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풍토적 배경과 특질

인종과 사회 문화적 특질

정치적 특질

본문내용

관념은 다른 집단에 대해서 개인적이고 주체적인 선악의 판단 없이 자기 집단이 요구하는 바를 기계적으로 수행하게 만든다. 일본 사람이 외국에 나가 잔인해지는 이유를 이 점과 관련시킬 수도 있다. 임진왜란 때나 제 2차 세계 대전 때 일본 병사들의 가학 행위는 주체적인 책임 의식이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집단에 대한 철저한 귀속감, 철저한 충성심들이 개인 윤리 의식을 마비, 말살시켰다고 본다.
정치사적인 면에서 마지막 특색은, 분할된 땅을 통합하고 일본인들에게 동질성을 갖게 한 구심점으로의 천황 제도이다. 천황제도에는 일본 나름의 신성성이 부여되어 있으며, 천황은 왕조 교체의 차원을 넘는 독특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천황제는 정치적으로 아주 유용하게 쓰여왔다. 아무리 전근대 사회라고 하더라도 통치자는 어디에서든 통치의 정당성을 찾아야 한다. 중국의 경우에는 이를 천자의 개념, 즉 천명에서 찾는다. 천명이란 맹자의 말대로 백성의 마음이 쏠리는 데에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통치의 정당성을 천명에서 찾았고 더 구체적으로는 민심에 두었다. 못된 군주가 백성을 괴롭힐 때는 '천명이 떠났다'는 명분에서 그 왕조를 무너뜨린 사람이 천자가 될 수 있었다. 우리 나라 경우에는 엄밀히 말하자면 중국의 인정을 받는 데에서 통치의 정당성이 나왔다. 중국에 사신이 가고 조공을 하는 것도 그 방편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반정으로 새로운 정권을 세운다 해도 독자적인 지배의 정당성을 대외적으로 갖지는 못하였다. 중국에서 책봉을 해줄 때에야 비로소 정당성을 갖는 것이었다. 조선 태조가 왕이 되었지만 중국에서 인정을 해주지 않자 계속적으로 사신을 보냈던 일, 그 후에도 반정이 있으면 어김없이 중국측의 인정을 받기 위해 노력했던 일이 이를 증명한다. 일본은 이를 천황에게서 찾았다. 일본에서 왕조 교체와 비슷한 현상을 찾는다고 하면 막부가 교체되는 것이다. 막부는 교체될 때마다 지배의 정당성을 천황에게서 받아 왔다. '쇼군'이라는 칭호를 받음으로써 지배의 정당성을 받게 되는 것이다. 천황이란 고대에는 제정 일치의 주재자였으나 막부가 생긴 이래로는 정치로부터 초월한 존재로 남아 있었다. 세속 지배권을 장악한 막부는 천황으로부터 지배의 정당성을 부여받음으로써 백성에게는 충성과 복종을 요구할 수가 있었다.
도쿠가와 막부 시대의 장군은 번의 대명, 즉 번주들을 인정하는 권한을 갖고 있었다. 한편 번에 사는 백성들은 그 번의 대명에게만 충성하면 되었다. 그러나 막부에서는 백성들의 충성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충성의 사슬을 만들었다. 즉 백성은 사무라이에게 복종을 해야 되고 사무라이는 자기가 속한 번의 대명에게 충성을 하여야 하고 번의 대명은 막부의 장군에게 충성을 해야 하고 장군은 천황에게 최종적인 충성을 바쳐야 한다는 것이다. 막부는 세속의 정치를 맡았기 때문에 정치 변화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지만 천황은 신성한 성격이 부여됐기 때문에 세속권의 흥망 성쇠에 영향받지 않는 존재였다. 세속으로부터 초탈함으로써, 즉 세속적 정치에 관여하지 않음으로써 천황은 세속 정권의 지배자에게 위협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통치의 정당성을 세우는데 필요한 존재였기 때문에 천황은 일본 역사상 변함없이 유지되어 왔다. 물론 천황제는 명치유신 이후 왕정 복고의 논리에 의해 지위가 격상되어 천황이 직접 통치하는 시대로 돌아가게 된다. 천황은 오히려 주어진 권한을 행사하지 않음으로써 자기의 초월적인 위치를 유지해 갔다. 제 2차 세계 대전 후 일본 헌법이 민주 헌법으로 바뀌면서 천황은 국가의 상징으로 규정된다. 국가의 상징으로서의 역할이 있기 때문에 천황은 앞으로도 국민 감정의 구심으로서 존속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9.0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