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과 공통]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등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다른 민족이나 국가의 건국신화 하나와 비교하여 설명 [건국신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국문학과 공통]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등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다른 민족이나 국가의 건국신화 하나와 비교하여 설명 [건국신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화란

2. 신화와 민족 정체성

3. 한국의 건국신화
1) 고조선의 단군신화
2) 곰
3) 이항대립
4) 인간-짐승이 혼재된 사회
5) 태양숭배
6) 인간중심사상

4. 일본의 건국신화
1) 창세신화
2) 이자나기, 이자나미 남매신
3) 천신(天神)
4) 궁고도(宮古島) 신화

5. 한국의 건국신화와 일본의 건국신화 비교 분석
1) 천신
2) 신칙(神勅)과 신표(信標)
3) 수반신
4) 결혼 양상
5) 북방계 유래설

6. 한일 건국신화 나타난 문화적 특징
1) 한국
2) 일본

7.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까지 하였다.
일본에서 천황은 도덕의 정점(頂点)에 있었다. 일본인은 황은(皇恩)을 무한한 감사로 받아들인다. 일본인은 이 땅에서 태어나 이렇게 안락한 생활을 누리고, 자기신변의 크고 작은 일이 잘 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기뻐할 때에는 언제나 이것들은 모두 어떤 한 사람으로부터 주어진 은혜라고 느낀다. 그가 곧 ‘천황’이다. 도덕의 영역에서 하위의 덕은 모조리 ‘충(忠)’의 범주 아래 둠으로써 천황은 도덕의 정점(頂点) 위에 서게 되었다.
이렇게 각인(刻印)된 천황관은 2차 대전을 전후하여 일본인의 내면(內面)에 뿌리 깊게 각인(刻印)되었다. 당시 일본인의 천황관은 다음과 같은 언명(言明) 속에 잘 드러난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크게 변하지 않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천황은 일본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는 존재이다.” “천황이 없는 일본이란 진정한 일본이 아니다.” “천황이 없는 일본이란 생각할 수 없다.” “일본 천황은 일본 국민의 상징이며, 국민의 종교 생활의 중심이다. 천황의 초종교(超宗敎)적 대상이다.” “설령 일본이 전쟁에 패하였다 하더라도 패전의 책임은 천황에게는 없다. 국민은 천황이 전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만일 패전이 되더라도 책임은 내각과 군 지휘관이 져야 하며, 천화에게는 책임이 없다. 설령 일본이 지더라도 일본인은 열 명이면 열 명 다 천황을 계속 숭배할 것이다.”
7. 시사점
공동체를 구성하고 유지하는데 있어 신화의 역할은 지대하다. 신화는 사회의 갈등을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정부의 권위를 강화시켜주며, 정치 집단의 연대를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 같은 기능들은 신화를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적용하기에 충분한 조건이 된다. 신화의 기능을 이해하면 왜 수많은 사람들이 신화를 통해 세상을 이해해왔으며, 다수의 정치 세력들이 신화를 변용하고 활용해왔는 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신화의 정치적 활용이라는 주제를 풀어가기 위해서는 신화의 기능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신화의 어떠한 요소들이 정치적 활용의 기반으로 작용했는지 살펴보면 다음의 네 가지와 같다.
첫째, 신화는 역사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신화는 태초에 발생한 사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이는 이후 해당 신화를 공유하는 사회 내에서 진행될 행동, 결정, 문화의 기준점이 된다. 일찍이 신화는 모범적인 모델을 제시함으로 인해 사회 구성원들을 결집시키고, 공동의 목표를 수행하도록 도운 바 있다. 이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발견되는 건국신화가 건국의 과정에서 이에 속하는 구성원의 역할까지 폭넓은 내용을 포괄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역사 유지의 기능은 신화의 정치적 활용에 있어서 가장 첫 손에 꼽히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신화는 사회적 기능을 지닌다. 신화는 특정 공동체의 윤리, 도덕 등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내용들로 가득 차 있다. 한 사회의 질서를 일으키고, 그 질서를 유효하게 하는 것은 신화이다. 한편으로 신화는 이민이나 경제적 변동 과정에서 사회에 이입된 모순을 은폐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존의 모습과 다른 ‘비정상적인 상황’을 정당화 시켜주는 역할까지 한다. 이 같은 신화의 사회적 기능은 정부의 권위를 정당화시 켜주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
셋째 신화는 같은 신화를 공유하는 , 공동체에게 긍지를 갖게 한다. 공동체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민족은 자신의 신화를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신화가 전통을 강화하고, 초자연적인 현실을 통해 위대한 가치와 위신을 부여함으로써, 자긍심을 높여가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화를 공유하는 공동체는 집단의 내부적인 결속과 외부적인 팽창을 위해 신화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신화는 이들의 행위에 ‘긍지’라는 심정적 근거를 부여한다.
넷째, 신화의 주된 기능 중 마지막으로 언급할 것은 바로 공동체를 유지시켜준다는 것이다. 신화는 인간을 개인적 고립에서 깨고 나와 공동체의 일원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신화는 그것을 진실로 여기는 집단이나 민족에 있어서 절대적인 힘을 지니게 되는데, 이는 신화가 집단의 특정한 행동양식 규범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공동체 유지 기능과 직결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등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다른 민족이나 국가의 건국신화 하나와 비교하여 설명해 보았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는 존재이며, 이에 대해 스스로 만족할 만한 해답을 찾을 수 없을 때는 불안함을 느끼게 된다. 반면 이러한 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게 되면 그간의 고민은 사고를 긍정적으로 전개하여 사회를 밝게 하고, 공동체를 진보시키는 에너지로 작용하게 된다. 역사에서 진보의 동력이 주체의 정체성과 자아의식에서 나왔음을 상기할 때, 한국사회가 긍정적인 발전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러한 정체성의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예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자신들을 다르게 취급하는 사회적 시선을 통해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된다. 피부색과 부모의 혈통이 다른 이들이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해서 의심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 같은 문제의 이면에는 ‘단일민족’, ‘한민족’이라는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순혈주의가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영남(2008). 시조신화연구. 제이앤씨.
이지영(2000).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월인.
윤이흠 외(1994).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기봉(2000).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푸른역사.
황패강(1996). 한일신화의 천강 모티브. 일본신화의 연구. 지식산업사.
장기웅(2002). 단군신화의 비교신화학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오구마 에이지(2003).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 조현설 옮김. 소명출판.
김화경(1985). 한일신화의 비교연구 : 국가 양도신화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논총.
권복순(2000). 건국 신화의 하늘과 땅 : 단군주몽혁거세수로신화를 중심으로. 경상대대학원 석사논문.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6.03.12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6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