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종의 제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는데 이것은 또 다른 복수심을 낳게되어 나중에는 태조의 아들이 거의 남지 않게 되었다. 그러자 경종은 집정황선을 지방으로 추방하고 함부로 죽여 복수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광종의 죽음은 앞에서의 혜종, 정종과 마찬가지로 의문이 남아있다. 광종이 죽은 이유는 아파서라고 적혀있긴 하지만 그전까지는 앓아 누운적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보 그대로 그것을 받아들이기는 힘들고 또 경종이 즉위한후 복수를 허용한것등으로 미루어 보아 광종역시 살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광종은 전생애에 걸쳐 왕권강화책을 추진한 결과, 태조 이래 열세에 놓여 있던 왕권을 호족세력보다 우위에 올려놓게 되었다. 일찍이 광종은 광덕(光德)준풍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수도인 개경을 황도라고 명명하였고, 황제라는 호칭까지 사용하였을 정도로 왕권강화에 대한 의지와 집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아울러 국가체제가 어느 정도 기틀이 잡히게 되었지만, 이와 동시에 왕권의 한계성도 나타났다. 광종대의 왕권은 중앙정부 중심으로서 왕권 또는 중앙정부의 행정력이 지방에까지는 침투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 호족세력을 철저히 숙청하고 왕권을 강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호족세력의 완전한 굴복과 왕권의 일방적 승리는 아니었다. 그것은 그가 죽고 경종이 즉위한 초에 대대적인 반 광종운동이 일어난 사실로써 미루어 알 수 있다.
아직도 광종(光宗)인가, 광종(狂宗)인가 라는 것이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미국은 보름달 한국은 초승달>의 저자 이광희는 서양 천년사와 동양 천년사를 비교한 부분에서 고려의 제4대 왕 광종이 우리의 역사를 망친 주범이라 했다. 광종의 개혁이 왕실에게는 좋았겠지만, 과거제 실시로 문을 숭상하고 무를 천시하는 풍조와 입시지옥을, 지방호족 탄압으로 지방의 자율성과 독창성을 말살하고 수도권 집중 현상을 낳은 원흉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너무 극단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광종의 과감한 개혁은 많은 피를 보긴 했지만 호족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과거제를 통하여 신진세력이 대거 등장함으로서 정치권에 새로운 파장을 불러일으켰으며 문화적으로도 중국의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여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받을 만 하다. 이런 광종대왕의 개혁은 이후에 어찌 평가될지는 모르지만 현재 대다수의 국민들은 그를 성군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은 쉽게 바뀌지 않을것이라 생각된다.

키워드

광종,   고려,   개혁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9.05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