사학이 민족사 전체를 통하여 각 시대마다의 시대성격을 분명히 하고 그것을 통하여 지도원리를 확립해 나가는 일은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차원에서 민족사의 현실을 투시할 수 있는 역사적 위치를 마련하는 일이 된다.
과거를 엄격하고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그것이 쌓여서 이루어진 현재를 가장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역사학의 임무이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임무가 앞으로의 올바른 방향을 제일 먼저 찾아내고 지시하는 데 있음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학의 임무를 잘못 이해하게 되면 자기 민족의 역사에 대한 판단과 전망이 다른 민족의 역사나 세계사적인 그것과 다르거나 또 배치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지만 역사학의 참된 임무는 한층 더 높은 역사의 발전법칙일반의 차원에서 생각해 보면 어느 지역 어느 민족의 역사를 막론하고 세계사적 발전방향과 계도를 같이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한 민족사의 발전방향이 잘못 잡아졌을 경우 그것은 곧 세계사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옳은 방향이 세워졌을 때는 바로 세계사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것이다. 세계발전의 기본적인 방향과 법칙성의 차원에 있어서는 민족사적인 것과 세계사적인 것에 차이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민족사에 있어서나 세계사에 있어서 역사발전의 올바른 발전법칙을 찾아내는 일과, 그리고 그것들 사이에 기본적인 차이점이나 배치현상이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는 것이 역사학이 가진 또 하나의 중요한 임무인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