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동기본권의 자유권적 측면과 생존권적 측면
2. 노조의 자율성의 존중
3. 자율성을 해치는 현행 노동법제의 대표적 문제조항들
2. 노조의 자율성의 존중
3. 자율성을 해치는 현행 노동법제의 대표적 문제조항들
본문내용
끼칠 수 있는 자유를 가지는데 현행규정은 이러한 제3자의 적법한(노조의 단결활동은 헌법상 합법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표현의 자유 또는 일반적 행동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
_ 또한 "조종 선동 방해" 또는 "영향을 미칠 목적"이라는 표현은 그 의[11] 미가 막연하고 포괄적이기 때문에 "애매하기 때문에 무효(void for vagueness)"의 법리에 따라 위헌성이 추정된다 할 것이다.
_ 둘째, 형평의 관념과 노동법의 기본원리에 반한다.
_ 사회적, 경제적 강자인 사용자들은 합법적으로 제3자의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오히려 힘의 약세에 놓여 있는 근로자들에 대해서만 이를 금지하는 것은, 힘의 균형에 의해서 노사문제를 자치적으로 해결할 것을 지향하는 노동법의 기본원리에 반하고 형평의 관념에도 적합하지 않다.
_ 셋째, 산업평화를 위해 오히려 제3자의 개입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_ 노조가 자신의 문제에 관해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합리적 판단을 한 후에 체결한 단계협약이 진정한 평화협정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_ 넷째, 제3자의 개입의 불법적, 범죄적 활동을 유발, 지원하는 경우에는, 이를 형법 기타의 법률에 의하여 처벌하면 될 것이다.
_ 또한 "조종 선동 방해" 또는 "영향을 미칠 목적"이라는 표현은 그 의[11] 미가 막연하고 포괄적이기 때문에 "애매하기 때문에 무효(void for vagueness)"의 법리에 따라 위헌성이 추정된다 할 것이다.
_ 둘째, 형평의 관념과 노동법의 기본원리에 반한다.
_ 사회적, 경제적 강자인 사용자들은 합법적으로 제3자의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오히려 힘의 약세에 놓여 있는 근로자들에 대해서만 이를 금지하는 것은, 힘의 균형에 의해서 노사문제를 자치적으로 해결할 것을 지향하는 노동법의 기본원리에 반하고 형평의 관념에도 적합하지 않다.
_ 셋째, 산업평화를 위해 오히려 제3자의 개입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_ 노조가 자신의 문제에 관해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합리적 판단을 한 후에 체결한 단계협약이 진정한 평화협정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_ 넷째, 제3자의 개입의 불법적, 범죄적 활동을 유발, 지원하는 경우에는, 이를 형법 기타의 법률에 의하여 처벌하면 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국공무원노조의 파업사태
[노동법] 참여정부기간중 노동관계법률 정책등의 현황
노동관계법상 사업이전에 따른 단체협약의 효력의 법적 연구
노동법상 노동3권의 제한
노동법상 노동쟁의의 대상사항
노동법상 노동조합의 민주성
노동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신고제도
노동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요건
노동법상 노동조합 설립의 실질적요건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동3권 문제
노동법상 사업의 성질에 따른 근로3권의 제한
근로자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철학과 노동법상의 의무
[법, 교훈, 법 의미, 미국 전자정보공개법 교훈, 일본 종교입법 교훈, 남아공 흑인노동조합법...
노무현정부(참여정부) 노동정책의 동북아플랜, 노무현정부(참여정부) 노동정책 비정규보호, ...