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장애 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호장애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그림/얼굴/인지
구어(음소 및 음운) 발달
1. 전 언어기 ---------------------------------------------------- 출생 ~ 1세
(1) 반사적 발성 단계 ------------------------------------- 출생 ~ 1개월
① 반사적 발성 : 우는소리, 트림소리, 낑낑소리
(2) 쿠잉(cooing) 단계 ------------------------------------ 2개월 ~ 3개월
① 만족해서 내는 소리
② 특징
- 후설 자음과 유사한 종류(연구개 자음)의 음들이 가끔 산출
- /u/ 와 같은 원순모음과 유사
- 원시적인 음절화 : 리듬이나 자음 산출 조음 동작 시간 맞추기 못함.
(3) 옹아리(babbling) 단계 ------------------------------- 4개월 ~ 12개월
① 음성 놀이 시기 : 4개월 ~ 6개월
② 전기 옹아리 기 : 7개월 ~ 9개월
- 자음출현(비음,파열음 多)
- 동일한 음절 반복 /bababa/ /dadada/ 나타나는 시기
- CV 일반적, VC, VCV 는 가끔 나타남.
③ 후기 옹아리 기 : 10개월 ~ 12개월
- 다양한 옹아리 시기 /hetapa/
- 다양한 자음 用
- 비음, 파열음 적어짐
- 운율적인 측면에서 볼 때 '쟈곤'(jargon)이라 한다.
2. 언어기 ------------------------------------------------------- 1세 ~
(1) 언어적(의미론 및 구문론)
① 초어 ---------------------------------------- 1세 ~1세 6개월
② 2단어의 연결 시작 -------------------------- 1세 6개월 경부터
(2) 구어적(조음 및 음운론적) 측면
① 조음위치 : 양순음>치조음>구개음....
② 조음방법 : 비음,파열음 > 마찰음, 유음
※ 아동의 어휘가 50~70단어 정도 증가하면 두 단어 用
(이 시기에는 완전한 문장 (x) 구문론적 측면 보다는 의미론적 측면으로 본다.)
※ 무의미 음성 전체를 지칭, 4~10개월에 나타나는 발성은 : 옹알이
※ 쟈곤(jargon)
후기 옹알이기에 나타남 / 아동이 장황하게 설명하는 듯 하다 / 성인과 유사한 음도와 리듬의 변화를 보인다
조음 위치 및 조음 방법 자질
(1) 모음의 경우
입술의 모양에 따라 : 원순모음, 평순모음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혀의 높이에 따라 :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2) 자음의 경우
조음 방법에 따라 : 비음, 유음, 파열음(폐쇄음), 마찰음, 파찰음
조음 위치에 따라서 : 양순음, 치조음, 치경음(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 기타 자질
- 긴장성 : + (긴장성 有) / - (긴장성 無) - 기식성 : + (기식성 有) / - (긴장성 無)
Halliday('77) 의사소통 기능발달 단계
1. 1단계(10~18개월)
(1) 도구적 기능 : 언어를 무엇을 하기 위한 어떤 도구로 사용. 자신 욕구 충족위해 用
예) "주세요.
(2) 조정적 기능 : 다른 사람을 조절 통제하기 위한 행위
예) "그렇게", " 이렇게 해줘", "열어봐"
(3) 상호작용적 기능 : 타인과의 교류를 위한 것
예) 인사하기, "너-나" "주고받기"
(4) 개인적 기능 :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행위 (자신의 감정, 태도, 흥미 표현)
예) "엄마 싫어" "좋아"
(5) 발견적 기능 : 언어를 사용하여 환경을 탐구, 정리 의도 (정보요구하기와 유사)
예) "왜 그래" "왜 그런데"
(6) 가상적 기능 : 소꿉장난
예) "너는 엄마, 나는 아빠"
2. 2단계(18~24개월)
(1) 어용적 기능 : 1단계 도구적. 조정적 기능 발전/ 환경에 영향 끼치기 위해 언어 用
예) 질문하기--> 다른 사람의 대답요구
(2) 탐구적 기능 : 1단계 개인적.발견적 기능이 발전한 기능/환경에 대하여 배우려는 목적으로 언어 用, 언어를 학습의 도구로 用 예) 논평, 회상, 예견
(3) 정보제공적 기능 : 타인에게 새로운 정보 제공 / 2단계 중 가장 나중에 발달
3. 3단계(24개월 정도)
(1) 관념형성적 기능 : 탐구적 기능 발전 환경에 대하여 아는 것을 언어로 표현
(2) 교류적(상호작용적) 기능 : 2단계의 어용적 기능 발전
(3) 언어구문화 기능 : 문장으로 표현하는 기능 즉, 자기 스스로 새롭게 문장 만들기
언어치료 방법
1. 전통적 방법
(1) 언어 훈련의 절차 및 단계 설정
- 의사소통 훈련 기능 실시 (시선 접촉, 수단-목적 관계, 인과 관계 등)
- 단단어 지도 ---> 어휘 증가
- 2단어 구 및 문장 지도 --> 습득한 어휘의 조합
- 단문장 지도
- 조사, 접속사, 의문사의 사용
- 복합문 지도
(2) 치료 방법 (문제집 1 -- 읽어보기)
① 모델링 ② 확대하기 ③ 확장하기 ④ 교정하기
⑤ 자기-교정하기 ⑥ 문장 완성하기 ⑦ 혼자 말하기 ⑧ 병행 말하기
⑨ 문장변형하기 ⑩ 질문에 대답하기 ⑪ 그림 의사소통판 사용
2. 인지적 접근법
3. 화용론적 접근법
- 일상생활과 유사한 상황 구안해서 치료
- 대표적 치료 기법 : 스크립트
- 프로그램 조건 : 아동의 실생활과 유사한 일련의 전후 관계 설정 / 아동 중심
예) 흥미, 의사소통의 성공담 등
우리말 음운 발달
① 3세 전 : ㅁ / ㅂ 서열 / ㄷ 서열 / ㄱ 서열 / ㄴ / ㅇ / ㅎ
② 4세 초 : ㅈ 서열 (ㅉ --> ㅊ --> ㅈ)
③ 5세 초 : ㅅ 서울 ( ㅅ --> ㅆ)
④ 5세 중기 : ㄹ
- 명사 --> 동사 --> 부사
- 현재 시점 기준으로 가까운 시점 먼저 습득
- 처소대명사(여기, 저기)가 장소 개념인 명사(위, 아래) 보다 먼저 획득
자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은
파열음(폐쇄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마찰음
ㅅ ㅆ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유음

언어발달지체 와 언어편차의 차이점 (문제집 page 15)
135. 언어 편차 ? 비정상적인 음 구조, 구문론적 및 의미론적 비정상
(정상적인 발달 X, 비정상적 형태 O)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9.04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