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않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단군신화에 나오는 천신(天神)은 중국의 천사상에 비교하면, 지고자(至高者)로서의 보편적인 ‘하늘님’의 개념(槪念)을 더 풍부하게 담고 있다. 그리고 홍익인간이란 개념은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논리가 도입되기 이전에, 인간과 사회의 현실질서를 이해하던 상고대(上古代)의 신념체계를 그대로 담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 민족의 의식이 어느 특정한 고전 문화전통에 완전히 매여 있거나 종속되어 있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상고대의 인식체계는 우리 민족이 아직도 기마족(騎馬族)의 일환으로 동북아시아를 달리던 시대의 신념체계를 반영하는 것이다. 기마민족(騎馬民族)의 도전적인 열정(熱情)이 아직도 홍익인간이라는 원초적인 사회참여 의식에 담겨져서 오늘에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모든 건국신화 상세정리.. (창세신화)
신화(神話) 속 신(神)들의 결혼식에 등장하는 통과의례
삼국유사 번역본에 실려 있는 건국신화를 하나 골라 내용을 읽은 다음, 현대인이 교훈으로 삼...
한국신화의 이해
한국의 신화
한국신화
우리의 건국신화와 비교해서 본 로마 건국신화
[구비 문학의 이론과 실제] 동양의 신화(神話) - 한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인도의 신화, 일...
동북공정 (東北工程) (동북공정 정의, 한국의 현상, 중국의 현상, 대응 방안, 단군조선(고조...
[국어국문학과 공통]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등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다른 민족이나 국가의 건국신화 하나와 비교...
[구비문학의세계 공통] 한국의 신화 전설 민담 자료를 각각 1편씩(총 3편) 선택하여 각각의 ...
신화 속에 나타는 인간의 모습 탐구 - 국내 홍수신화 [목도령과 홍수] 속에 나타난 인간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